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김문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황경근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시진핑에 힘 실어주기?

    시진핑에 힘 실어주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톈안먼(天安門) 사태와 관련이 깊은 후야오방(胡耀邦) 전 공산당 총서기의 생가를 방문한 것을 두고 중국 정가에서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시 주석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반부패 운동으로 권력 투쟁이 촉발된 가운데 당내 최대 계파 중 하나인 공청단(共靑團·공산주의청년단)의 대부가 공청단의 태두이자 중국인들로부터 널리 존경받는 정치인의 기치를 높이 든 것은 모종의 신호를 보낸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15일 후야오방 전 총서기의 서거 25주기를 앞두고 후 전 주석 부부가 지난 11일 후난(湖南)성 류양(瀏陽)시 중허(中和)진에 있는 후야오방의 생가와 기념관을 방문해 그의 동상에 꽃을 바치고 절을 하는 등 극진한 예를 표했다고 홍콩 명보가 14일 보도했다. 후야오방은 1987년 자산계급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원로들에 의해 실각당했다. 이어 1989년 그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대학생들이 톈안먼 광장에 모여 그가 추구하던 정치개혁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6·4 톈안먼 사태가 발발했다. 베이징 정치평론가 가오위(高瑜)는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사법처리가 1년 가까이 지연되는 등 시 주석의 권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후 전 주석의 후야오방 생가 방문은 시 주석에게 힘을 실어주는 의미로 두 사람을 대표하는 세력 간의 정치적인 연합을 뜻한다”고 해석했다. 시 주석의 부친인 시중쉰(習仲勳) 전 부총리는 후야오방에 의해 복권됐으며, 1987년 후야오방 실각을 결정하는 원로 회의에서 후야오방 실각에 반대하는 등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공통분모로 통한다. 반면 톈안먼 강경 진압에 찬성한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은 최근 시 주석의 반부패 행보에 제동을 걸며 시 주석과 대립 중이어서 이 같은 해석이 나온다는 것이다. 반면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후진타오를 포함해 최근 전직 정치인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은 권력 부족으로 도움이 필요한 시 주석을 향해 정치적인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톈안먼 사태에 대한 재평가를 알리는 신호탄이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의 개혁 세력들은 후야오방 사후 줄곧 톈안먼 사태에 대한 재평가와 후야오방의 복권을 요구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신임 주중美대사 이름은 ‘반드시 기침하다 죽는다’

    신임 주중美대사 이름은 ‘반드시 기침하다 죽는다’

    최근 중국에 새로 부임한 미국 대사 맥스 보커스(72)의 중국식 이름에 ‘반드시 기침하다 죽는다’는 뜻이 담겼다는 해석이 나오면서 그의 이름이 베이징 스모그를 비꼬는 대표어로 통용되고 있다. 보커스 대사는 지난 11일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인 보아오(博鰲)포럼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당신의 이름 보카스(博卡斯)를 네티즌들이 바오커스(包咳死)로 고쳐 부르는 것을 아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나는) 중국에 오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받아넘겼다고 환구시보가 12일 보도했다. 보커스 대사의 중국 이름인 보카스는 음역어(音譯語)여서 의미가 없지만 발음이 비슷한 바오커스에는 ‘반드시 기침하다 죽을 것임을 보장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중국에 살면 스모그 때문에 기침하다 죽고 말 것이란 의미로 네티즌들이 베이징의 심각한 스모그를 풍자하기 위해 만든 자조 섞인 농담인 셈이다. 미국 대사와 베이징 스모그를 연결 짓는 것은 전임자인 게리 로크가 중국에 스모그의 심각성을 환기시킨 인물이란 점에서 보커스 대사의 역할에 대한 중국인들의 바람과 관련이 있다는 평이다. 로크 전 대사는 재임 중 중국 당국이 발표하는 대기오염 수치와 다른 미 대사관의 독자적인 측정치를 발표해 당국이 스모그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했다. 또 중국 인권 문제를 앞장서 비판하고 근검절약을 솔선수범해 중국 공직자들을 난감하게 했다. 그러나 보커스 대사는 미·중 협력만을 강조하면서 별다른 활동도 없어 중국 당국의 호평을 얻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보커스 대사는 이날 포럼에서도 자신을 주룽지(朱鎔基) 전 총리의 열렬한 팬이라고 소개했으며, 최근 미·중 양국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문제를 놓고 충돌한 데 대해서도 “우리(미·중)가 경제 관계를 활력 있게 만든다면 국가 안보는 이목을 끌지 못할 것”이라면서 양국 협력을 강조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흰머리’ 부위 따라 건강 알 수 있다…뒤통수는 성기능

    ‘흰머리’ 부위 따라 건강 알 수 있다…뒤통수는 성기능

    흰머리는 위, 간 그리고 신장 등 주요 장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흰머리가 많이 자라는 부위로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14일 타이완(臺灣) 연합신문망이 보도했다. 타이베이(臺北)중의사(한의사)협회 차오융창(曺永昌) 회장은 “중의학(한의학)에서 신장은 정력과 관련이 깊은 장기로 검고 윤기있는 머리카락은 신장 기능이 좋음을 나타낸다”면서 “특히 신장이 약한 경우 뒤통수에 흰머리가 자라기 쉽다”고 말했다. 신장이 약할 경우 빈뇨증, 야뇨증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고 덧붙였다. 여성의 경우 머리 앞 부위에 흰머리가 자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위가 좋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양쪽 옆머리에 흰머리가 많이 나는 것은 스트레스나 고민이 많은 경우 두드러지는 증상이라고 진단했다. 차오회장은 이에 따라 중의학에서는 모발 치료가 오장육부를 다스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20대에 흰머리가 많은 것은 유전과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이라면서 전자 오락게임을 즐기는 젊은이들 가운데 흰머리가 나는 사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게임 과정에서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노화로 인해 흰머리가 나는 것은 막을 수 없지만 검은깨, 검은콩 등 신장에 좋은 식품들이 흰머리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장쩌민 손자는 사모펀드계 ‘큰손’

    中 장쩌민 손자는 사모펀드계 ‘큰손’

    중국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장손이 사모펀드를 통해 3년 만에 4배의 수익을 올렸으며, 여기에는 사실상 장 전 주석의 힘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장 전 주석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반부패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전해진 소식이어서 주목된다. 통신은 장쩌민의 장손 장즈청(江志成·28)이 2011년 설립한 사모펀드 보위(博裕)캐피털을 통해 중국 선라이즈(日上) 면세점 지분 40%를 인수했으며 선라이즈의 장부상 가치가 8억 달러로 상승하면서 3년 만에 4배의 수익을 올렸다고 보도했다. 선라이즈는 베이징 서우두(首都)공항과 상하이 푸동(浦東)공항의 면세점을 운영하는 회사다. 로이터는 이 선라이즈의 창립자인 미국 국적의 화교 장스첸(江世乾)은 장쩌민과의 관계를 이용해 면세점 선라이즈의 사업권을 따냈으며, 사업 첫 해 수입이 무려 6억 7000만 달러에 달하는 등 이득을 챙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장스첸이 1986년 상하이의 자매도시였던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자매도시 위원회 부주석을 맡으면서 당시 상하이시 당서기였던 장쩌민과 알게 됐고, 이후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 장쩌민이 국가주석에 재임하던 1999년 면세점 사업권을 따냈으며, 이 사업으로 장손까지 이득을 봤다고 보도했다. 장즈청은 할아버지인 장쩌민의 영향력 덕분에 금융·투자 업계에서 20대의 나이에 ‘큰손’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이다. 하버드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하다 사모펀드를 세웠으며, 투자자 중에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홀딩스와 홍콩의 최고 재벌 리카싱(李嘉誠) 청쿵(長江) 부동산그룹 회장도 포함돼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부패 겨눈 시진핑 늙은 호랑이 반격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운동을 둘러싸고 전·현직 지도부 간 ‘권력 투쟁’이 격화되는 조짐이 일고 있다.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이외의 다른 거물급 원로들이 대거 반격에 나선 가운데 시 주석의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주석과 당시 총리를 지낸 원자바오(溫家寶)가 최근 잇따라 언론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양측 간 치열한 힘겨루기가 벌어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후진타오는 지난 9일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시의 후난대 악록서원(岳麓書院)을 방문해 7개월 만에 공개 행보에 나섰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중국신문사는 이날 원자바오가 지난 8일 카타르 알아티야국제에너지기금이 수여하는 국제에너지 공로상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했다.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도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운영하는 인터넷 뉴스 인민망을 통해 존재감을 드러냈다. 인민망은 장 전 주석이 최근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으로부터 “톈안먼(天安門) 사건으로 고립됐던 중국을 국제사회에 복귀시킨 지도자”라는 평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전직 지도부가 관영 언론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 것을 두고 이들이 시 주석에게 무언의 메시지를 통해 압력을 행사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후진타오는 측근인 링지화(令計劃) 당 중앙통일전선부장(장관)이 사정 대상에 올라 있으며, 원자바오는 일가 부정 축재 의혹에 휩싸여 있다. 원로들은 시 주석이 척결할 첫 ‘호랑이’(부패 몸통)로 통하는 저우융캉이 사법처리될 경우 자신들도 무사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장 전 주석이 시 주석에게 당 고위층의 계파와 그 측근들을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시 주석의 반부패 실행 기구인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는 저우융캉 전 상무위원의 심복으로 통하는 궈융샹(郭永祥) 전 쓰촨(四川)성 부성장의 공직과 당적을 동시에 박탈했다고 9일 선포했다. 중국 언론들은 그가 직무를 이용해 다른 사람의 편의를 봐주고 아들을 통해서도 거액의 뇌물을 챙겼으며, 최소 3명 이상의 첩을 거느리는 등 도덕적인 문제도 있다고 그의 부패상을 적시했다. 앞서 저우융캉의 아들 저우빈에 이어 저우융캉의 사돈과 동생 가족까지 체포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저우융캉에 대한 사법처리가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관측이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시 주석의 반부패는 개혁을 내세운 명분일 뿐 그 실질은 권력투쟁”이라면서 “투쟁에서 밀릴 경우 후진타오 전 주석과 같이 허울뿐인 지도자가 될 것이어서 반부패를 밀어붙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헤이글 만나 “美·中 신형 군사관계 구축”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9일 중국을 방문 중인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접견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전날 양국 국방장관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동·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민감한 이슈를 두고 격돌한 것과 달리 양측은 신형대국 군사관계 발전을 내세우며 협력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합의한 대로 양국은 ‘신형대국관계’에 걸맞은 군사관계를 발전시키자고 말했다. 그는 “중·미 양국 군 관계는 양국 관계를 구성하는 중요 부분으로 양측은 중·미 신형대국 관계의 큰 틀 안에서 신형 군사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양국 군은 각 부문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갈등과 민감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양국 관계가 정확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충돌하거나 대항하지 않고 상호 존중하고 협력해 윈·윈하는 신형대국 관계 원칙을 적시하며 재차 양군 간 협력을 강조했다. 헤이글 장관은 오바마 대통령의 안부 인사를 전하면서 “미국은 중국과 대화를 강화하고 신뢰를 증진해 양국 군사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또 “이번 방중 목적은 오바마 대통령과 시 주석이 주창한 미·중 신형 군사관계를 추진하기 위해서”라면서 “이번 일정이 풍부했고, 양측은 긍정적이고 솔직하면서도 건설적인 대화를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헤이글 장관은 앞서 8일 미·중 국방장관 회담에서 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상공에 중국이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것에 반대 의사를 재천명하며 노골적으로 일본 편을 들었다. 이에 중국군 고위 관료들은 ‘전쟁’ 등의 표현까지 불사하며 불만을 표출했다.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량윈샹(梁雲祥) 교수는 “중국은 군 고위 인사들의 강경 발언을 통해 미국이 일본의 편을 드는 데 대한 불만을 나타낸 것일 뿐 미국과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美 헤이글, 中국방 면전에서 “中, 방공구역 선포권 없다”

    미국과 중국, 주요 2개국(G2)의 국방장관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패권을 두고 정면충돌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은 8일 베이징 바이다러우(八一大樓)에서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장관)과 회담을 갖고 “중국이 영유권 갈등이 있는 섬들에 대해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할 권리가 없다”고 경고했다고 AP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헤이글 장관은 “미국은 중·일 갈등과 관련해 양국이 충돌할 경우 일본을 보호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창 부장은 이에 “중국은 영토수호를 위해 필요하다면 군을 사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반격했다. 창 부장은 또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동맹국이자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과 필리핀을 맹비난하는 식으로 두 나라의 편을 들고 있는 미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고 중국 법제만보가 보도했다. 창 부장은 “아베 신조 정권이 여론을 호도하는 정책으로 중·일 관계의 위기를 초래했고, 필리핀은 마치 자기들이 피해자인 양 행세하고 있으나 잘못 판단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겠지만 (상대가 도발한다면) 문제가 생기는 것을 두려워하지도 않을 것”이라면서 중국은 영토·영해 문제에 대해 타협도, 양보도, 거래도 하지 않을 것이며 한 치의 침범도 허락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특히 판창룽(范長龍)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은 이날 오후 헤이글 장관을 만나 “당신의 최근 발언에 중국이 실망했다”며 직접적으로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판 부주석은 기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헤이글 장관에게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방장관 회의와 일본 정치인들과의 회동에서 한 당신의 발언은 거칠었다”고 비판했다. 헤이글 장관은 이번 중국 방문에서 북한문제도 강하게 거론했다. 그는 ‘한반도의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 비핵화’에 대해 양국 모두 공통의 이익을 갖고 있다며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정책을 주문했다. 특히 이날 국방대학 강연에서도 “도발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는 (북한) 체제를 계속 지지하는 것은 결국 중국의 국제적 지위에 상처를 입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미·중 양국이 긴장완화를 위해 사이버전 전략에 대해 열린 태도를 취해야 한다”며 중국이 더욱 투명한 태도를 보일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한·미·일 “北, 핵실험땐 대가”… 中, 北대사 불러 자제 당부

    5개월 만에 워싱턴에서 만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북한과의 대화보다 제재에 방점을 뒀다.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와 함께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회담을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이자 국제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황 본부장은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단합되고 실효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추가 도발 시 제재 방안에 대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해 국제사회와 함께 조치를 취해 나가는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미 국무부도 성명을 내고 “우리는 북한과 관련한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투명하게 이행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추가적 위협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관련국들이 대국적인 견지에서 말과 행동을 신중하게 함으로써 정세 완화와 6자회담 재개에 도움이 되는 일을 더 많이 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미·일 3국이 6자회담 재개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강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을 꼬집은 것이다. 중국은 이와 동시에 북한의 핵실험 발언과 관련해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소환하는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북에 핵실험 자제를 당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계획’에 대해 북한 대사를 소환한 것은 이례적이란 평이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저우융캉, 장쩌민 집 찾아가 구명 로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칼끝이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이외의 다른 거물급 전직 원로들까지 겨냥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들이 공동전선을 형성해 시 주석에게 대항하면서 ‘권력 투쟁’이 펼쳐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저우융캉은 자신의 공식 체포설이 중화권 매체에 보도되기 한 달 전인 지난해 11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머물고 있는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의 집에 직접 찾아가 ‘구명 로비’를 벌였다고 해외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이 8일 보도했다. 당시 저우융캉은 며칠 밤낮을 기다린 끝에 장 전 주석을 겨우 만나 자신의 구명을 요청했고, 장 전 주석이 베이징에서 시 주석과 만나 협상을 벌였으나 “지도부 출신 가운데는 저우융캉까지만 사법처리한다”는 묵계를 맺었다고 명경은 전했다. 이에 저우융캉 이후 사정 대상이 될 차기 ‘호랑이’(부패 몸통)로 불리는 다른 원로들은 저우융캉이 사법처리될 경우 자신들도 무사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공동전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원로 중에는 장쩌민 시절 총리를 지낸 리펑(李鵬)뿐만 아니라 시 주석의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시절 상무위원을 지낸 자칭린(賈慶林), 우방궈(吳邦國), 원자바오(溫家寶), 허궈창(賀國强) 등 지도부 출신도 대거 포함됐다고 명경은 보도했다. 전직 원로들이 공동전선을 형성하면서 시 주석의 반부패 행보가 장애에 부딪히고 권력투쟁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리펑 전 총리 등이 차기 ‘호랑이’로 거론된 직후 저우융캉 가족들이 미국에서 언론을 통해 “시 주석이 이끄는 새 지도부가 전 정권에 대한 정치 투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저우융캉이 희생양이 됐다”며 반격에 나섰다. 리펑의 딸 리샤오린(李小琳) 중국전력국제유한공사 회장도 최근 부동산 투자 등 홍콩 언론을 통해 제기된 자신의 부정부패 의혹을 이례적으로 직접 부인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첫 방중 헤이글 첫 일정은 항모 참관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이 7일 베이징에 도착해 3박 4일간의 첫 중국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중국이 동·남중국해에서 주변국들과 영토분쟁을 벌이는 데 대한 미국의 경고성 발언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그의 입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헤이글 장관은 이날 첫 일정으로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랴오닝(遼寧)호를 참관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헤이글 장관은 랴오닝호를 참관한 첫 외국인”이라면서 “이번 방문 기간 창완취안(常万全) 국방부장을 비롯한 중국군 고위 관계자들이 그와 만나 양국 군 협력 강화 문제와 동·남중국해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헤이글 장관은 양국 군사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버락 오바마 정부가 추진하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인민망은 헤이글 장관이 취임 이래 3차례 이뤄진 아시아·태평양 지역 방문에서 대부분 중국 억제를 핵심으로 하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거론했다며 이번 방중에서도 비슷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헤이글 장관은 중국 방문에 앞서 지난 6일 일본에서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상과 회담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국은 동·남중국해 영토분쟁에 있어 다른 나라들을 괴롭혀선 안 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또 “(중·일 간 분쟁도서인) 센카쿠열도는 미·일안보조약의 보호 아래 있고 미국은 이와 관련한 방어 의무를 준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헤이글 장관의 방중을 계기로 ‘신형대국군사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면서도 일본에서의 중국 관련 발언들을 비중 있게 소개하며 중국 군 당국의 ‘불편한 속내’를 표출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청명절 자오쯔양 추모물결

    中 청명절 자오쯔양 추모물결

    조상을 기리는 청명절(淸明節)을 맞아 톈안먼 사태로 실각한 개혁파 자오쯔양(趙紫陽)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추모하는 행사가 그의 옛집에서 열렸다. 6·4 톈안먼 사태 25주기를 앞두고 있는 데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역사와의 화해’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지난 5일 베이징 시내 왕푸징(王府井) 부근 푸창후퉁(富强胡同) 6호 골목에 있는 자오쯔양의 생가에서 추모객 수십 명이 모인 가운데 그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고 타이완 핑궈(?果)일보가 6일 보도했다. 추모객들은 자오쯔양의 서재에 있는 그의 사진을 향해 절을 하고 꽃을 바치거나 향을 피웠으며 방명록에 그를 기리는 글을 남겼다고 신문은 전했다. 딸 왕옌난(王雁南)은 기자들에게 “톈안먼 사태 희생자에 대한 복권이 이뤄져야 우리 아버지(자오쯔양)도 복권될 수 있다”며 복권을 촉구했다. 자오쯔양은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대에 대한 무력진압을 반대하는 등 온정적으로 대처했다는 이유로 실각해 가택연금을 당하다가 2005년 사망했다. 자오쯔양의 집 주변에는 사복 경찰이 배치됐으나 추모객들의 발길을 막지는 않았다. 앞서 시 주석이 취임한 지난해부터 연속 2년간 톈안먼 희생자를 기리는 행사가 방해 없이 열린 것은 물론 지난해 말 1987년 민주화 시위를 효과적으로 막아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실각한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일대기를 다룬 전기 출판도 허용돼 이들에 대한 복권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시 주석은 최근 벨기에 방문 당시 연설에서 “타국의 정치제도를 답습하지 않겠다”며 중국의 정치개혁 가능성을 부인한 바 있어 실제 복권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런 가운데 개혁 성향 잡지인 염황춘추(炎黃春秋)가 민주화 인사 200여명이 지난 2월 만나 민주와 헌정을 요구한 것을 4월 최신호에 정리해 게재했다고 해외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가 이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에 충성맹세… 알아서 기는 中 군부?

    중국 군 최고 통솔자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겸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상대로 인민해방군 최고 지휘관 18명이 ‘공개 충성 맹세’를 하면서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7대 군구(軍區)와 공군, 전략 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부대, 무장경찰부대, 총정치부, 총참모부 등을 이끄는 사령원(사령관)과 일부 부사령원 18명은 지난 2일 군 기관지인 해방군보(解放軍報)에 두 개 면에 걸쳐 시 주석이 주창한 ‘중국의 꿈’과 ‘강군의 꿈’ 등 군대 지침을 적극 옹호한다는 내용의 글을 게재했다. 전문가들은 “개혁·개방 35년 이래 군 지휘부가 이처럼 대규모로 최고 통솔자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한 것은 유례없는 일”이라고 평가하면서 시 주석이 군을 상대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반부패 운동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공개 충성 맹세는 시 주석이 최근 전개 중인 반부패 운동으로 구쥔산(谷軍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부장이 기소되면서 군에 긴장감이 팽배해 있다는 증거”라고 보도했다. 권력투쟁으로 어수선한 때에 반대파로 찍혀 숙청되지 않기 위해 시 주석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했다는 것이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시 주석의 군내 권위가 확고하다면 이런 식으로 위신을 과시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시 주석이 권력 강화를 위해 전개 중인 반부패 운동이 어려움에 부딪혔음을 의미하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10일간 유럽을 들었다 놨다…시진핑은 ‘거침없는 달변가’

    10일간 유럽을 들었다 놨다…시진핑은 ‘거침없는 달변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1일(현지시간) 벨기에 유럽대에서 가진 공개강연에서 “중국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입헌군주제, 왕정복귀, 의회제, 다당제, 대통령제 등을 다 도입해봤지만 모두 실패했고 결국 우리 몸에 맞는 사회주의 제도를 선택했다”며 중국특색사회주의가 중국에 가장 적합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으로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귤화위지·橘化爲枳) 타국의 정치제도와 발전방식을 답습하면 기후와 풍토가 맞지 않아 부작용은 물론 재난성 결과까지 초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 지도자가 국제무대에서 중국 정치제도에 대한 의견을 구체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이다. 일당독재를 골자로 하는 중국특색사회주의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비판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 주석은 지난달 22일부터 이날까지 진행된 첫 유럽 순방에서 그동안 서구의 공격 대상이 되어온 자국의 정치·외교·군사 분야에 대한 입장을 거침없이 밝히며 할 말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프랑스에서는 “잠자던 사자가 깨어났지만 이 사자는 평화로운 사자”라며 ‘중국 위협론’을 불식시키면서도 세계를 이끄는 패주(?主·지배자)가 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독일에서는 일본 침략 역사를 정면으로 비판함으로써 서구 국가들을 향해 중·일 문제에서 일본의 편을 들지 말 것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만났을 때는 미국이 중국과 주변국들 간 영토분쟁지인 동·남중국해 문제에 간섭하지 말고 타이완과 시짱(西藏.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존중하라고 촉구했다. 시 주석은 특히 ‘물지부제, 물지정야’(物之不齊, 物之情也·천지 간에 같은 것이 없음은 자연의 이치), ‘화이부동’(和而不同·서로 조화를 이루나 같아지지는 않음), ‘백화제방’(百花齊放·모든 꽃이 만발해야 봄이다) 등 중국의 고사성어를 인용하면서 중국과 유럽은 다른 제도와 이데올로기를 가졌지만 서로 인정하고 공존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이밖에 시 주석은 이번 순방 때 처음으로 중국 전통 민족 복장인 ‘중산복’(中山服)를 선보여 달라진 중국 외교의 자신감을 온몸으로 과시했다는 평도 받는다.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량윈샹(梁雲祥) 교수는 “시 주석은 순방에서 ‘중국 억제’ 정책을 펴는 미국에 간섭 자제를 촉구하고, 유럽과는 한 단계 높은 정치·경제 관계 구축을 위한 편견 배제를 주장했다. 또 일본은 중국의 적이란 기존 외교 방침을 솔직하게 표현했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저우융캉 아들 체포·독방 감금…中 당국 “반부패 속도조절 없어”

    중국에서 사법처리설이 나오는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의 아들 저우빈(周濱·42) 일가가 당국에 의해 체포됐다는 소식이 친인척의 입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일 보도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저우빈의 장모 잔민리(詹敏利·71)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딸 황위안(黃苑)과 사위 저우빈, 그리고 올해 69세 된 남편이 베이징 당국에 의해 체포돼 감금 상태에 있다”고 확인했다. 잔민리는 특히 “우리 가족은 범죄에 연루되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새 정부가 출범한 뒤 권력투쟁을 위해 전임자를 정치적 희생양으로 만드는 것은 다반사”라며 결백을 주장했다. 중화권 언론들은 저우빈이 아버지 저우융캉의 비호 아래 일가 부정 축재에 앞장선 핵심 인물이며, 저우빈의 장인, 장모를 비롯한 처가 식구들은 저우융캉이 장악하고 있던 중국 다수 에너지 기업의 핵심 주주로 등재돼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시 주석의 반부패 선봉인 당 감찰기구가 향후 반부패 업무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밝히면서 시 주석의 사정 행보는 거침없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 중앙기율위원회는 이날 자체 사이트를 통해 뇌물수수는 물론 권력으로 사리사욕을 도모하는 부패 분자를 적발하는 것이 올해 첫 순시 업무의 핵심 지침이라며 반부패만이 당의 살길이라고 밝혔다고 제일재경일보가 보도했다. 앞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전날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과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주석이 시 주석의 반부패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장쩌민 “반부패 운동 지나쳐선 안 돼” 시진핑에 경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거침없는 반부패 행보에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본격적으로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부패와의 전쟁’이 지속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03년 퇴임한 장 전 주석은 최근 시 주석을 만나 “반부패 운동의 발걸음이 지나치게 커져서는 안 된다”며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은 장 전 주석이 당 고위층의 계파와 그 측근들을 건드리지 말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면서 시 주석의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주석도 같은 입장을 표했다고 전했다. 시진핑 지도부가 ‘할 만큼’ 했고, 부패 단속이 지금보다 확대되면 자신과 자기 계파에 해가 될 수 있다는 게 이들 두 전직 국가주석의 의중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이들은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대한 사법처리에는 동의했으나 자신들의 다른 측근들까지 사정 대상이 되는 데 대해선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시 주석이 지난해 1월 “파리(하위직)부터 호랑이(부패 몸통)까지 모두 때려잡겠다”고 공언한 뒤 저우융캉 이외에도 이들 계열의 ‘호랑이’들이 타깃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가운데 구쥔산(谷俊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부장이 이날 부패 등의 혐의로 기소된 것을 두고 구쥔산의 배후인 장쩌민 계열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대한 사법처리가 멀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후진타오 계열로는 링지화(令計劃) 당 중앙통일전선부장(장관)이 사정 대상에 오른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저우융캉과 함께 실각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시 당서기의 정변 시도에 가담한 인물로 거론된다. 이와 관련, 중화권 매체 명경은 당 중앙기율감사위원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당국이 5월 전에 저우융캉을 기소할 것이라고 1일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세계의 창] “역대 정권보다 비리 처벌 5배… 저우융캉 사법처리 시간문제”

    [세계의 창] “역대 정권보다 비리 처벌 5배… 저우융캉 사법처리 시간문제”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의 사법처리는 시간 문제일 뿐이다.” 중국 국무원 직속 싱크탱크이자 고위 공무원 배양의 요람인 국가행정학원 공공관리학부 주리자(竹立家) 교수는 3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거물급인 저우융캉의 부패 혐의를 조사하려면 신중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쉬 교수로부터 시진핑(習近平)의 반부패 개혁 1년에 대한 평가와 전망을 들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부패와의 전쟁’을 벌이는 까닭은. -중국 인민의 가장 큰 불만 중 하나가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다. 때문에 ‘부패와의 전쟁’을 벌이면 정부에 대한 인민들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이는 지도부의 권위를 강화하고 나아가 집권 능력을 극대화시킨다. →시진핑의 반부패가 이전 지도자들과 다른 점은. -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시 주석 집권 첫해인 2013년에 처벌을 받았거나 처벌절차가 진행 중인 성부급(省部級·장차관급) 관료는 총 31명으로 지난 25년간 평균치보다 5배가 많다. 많은 공직자들의 비리가 밝혀지고 있는데다 시 주석이 관료사회의 근검절약 풍조를 요구하면서 인민들의 만족도가 높다. →시 주석은 ‘파리부터 호랑이까지 모두 때려 잡겠다’고 했지만 저우융캉의 사법처리는 지연되는데. -저우융캉과 관련된 부패는 복잡하고 광범위하다. 지도부 출신이어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러나 반드시 사법처리된다. →저우융캉 사건과 낙마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 사건 처리의 차이점은. -보시라이의 경우 측근인 왕리쥔(王立軍) 전 충칭시 공안국장이 미국 영사관에 망명 신청을 할 때 보시라이의 아내 구카이라(谷開來)의 살인 교사 증거를 모두 넘겨주면서 죄상이 명백했다. 반면 저우융캉의 부패는 제보로 밝혀진 것이 아닌데다 범위가 넓고 관련자가 많아 조사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향후 반부패 전망은. -반부패는 표본겸치(標本兼治·문제의 현상과 원인을 모두 해결)를 목표로 해야 한다. 집권 첫해인 2013년이 관련자 색출 처벌 등 문제의 현상 해결에 매진한 해였다면 올해부터는 부패 공직자를 잡아내는 동시에 부패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반부패 제도화도 이뤄져야 한다. →반부패 제도화란. -반부패의 핵심은 권력에 대한 감시다. 공직자로 하여금 부동산 등 재산을 신고토록 하고 이를 일반에 공개해야 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 의회)도 1년에 한 번 회의를 열어 입법 사항을 통과시키는 ‘거수기’ 역할에서 벗어나 행정·사법부를 감시하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인민들이 정치 과정에 참여하도록 선거 제도도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北 서해 NLL 도발] 中 “남북 대치 상황 우려… 평화안정 위해 노력하길” 美 “北 도발로 고립 심화… 동맹국 방어 흔들림 없다”

    중국은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향해 해안포를 발사하고 한국이 대응사격에 나서는 등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냉정과 절제를 촉구했다. 미국은 북한의 대규모 해상 사격훈련을 도발 행위로 규정하면서 강도 높게 비판했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한반도 정세에 온도가 다소 올라가고 있다”면서 “우리는 유관 당사국이 냉정과 절제를 유지함으로써 정세를 더욱 격화시키는 행위를 하지 말고, 공동으로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수호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조너선 랠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북한의 행동은 “위험하고 도발적”이라면서 이는 긴장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북한이 지속적인 위협과 도발로 스스로 고립을 심화하고 있다고 경고한 뒤 “동맹국들의 방어에 대한 미국의 약속에는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면서 “한국·일본과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 경고와 관련해 “어떤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어기는 것”이라며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를 자제하라고 촉구했다. 미 국무부는 이날 서울신문의 질의에 “북한 외무성 성명은 도발 위협을 담고 있다”며 “다시 한번 북한에 국제 의무를 준수하고 지역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행동을 삼갈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국무부 당국자는 “북한의 추가 도발과 안보리 결의 위반은 국제사회의 단호한 결의를 강화시킬 뿐”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규탄 성명을 비난하면서 “핵 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도 배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 운영 책임자인 조엘 위트 존스홉킨스대 초빙교수는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징후는 없으나 이는 바뀔 수 있으며, 핵실험이 이뤄지기 4~6주 전이면 증강된 활동 징후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 [세계의 창] 호랑이 겨눈 시진핑 권력을 낚다

    [세계의 창] 호랑이 겨눈 시진핑 권력을 낚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파리(하위직)부터 호랑이(부패 몸통)까지 모두 때려잡겠다”며 선포한 ‘부패와의 전쟁’이 해를 바꾸며 속도를 내고 있다. 석유방 출신 공직자와 기업인들이 줄구속되면서 석유업계 대부인 최고 지도부 출신의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에 대한 사법처리설이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전력 업체 고위 인사들까지 낙마하면서 전력 업계 대부인 리펑(李鵬) 전 총리가 차기 ‘호랑이’로 지목되는 등 시진핑의 반부패 운동이 전방위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상하이 동방조보(東方早報)는 30일 “세계 최대 수력발전 프로젝트인 중국 싼샤(三峽)댐을 건설한 중국 최대 수력발전 국영기업 중국창장싼샤(長江三峽)집단의 차오광징(曹廣晶) 이사장과 천페이(陳飛) 사장이 최근 당 중앙조직부가 주최한 이 회사 고위간부회의에서 해임 조치됐다”고 보도했다. 두 사람은 3세대 지도자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시절 총리를 지낸 리펑의 측근들이어서 이들의 낙마는 전력 업계를 장악해온 리펑 일가에 대한 부패 조사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홍콩 언론들은 이 두 사람이 지난 2월 당 감찰기구인 중앙기율위원회의 순시 감사를 통해 리펑의 딸 리샤오린(李小琳)이 소유한 기업의 지분을 실제 거래가보다 두 배 비싸게 인수한 혐의가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허난(河南) 다허바오(大河報)는 이날 “차오광징 이사장 등의 낙마는 창장싼샤집단 뒤에 숨어 있는 더 ‘큰 호랑이’를 겨냥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베이징 전력공업부 부장(장관) 출신인 리펑은 전력업계 큰손으로 불린다. 딸 리샤오린은 중국전력국제유한공사 회장이다. 국유전력기업 화넝(華能)그룹 이사장을 지내다 2008년 산시(山西)성 부성장이 된 아들 리샤오펑(李小鵬)은 전력은 물론 관련 업계인 석탄 분야까지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시 주석은 2012년 말 당 총서기 취임 연설에서 “당 간부들은 부패와 직권남용, 군중과의 괴리, 형식주의, 관료주의 등의 문제가 있다”며 공직 사회에 대한 대규모 사정을 예고했다. 이후 시진핑의 반부패는 ‘인적 청산’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저우융캉 측근들이 대거 낙마하면서 저우융캉이 첫 번째 사법처리될 ‘큰 호랑이’라는 시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시진핑 체제 출범 이후 리춘청(李春城) 전 쓰촨성 부서기 등 일명 저우융캉의 4대 비서가 잇달아 구속됐으며, 이에 홍콩 언론들은 저우융캉도 이미 가택연금된 것으로 보고 있다. 시 주석의 지시로 지난 연말 저우융캉 수사 전담 태스크포스가 구성됐으며, 그 결과 당국이 저우융캉의 가족 등으로부터 최소한 900억 위안(약 15조 5000억원)에 달하는 재산을 압수했다는 외신 보도도 이어지는 등 사법처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무풍지대였던 군부(軍部)도 반부패 태풍의 영향권에 들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시 주석의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시절 군부 실세였던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군사위원회 부주석이 병원에서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쉬차이허우는 구쥔산(谷俊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부장 부패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으며 최근 방광암 말기 진단을 받고 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언론들은 쉬차이허우는 물론 국방부장인 창완취안(常萬全)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도 구쥔산으로부터 뇌물성 황금 1000㎏을 받은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시 주석이 반부패에 목을 매는 궁극적인 목표는 지도자로서의 귄위 수립과 권력 강화이다. 그러나 ‘큰 호랑이’들이 저우융캉, 리펑 등 장쩌민 계열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권력투쟁의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베이징의 정치평론가 양젠리(楊建利)는 “일가족 부패가 보도된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에 대한 조사는 없는 대신 장쩌민 계열만 조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 주석이 반부패 기치를 들고 권력투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석유 업계는 저우융캉, 전기 업계는 리펑, 텔레콤 업계는 장쩌민’이 관리한다는 말처럼 개혁·개방 30년 이래 중국은 분야마다 최고 지도부 출신 일가가 관리하는 거대한 이익집단이 형성돼 있는 만큼 반부패 운동을 통해 특정 계파를 쳐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기존 이익집단의 반발이 심해 시 주석의 반부패 행보가 순조롭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당초 사법처리 대상에서 제외된 쉬차이허우가 돌연 체포된 것도 시 주석의 ‘호랑이’ 잡기가 장애에 부딪히면서 당국이 저우융캉 대신 쉬차이허우로 공격 대상을 바꿨기 때문이란 시각도 있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시 주석은 권력 강화를 위해 반부패를 진행하고 있고, 또 이로 인해 적을 키우면서 지금은 호랑이 등에 올라탄 형세로 반부패 행보를 멈출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저우융캉 가족·측근 자산 15조원 압수

    중국 당국이 사법처리설이 나오는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의 가족과 측근들로부터 최소 900억 위안(약 15조 5000억원) 상당의 자산을 압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30일 보도했다. 통신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지난 4개월 사이 저우 전 서기에 대한 조사를 확대해 왔다면서 저우융캉의 구금된 가족과 측근에 대해 총 370억 위안(약 6조 3725억원)의 예금이 보관된 은행계좌를 동결시켰고 510억 위안(약 8조 7837억원) 상당의 국내외 채권도 압류했다고 전했다. 당국은 이 밖에 17억 위안 상당의 아파트·빌라 300채와 시세로 10억 위안가량의 골동품·현대회화 작품, 60대 이상의 자동차도 몰수했다고 덧붙였다. 고가의 술과 금, 위안화·외화 현금 등도 압수됐다. 압수된 자산의 가치는 최소 900억 위안으로 추산되지만 당국이 당의 체면 등을 고려해 압수 자산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지난해 1월 “파리(하위직)부터 호랑이(고위직)까지 모두 때려 잡겠다”고 공언한 이후 저우융캉의 측근인 석유방과 당·정 인사들이 줄구속된 데 이어 그의 아들을 포함한 가족들에 대한 체포설까지 흘러나오면서 저우융캉의 사법처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독일서 日과거사 작심비판 “일본군 난징서 중국인 30만명 살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독일 방문에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중국 난징(南京)을 점령했을 때 사망한 중국인 수가 30여만명에 달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일본의 과거사를 맹비난했다. 국제무대에서 일본 과거사와 관련한 중국 최고지도자의 유례없는 강경 발언에 일본 정부는 주일 중국대사관을 통해 강력히 항의하는 등 양국의 역사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시 주석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베를린 쾨르버재단 강연에서 “일본 군국주의가 일으킨 중국 침략전쟁으로 중국 군·민 3500만명이 죽거나 다쳤다. 이 같은 참극의 역사는 중국 인민에게 뼈에 새길 정도의 기억을 남겼다”면서 “중국은 발전하더라도 평화 노선을 견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신화망이 29일 보도했다. 과거사 반성을 통해 주변국의 신뢰를 확보한 독일에서 일본의 침략사를 재조명함으로써 자국과 영토·역사 문제로 갈등 중인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시 주석은 또 “귀국의 총리 빌리 브란트는 ‘역사를 망각하는 자는 영혼에 병이 든다’고 했는데 중국에는 ‘과거를 망각하지 말고 미래의 스승으로 삼자(前事不忘, 後事之師)는 말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표현은 난징대학살희생동포기념관(난징기념관)에 걸려 있는 대표적인 문구로 사실상 일본의 반성을 강하게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30일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의 강연에 유감을 표했다. 스가 장관은 “일본 정부도 난징에서 일본군의 실상과 약탈 등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피해자 숫자와 관련해 여러 의견이 나오는 와중에 중국의 지도자가 제3국에서 그 같은 발언을 한 것은 매우 비생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외무성 참사관을 통해 주일 중국대사관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