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시진핑, 공자예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공자가 창시한 유교와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창조해 나아가자”며 유교의 기치를 높이 내걸었다고 홍콩 명보가 25일 보도했다. 시 주석은 공자 탄생 2565주년(9월 28일)을 앞두고 지난 24일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유학 관련 국제학술대회 및 국제유학연합회 총회 연설에서 “상대국의 문화가 다르다고 이를 바꾸려 해선 안 된다. 자신의 사상과 문화를 잃어버린 국가나 민족은 결코 일어설 수 없다”며 유교 계승을 거듭 강조했다. 올해로 5회째인 이 행사에 최고 지도자가 참석한 것은 처음이다. 신문은 시 주석이 마르크스 대신 공산당과 거리가 있는 공자와 유교를 내세우는 건 국내외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활용하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국제적으로는 공자의 화이부동(和而不同·조화를 이루나 같지 않음) 원칙을 내세워 다른 체제를 가진 중국을 인정해 달라고 호소하고, 국내적으로는 상명하복식의 절대 충성을 요구하는 유교의 가치를 전파해 일당체제와 권력집중을 공고히 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개국 원수 마오쩌둥(毛澤東)이 문혁(문화대혁명·1966~1976년) 당시 공자를 타도의 대상으로 지목한 이후 중국의 지도자들은 공자를 공개 언급하지 못했을 만큼 민감한 존재로 다뤄져 왔다. 그러나 시 주석 취임 이후 공산당이 공자를 내세우면서 그 위상도 달라지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해 11월 산둥(山東)성 취푸(曲埠)에 있는 공자의 생가를 방문해 유교 재조명을 촉구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베이징대에 있는 중화공자학회 회장을 접견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새 軍사령부 만들어 군권 강화

    시진핑, 새 軍사령부 만들어 군권 강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강군(强軍) 건설을 내세워 인민해방군의 지휘 체계를 재건하고 지도부 인사를 단행하는 식으로 군권 강화에 나섰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하는 시 주석은 지난 22일 베이징 징시(京西)호텔에서 전군 참모장 회의에 참가한 군 대표단을 만나 “당의 지휘를 따르고 잘 싸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新) 군 사령기관 건설을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3일 보도했다. ‘새로운 형태의 군 사령기관 건설’이란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도부인 중앙군사위원회에 군사작전을 총지휘하는 ‘합동작전지휘센터’를 신설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이와 관련, “당 중앙군사위에 합참 격인 연합작전지휘센터를 설립하고 각 군구(軍區) 내 육·해·공·미사일부대가 이 연합작전지휘부의 명령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체는 지난해 11월 중국이 동중국해에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ADIZ)을 설치하면서 이 일대를 관할하는 난징(南京)군구 내 육·해·공·미사일부대를 통합하는 동해 연합작전지휘센터를 설립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 주석은 오는 10월 제18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를 전후로 자신의 측근인 태자당(太子黨·혁명 원로의 자손) 출신 인사를 중앙군사위 수뇌부에 전진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은 인민해방군의 장여우샤(張又俠) 총장비부 부장(상장·한국군 대장)과 류위안(劉源) 총후근부 정치위원(상장) 중 한 명이 조만간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승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장여우샤는 장쭝쉰(張宗遜) 전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의 아들이고, 류위안은 개국 원수 마오쩌둥(毛澤東)에 의해 숙청된 류사오치(劉少奇) 전 국가주석의 아들이다. 모두 태자당 출신이며 시 주석과 가까운 사이로 전해진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시 주석이 지휘 체계를 재건하고 태자당 인사들을 주변에 배치할 경우 군권을 강화할 수는 있으나 그가 강조하는 군의 전투력이 제고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반부패’ 서슬에… 中 명품 소비 둔화

    ‘반부패’ 서슬에… 中 명품 소비 둔화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 온 중국 내 명품 소비가 뚜렷한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차이나데일리가 22일 보도했다. 신문은 베인앤드컴퍼니의 ‘2014년 세계명품시장감독보고서-봄’을 인용, 올해 중국 내 명품 소비 증가율이 전년 대비 2~4%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내 명품 소비 증가율은 2008~2011년 30%대의 고성장 행진을 이어갔으나 2012년 7%, 2013년 2% 성장에 그치는 등 계속 둔화하고 있다. 신문은 올해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 7일 동안 중국 내 명품 소비 규모는 총 3억 5000만 달러(약 3642억원)로 지난해(8억 3000만 달러)보다 57.8%, 2012년(17억 5000만 달러)보다 80% 감소해 지난 10년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중국인들이 해외에서 소비한 명품 총액은 69억 달러로 전년 동기(85억 달러)보다 18.8%가 줄었다. 그럼에도 중국은 여전히 전 세계 명품 소비의 45.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은 중국 내 명품 소비 증가가 둔화된 것은 2012년 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총서기 취임 이후 시작된 반부패 운동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반부패 캠페인으로 그동안 뇌물로 사용되던 명품 시계, 여성 가방, 남성 잡화 등의 소비가 크게 줄었다는 것이다. 신문은 중국 내 명품 남성 손목시계 매출이 2013년 전년 동기 대비 95.9%, 명품 남성 잡화류는 60% 감소했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北 “원산-금강산 지대 세계적 명소로 개발”

    북한이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통해 ‘원산-금강산 국제관광지대’ 개발 청사진을 공개하는 등 외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북한 대외경제성 산하 원산지구개발총회사는 지난 20일 중국 다롄(大連)에서 세계한인무역협회(월드옥타) 회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고 원산-금강산지대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대외경제성은 북한이 지난 6월 합영투자위원회, 국가경제개발위원회, 무역성을 합쳐 만든 외자 유치 주무 부처다. 이번 설명회엔 미국, 호주, 일본 등지에서 온 동포 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북한 측은 “프로젝트의 거점 도시인 원산이 중국, 일본과 1~2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고, 3시간 비행 거리 이내에 인구 100만명 이상인 도시가 40여개나 있다”면서 “개발이 끝나면 연간 1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세계적인 명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지난해 말 개장한 마식령 스키장과 송도원 국제소년단야영소의 리모델링 공사를 선도사업으로 꼽았다. 북한 측은 원산지구에 1만 2000명, 통천지구에 7000명, 금강산지구에 1만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며 공항, 항만 등의 기반시설과 골프장 등 위락시설을 신축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특히 원산 갈마반도에는 1일 수천명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의 공항을 건설할 예정이다. 오응길 원산지구개발총회사 총사장은 “투자 목적으로 원산과 금강산을 방문하려 하는 해외 동포들에게는 방북 신청을 10일 이내에 처리해 줄 것”이라면서 “합법적인 투자금은 정부가 반드시 보장해 준다”고 말했다. 오 총사장은 특히 원산-금강산 개발의 남측 참여를 언제든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그동안 우리는 남측의 태도 변화를 기다려 왔다”면서 “이제 더 기다릴 수 없어 여러 나라의 투자자들과 손잡으려 하지만 그렇다고 남측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문이 열려 있으니 언제든 들어오라”고 말했다. 북한은 2010년 4월 금강산지구 내 남측 재산에 대해 몰수·동결 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해 오 총사장은 “(남측 재산이) 부동산인 탓에 우리 땅에 들어와 있다 뿐이지 재산 등록은 현대 등의 명의로 돼 있기 때문에 국가가 몰수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안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아이폰을 대하는 중국의 두 시선

    중국 공직사회가 보안을 이유로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린 반면, 미국과 홍콩에선 새로 나온 ‘아이폰6’를 찾는 중국인들로 암거래가 성행하면서 가격이 치솟고 있다. 웨이젠궈(魏建國)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비서장(사무총장)은 19일 베이징대학교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예전에 상하이(上海) 공무원들은 모두 애플 아이폰을 썼다. 그러나 지난 7월부터 간부들에게 국산인 화웨이(華爲)의 보안 스마트폰으로 바꾸라는 명령을 내렸다. 아이폰뿐 아니라 삼성폰을 쓰는 것도 안 된다”고 말했다고 홍콩 대공망이 21일 보도했다. 웨이 비서장은 국산폰 사용 명령이 나온 것은 국가 안전 때문이라며 보안 문제를 내세웠다고 대공망은 소개했다. 앞서 중국중앙(CC)TV는 아이폰이 휴대전화를 껐을 때도 사용자 위치 추적 기능이 가동돼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공무원들 휴대전화에 저장된 각종 정보가 빼돌려지는 부작용이 있다고 고발했다. 당국은 정부 구매 목록에서 아이폰을 삭제했다. 매체는 이번 조처엔 국산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지난 12일 타지키스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하면서 각국 정상들에게 처음으로 중국산 스마트폰인 중싱(中興)을 국가 예물로 건넨 바 있다. 반면 중국인들 사이에선 최근 새로 나온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홍콩 봉황망은 “지난 19일 미국에서 출시된 아이폰6를 사기 위해 뉴욕 애플 매장 앞에는 1500명이 넘는 사람이 줄을 섰다”며 “이들 대부분은 아이폰을 중국 본토에 팔아 마진을 남기려는 중국인 암거래상”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아이폰6의 1, 2차 판매국에서 제외됐고 3차 출시도 빨라야 10월 말로 알려져 중국에선 웃돈을 주고 아이폰을 사려는 수요가 넘친다고 덧붙였다. 1차 판매 지역으로 지정된 홍콩에서도 아이폰6의 암거래 가격이 최대 정가의 두 배까지 뛰었으며, 애플 매장 앞에 줄을 선 사람들은 대부분 중국 본토인이라고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뉴욕 증시 훔친 알리바바 “열려라 잭팟” 주문 통했다

    뉴욕 증시 훔친 알리바바 “열려라 잭팟” 주문 통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19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정식 상장함에 따라 이 회사의 창업자인 마윈(馬云) 회장이 중국 최고 갑부로 등극했다. 이번 상장으로 이 회사 지분 8.8%를 보유한 마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공모가인 주당 68달러(약 7만원)를 기준으로 128억 달러(약 13조원·직접 보유 주식 기준)에 이른다고 광명망이 19일 보도했다. 알리바바 이외에 그가 가진 다른 비상장 회사의 주식까지 합하면 그의 재산은 총 256억 달러에 달해 마 회장이 중국 최고의 갑부가 됐다고 소개했다.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최고 갑부인 리카싱(李嘉誠) 홍콩 창장(長江)그룹 회장의 재산은 올 초 기준 320억 달러다. 언론들은 그의 ‘인생역전’ 스토리도 다시 조명하고 있다. 1964년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삼수 끝에 전문대 격인 항저우사범대에 들어간 그는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월급 12달러를 받는 대학 영어 강사로 전전했다. 이후 통·번역 회사를 차린 그는 우연히 간 미국 출장길에서 인터넷을 처음 본 뒤 중국에서 기업 간 거래(B2B)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차이나페이지’를 설립했다. 그러나 첫 도전은 실패로 끝났다. 그는 다시 중국 대외경제무역부가 설립한 온라인 무역거래 사이트에 취직해 B2B 비즈니스를 몸에 익혔고 1999년 동료들과 자본금을 모아 설립한 알리바바가 성공 가도를 달리면서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알리바바는 중국 온라인 상거래 시장에서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총거래액은 2480억 달러였다. 이날 ‘바바’(BABA)라는 이름으로 뉴욕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의 시가총액은 1680억 달러(약 174조 6000억원)로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1600억 달러)을 넘어 단숨에 구글, 페이스북에 이은 세계 3위의 인터넷 업체로 우뚝 섰다. 한편 알리바바의 미국 증시 상장을 계기로 반성과 함께 상장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중국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중국신문사는 19일 “알리바바가 ‘자본의 큰 잔치’를 벌이고 있으나 중국 투자자들은 구경꾼으로 전락하면서 알리바바의 기업가치 성장에 따른 이익도 누리지 못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우수 기업들이 까다로운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해외로 발길을 돌리는 현실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소개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용’과 ‘코끼리’, 새 협력 시대 열다

    ‘용’과 ‘코끼리’, 새 협력 시대 열다

    인도를 방문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8일 뉴델리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앙숙이었던 ‘용’(중국)과 ‘코끼리’(인도)가 새로운 협력 시대를 향해 한 발짝을 뗐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중국의 대인도 경제 투자와 양국 간 해묵은 국경 분쟁 문제가 주된 이슈가 됐다. 시 주석은 모디 총리에게 앞으로 5년간 200억 달러(약 20조 8000억원)를 인도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국은 인도 구자라트와 마하라슈트라 주에 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양국은 또 경제·무역 발전 5개년 계획, 상하이·뭄바이 쌍둥이 도시 육성 등 12개 협정에 서명했다. 중국은 인도가 불만을 표시한 양국 간 무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인도의 철도 고속화 사업에도 참여하기로 했다. 시 주석은 양국 국경 문제와 관련, “이는 역사 문제로 중국은 인도와 함께 국경 안정을 수호할 결심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모디 총리는 “양국 변경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 방안을 찾기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모디 총리는 중국이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를 자국령이라 주장하며 그곳 주민들의 중국 방문 때 별도 비자를 발급하는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시 주석은 “양국은 국경 문제가 최종 해결되기 전에 평화와 평온을 유지하고, 변경 문제가 양국 관계 발전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협력과 발전을 강조했다. 전날 인도령 카슈미르 동남부 지역인 라다크에서는 중국 인민해방군 수백 명이 양국 국경 역할을 하는 실질통제선(LAC)을 넘어 인도 쪽으로 들어가면서 이날까지 양국 군대 1000여명이 대치하는 일이 벌어졌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신4인방’ 링지화도 사법처리될 듯

    中 ‘신4인방’ 링지화도 사법처리될 듯

    지난 7월 간첩죄로 체포돼 ‘사형설’에 휩싸인 중국중앙(CC)TV 스타 앵커 루이청강(芮成剛)이 시진핑(習近平) 정권 전복을 위한 ‘신(新)4인방’ 중 유일하게 건재 중인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의 죄상을 폭로했다고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명경우보(明鏡郵報)가 18일 보도했다. ‘신4인방’이란 시진핑 제거를 위해 연대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그리고 링지화를 일컫는다. 링지화에 대한 사법처리도 조만간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매체에 따르면 루이청강은 당 중앙기율검사위 조사에서 링지화의 부인 구리핑(谷麗萍)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링지화와 인연을 맺게 됐다고 밝혔다. 루이청강은 “구리핑의 강요로 그녀와 성관계를 가진 이후 링지화로부터 다량의 고위층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이를 외국 정보 당국에 넘겨 이득을 취했다”고 자백했다. 링지화의 지시에 따라 시진핑을 공격하는 정보도 외국 정보 기관에 다수 넘겼다고 덧붙였다. 구리핑은 보시라이의 처 구카이라이(谷開來)와 같은 베이징대 법대 출신인 미모의 인재다. 음모와 불륜으로 점철된 링지화-구리핑-루이청강의 삼각관계는 권력자인 보시라이 밑에서 부적절한 관계로 지내며 살인을 공모한 구카이라이와 보시라이의 ‘오른팔’ 왕리쥔(王立軍) 전 충칭시 공안국장의 ‘막장 드라마’를 연상시킨다. 링지화는 루이청강 및 그가 친하게 지내는 유력 외신 기자 이외에도 여러 경로를 통해 시 주석에 대한 흑색 선전을 시도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그중에는 국가안보부, 통일전선부 등 국가 기관과 링지화의 남동생 링완청(令完成)이 운영하는 홍보대행사는 물론,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계열인 리창춘(李長春) 전 언론·선전 담당 상무위원까지 합세한 선전 네트워크도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화권 언론들은 루이청강이 2012년 11월 시 주석의 총서기 취임을 앞두고 시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 일가의 부정 축재 자료를 서방 언론에 넘겼으며, 현재 간첩죄로 사형을 앞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일본통 中외교관, 日스파이 혐의 체포

    일본통 中외교관, 日스파이 혐의 체포

    중국 외교부에서 ‘일본통’으로 불리는 마지성(馬繼生·57) 주아이슬란드 대사 부부가 간첩 혐의로 체포됐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17일 보도했다. 중국에서 2000년 이후 간첩 혐의로 낙마한 외교관은 한국 대사를 지낸 리빈(李濱)에 이어 마 대사가 두 번째다. 신문은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의 보도를 인용해 “마 대사와 부인 중웨(鍾月)는 지난 2월 일본을 위해 간첩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국가안보 당국에 체포된 뒤 행적이 묘연하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마 대사가 체포됐다는 보도를 확인해 달라’는 요구에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으나 아이슬란드 대사직은 지난 2월부터 공석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마 대사의 간첩 혐의 체포설은 중국과 일본이 갈등 완화를 추구하는 시점에서 터져 나와 국제 외교가는 이번 사건이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주목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지린(吉林)성 동북사범대 출신인 마 대사는 일본에서만 8년을 근무해 중국 내 대표적인 ‘일본통’으로 꼽힌다. 신문은 마 대사가 “일본 측에 중국의 국가기밀을 누설했다”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마 대사가 2008년부터 4년간 외교부 신문사(司·국)에서 근무하면서 언론과 접촉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2년 12월 아이슬란드 대사 부임 이후 현지 언론들과 활발하게 접촉했다고 소개했다. 중국 외교가에서는 공식 발표가 없음에도 마 대사가 간첩죄로 체포된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자국 공무원에 대한 감시가 유독 엄한 중국에서는 공무원이 외국인에게 기밀을 누설했다는 이유로 실각하는 일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중국은 투명한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일반적인 이야기라도 외국인에게 함부로 말하면 큰 화를 당할 수 있어 금기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중국 공무원이 타국 외교관이나 언론인을 만날 때 반드시 2인 이상이 함께 나가는 식으로 상호 감시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라는 설명이다. 앞서 리빈 전 대사는 한국 근무를 끝내고 외교부 아주사(국) 부사장(국장)으로 귀임한 뒤 국가기밀을 한국 측에 누설했다는 이유로 2006년 12월 국가안전부에 체포됐다. 그러나 리빈 대사는 다이빙궈(戴秉國) 전 국무위원의 적극적인 해명으로 사법처리되지 않고 해임된 후 외교부 산하 국제문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고 명경은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인도, 싸우거나 손잡거나

    오랜 앙숙인 중국과 인도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17일 인도 방문을 계기로 협력을 내세우면서도 영향력 확대 경쟁을 벌이고 있어 주목된다. 시 주석은 16일부터 1박 2일간 국빈 방문하는 스리랑카에서 콜롬보 항구 개발 협정을 체결한다고 신경보가 이날 보도했다. 중국은 자국이 총 14억 달러(약 1조 5000억원)를 투자해 건설하는 이 항구의 3분의1에 대한 부지 소유권을 갖는다. 중국과 국경 문제로 전쟁까지 치렀던 인도는 중국이 인도반도를 에워싼 스리랑카 등 인근 국가의 거점 항구를 투자·개발하는 ‘진주목걸이 전략’으로 자국을 위협한다고 보고 있다. ‘원유수송로 확보’를 내세운 이 항구들은 언제든 군사 목적으로 전용돼 인도를 겨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도도 견제구를 날렸다. 베트남에 1억 달러 규모의 국방 차관을 제공하고 2013년 합의한 남중국해 석유 공동 개발도 확대하기로 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이날 보도했다. 1억 달러 규모의 국방 차관은 인도가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을 벌이는 베트남에 화력을 지원하는 의미라고 VOA는 소개했다. 인도가 베트남을 도와 남중국해에서 석유 시추를 확대하는 것도 중국이 ‘주권침해’라며 반발하는 이슈다. 이런 가운데 시 주석은 17일 인도를 방문해 5년간 총 1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할 계획이라고 봉황망이 보도했다. 이는 최근 인도를 방문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제시한 350억 달러의 3배 규모다. 중국은 인도가 미국·일본과 손잡고 ‘중국 억제’에 나서지 않도록, 인도는 자국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서로를 중시하면서 부쩍 가까워지는 분위기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과 인도는 국경분쟁 등으로 대립·경쟁하고 있지만 양국 지도자는 궁극적으로 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CCTV 추문’ 설날 국민 프로그램까지 불똥

    중국 국영 방송인 중국중앙(CC)TV가 고위 간부 및 스타 앵커들의 줄구속으로 부패 추문에 휩싸인 가운데 이 방송국이 만드는 설 특집 국민 프로그램 ‘춘완’(春晩)이 1983년 방송 시작 이래 첫 결방 위기에 처했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15일 보도했다. 신문은 “보통 7~8월이면 다음해 춘제(春節·중국 설) 때 방송할 춘완 총감독을 발표하는데 올해는 아직 소식이 없어 결방설이 파다하다”면서 “CCTV 측은 이런 소문에 ‘답하기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섣달 그믐날 밤 8시에 시작해 자정을 지나 끝나는 춘완을 온 가족이 함께 보며 제야를 지내는 게 설 풍경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춘완은 공연 규모와 방송 시간, 시청률 등 3대 지표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는 종합 예능프로그램으로 2012년 4월 세계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 한 개가 판매하는 광고 수입은 2010년 기준 6억 5000만 위안(약 1140억원)에 달한다. 춘완 결방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은 CCTV가 자사 부패 추문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CCTV는 올 들어 부패 문제로 최소 10명의 고위 간부와 유명 앵커가 당국에 끌려간 것은 물론 사장 교체설까지 거론될 만큼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신문은 CCTV 관계자의 말을 인용, “춘완은 중국 공산당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중요한 도구인 만큼 결코 결방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다만 당국의 반부패 캠페인에 호응하기 위해 내년엔 대폭 검소하게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부패 큰호랑이’ 저우융캉 전처 살해 혐의도 조사 중

    ‘부패 큰호랑이’ 저우융캉 전처 살해 혐의도 조사 중

    중국 당국이 의문의 교통사고로 비명횡사한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의 전처 사망 사건과 관련해 저우융캉의 개입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3일 보도했다. 저우융캉의 전처 왕수화(王淑華)는 2000년 이혼당한 뒤 베이징(北京) 인근에서 의문의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당원의 비리를 감찰하는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저우융캉의 관련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찾기 위해 이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앞서 중화권 언론들은 저우융캉이 자신보다 무려 28세 어린 중국중앙(CC)TV 출신의 둘째 부인 자샤오예(賈曉燁)와 재혼하기 위해 전처를 죽이라고 살인을 교사한 혐의도 받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 7월 말 저우융캉이 당 기율을 위반했다며 조사 방침을 공개했지만 혐의는 언급하지 않았다. 당 기율 위반이란 뇌물 수수나 권력 남용을 의미한다. 살인교사죄까지 추가되면 극형에 처해진다. 당국이 저우융캉에 대한 조사를 이토록 심화하는 것은 여러 가지 후환을 근절하기 위해서다. 신문은 “저우융캉이 공안 기관을 장악했던 최고지도부 출신으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그 일가에 대해 아는 게 너무 많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위험이 크다고 당국은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우융캉을 잡기 위해 당국이 조사·체포한 그의 친·인척, 부하 및 지인만 300명이 넘는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신문은 또 “시 주석은 반대파의 반발을 우려해 최고지도부 회의가 아닌 205인의 공산당 중앙위원으로 구성된 당 중앙위원회를 통해 저우융캉 사법 처리 여부를 최종 결정하고 싶어 하며, 그전에 전처 살해 증거를 확보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예정된 제18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에서 그에 대한 ‘당적 박탈’과 ‘사법기관 이송’ 방침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반체제 매체 명경(明鏡)은 저우융캉은 지난해 말 이미 체포됐으며 현재 고위급을 수감하는 VIP 감옥인 친청(秦城)교도소에 갇혀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덩샤오핑 유일한 손자, 美시민권자 아니다”

    “덩샤오핑 유일한 손자, 美시민권자 아니다”

    중국 2세대 지도자인 덩샤오핑(鄧小平) 측이 덩의 유일한 손자 덩줘디(鄧卓?·29)가 미국 시민권자라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고 관영인 중국신문망이 13일 보도했다. 덩샤오핑의 셋째 딸 덩룽(鄧榕)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동안 덩줘디가 미국 시민권자라는 소문이 있었다”면서 “우리 집안에는 외국 여권을 가진 사람이 없고 덩씨 집안 사람들은 모두 다 중국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서 태어나면 자동으로 미국 시민권자가 된다고 생각하지만 덩줘디가 미국 시민이라는 이야기는 오해”라면서 “그가 미국에서 태어난 것은 맞지만 우리는 그의 출생 즉시 중국 대사관에 여권을 신청했고 출생 한 달 뒤 곧바로 중국으로 데려왔다”고 설명했다. 덩줘디는 덩샤오핑의 2남 3녀 중 막내아들인 덩즈팡(鄧質方)의 외아들로 덩즈팡이 미국 뉴욕주의 로체스터대학에 유학 중이던 1985년 미국에서 태어났다. 2008년 듀크대를 졸업한 뒤 뉴욕의 법률회사에서 일하다 지난해 5월 덩샤오핑이 홍군 시절 토지혁명을 이끌었던 광시(廣西)좡족자치구 핑궈(平果)현에서 부현장으로 공직에 진출했으며 올 들어서는 핑궈현 신안(新安)진 당서기직도 꿰찼다. 중화권 매체들은 중국 지도자의 후손이 미국 시민권자가 된 것도 모자라 ‘외국 국적자는 공무원이 될 수 없다’는 규정도 어겼다고 비판한 바 있다. 덩룽은 “덩줘디가 베이징대 졸업 후 미국에 가서 공부한 적은 있지만 1년 뒤 바로 귀국했고 지금도 중국에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덩샤오핑은 생전에 “나의 손자는 미국 시민권자이지만 그가 중국으로 돌아오면 중국 공민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위 강력 통제하지만… 환경오염 반대 시위 잇따라

    中 시위 강력 통제하지만… 환경오염 반대 시위 잇따라

    시위를 강력하게 통제하는 중국에서 환경을 해치는 개발이나 오염시설 건립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잇따라 벌어지고 있다. 환경 파괴에 항의하는 주민 시위가 일반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시 보뤄(博羅)현에서 지난 13일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당국의 쓰레기 소각장 건립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홍콩 명보가 14일 보도했다. 당국은 당초 내년 초 가동을 목표로 보뤄현 주민 거주지에서 1㎞ 떨어진 곳이자 홍콩의 식수원인 둥장(東江) 인근에 2600t급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립하려 했다. 시민들은 전날 오전 9시부터 3시간 동안 도심인 보뤄 문화광장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거리 행진을 벌였다. 시위대에는 어린이와 할머니도 포함돼 있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2000여명의 무장경찰이 정부청사로 향하던 시위대의 행진을 막는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했으며 시민 10여명이 연행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보뤄현 측은 시위 직후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입지를 다시 선정하겠다”며 쓰레기 소각장 건립 계획을 당분간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위항(余杭)구에서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쓰레기 소각 발전소 건립 계획이 주민 시위로 보류됐으며, 지난 1월 광둥(廣東)성 산터우(汕頭)에서도 주민 1만여명이 쓰레기 소각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여 당국이 사업 추진 여부를 재검토하기로 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체포됐던 CCTV 스타 앵커 간첩죄로 사형 임박” 보도

    “체포됐던 CCTV 스타 앵커 간첩죄로 사형 임박” 보도

    부패 혐의로 당국에 체포된 것으로 알려진 중국중앙(CC)TV의 스타 앵커 루이청강(芮成剛·37)이 간첩죄로 곧 사형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고 홍콩 명보가 11일 보도했다. 베이징사회과학원 외국문제연구소 부원장 왕궈샹(王國鄕)은 자신의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루이청강이 간첩으로 활동했다. 내용이 매우 심각해 극형에 처해질 것”이라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에서 간첩죄는 최소 징역 10년에서 사형까지 처해질 수 있는 중범죄다. 왕 부원장은 “간첩 가운데 이상주의자가 몇 명이나 있나. 성격적 결함이 있어서 이용당했거나 돈에 눈이 멀고 색을 밝히다가 간첩질을 하는 것”이라며 인신공격도 퍼부었다. 앞서 중화권 반체제 매체인 보쉰(博訊)도 루이청강이 지난 7월 생방송 직전 긴급 연행된 것과 관련, “루이청강이 2012년 11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총서기 취임을 앞두고 시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 일가의 부정축재 자료를 미국 뉴욕타임스 등 서방 언론에 넘겨 줬다”고 보도한 바 있다. 루이청강은 2003년 CCTV 입사 후 세계 유수의 정·재계 지도자 300명 이상을 인터뷰하는 등 스타 앵커로 이름을 날렸다. 지난해 6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을 직접 인터뷰하기도 했다. 중화권 언론들은 그가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과 함께 사법처리설이 나오는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과 가까웠다는 점에서 단순 비리를 넘어 저우융캉 사건 연루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진주 목걸이 전략’ vs 日 ‘통 큰 투자’… 인도양 패권 다툼

    中 ‘진주 목걸이 전략’ vs 日 ‘통 큰 투자’… 인도양 패권 다툼

    인도양 패권을 노리는 중국과 이를 견제하기 위한 일본이 인도·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국가들을 놓고 치열한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오는 14~19일 몰디브, 스리랑카, 인도 등 남아시아 3개국을 순방한다. 이번 방문에서 시 주석은 이들 국가의 항구 개발 계약을 체결하는 데 공을 들일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0일 보도했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급)도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은 스리랑카에서 함반토타항 개발과 관련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중국은 인도양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진주 목걸이처럼 인도반도를 둘러싼 국가들의 거점 항구 건설을 지원, 이들을 장악하는 ‘진주 목걸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중국은 이를 통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들어오는 원유의 해상 수송로를 확보하고 나아가 ‘중국 봉쇄’를 위해 남아시아를 지원하는 미국의 ‘신(新)실크로드’ 전략을 무력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진주 목걸이 전략이 자국을 겨냥한 것이라고 우려하는 인도를 대규모 경제 지원을 통해 안심시킬 전망이다. 시 주석은 이번 인도 방문에서 산업단지 건립 및 고속철 협력 프로젝트에 합의할 예정이다. ‘중·인 관계 및 중국의 남아시아 정책’을 주제로 남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조하는 연설도 할 계획이다.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인도(1일), 방글라데시(6일), 스리랑카(7일) 등 남아시아 국가 정상들과 잇따라 만나 통 큰 투자를 약속했다. 아베 총리는 방글라데시를 방문해 벵골만 지역의 항만 등 인프라 정비를 위해 최대 6000억엔(약 5조 8000억원)을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스리랑카에서는 137억엔(약 1335억원)의 차관과 일본의 순시정을 제공하기로 했다. 두 국가 모두 중국이 항구 건설을 위해 투자했던 곳이다. 재정 문제로 한동안 중단됐던 남아시아 원조에 박차를 가하는 데 대해 중국을 겨냥한 것이란 평이 지배적이다. 특히 중국에 의한 해상 고립을 우려하는 인도에는 향후 5년간 무려 3조 5000억엔(약 34조원)의 투·융자를 약속했다. 일본 언론들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지지함으로써 일본이 인도양 석유 수입 해상 교통로인 ‘시 레인’(sea lane)을 방어할 길을 터 줬다고 분석했다. 베이징에서 발행되는 신경보는 “일각에서 진주 목걸이 전략 운운하며 중국이 인도반도를 둘러싼 국가들과 관계 강화에 나서는 것을 (국경 문제로 분쟁 중인) 인도를 억제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중국과 인도는 국경 문제를 잘 처리할 수 있고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 “中·日 관계가 한국과의 관계보다 중요”

    중국과 일본 국민들은 서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중·일 관계가 한국과의 관계보다 중요하며 중·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의 비영리활동법인 언론NPO와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가 지난 7~8월 양국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본인 응답자의 93.0%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고 BBC중문망이 10일 보도했다. 이는 조사를 시작한 2005년(37.9%) 이래 최고 수준이다. 일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고 평가한 중국인은 86.8%였다. 지난해 조사(92.8%) 때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그러나 ‘중·일 관계가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일본인과 중국인의 비율은 각각 70.6%와 65.0%로 지난해보다 모두 10% 포인트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과의 관계가 중요한가’라는 질문에는 일본인과 중국인의 각각 40% 정도만 ‘그렇다’고 답했다. 일본인과 중국인 각각 83.4%와 67.2%는 ‘중·일 관계가 나쁘다’고 답했다. 관계가 나쁘다고 보는 일본인은 지난해보다 3.7% 포인트 많아진 반면, 그런 시각을 가진 중국인은 지난해 90%에 비해 줄었다. 한편 양국 국민이 상대국에 부정적인 이유와 관련, 일본인은 50%가 ‘중국이 국제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한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일본과 대립한다’, ‘역사 문제로 일본을 비판한다’ 등을 꼽았으며, 중국인의 60%는 ‘일본이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했다’, ‘역사를 반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장쩌민 사망설 진실은?

    장쩌민(江澤民·88) 전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긴급 입원설’에 이어 ‘사망설’에 휩싸였다. 그의 사망설은 중추절(중국 추석) 연휴가 시작된 지난 6일 홍콩 신보(信報)의 인터넷 기사를 출처로 흘러나온 뒤 중국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신보는 당일 저녁 “그런 보도를 한 적이 없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으나 소문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서는 9일 오후 현재까지도 ‘장쩌민’이나 ‘두꺼비’(장쩌민의 별명)를 입력할 경우 “관련 법에 의해 검색을 금지한다”며 그에 대한 언급을 원천 봉쇄하고 있다. 장 전 주석이 고령인 데다 지병인 방광암으로 베이징 시내 병원에서 투병 중이었다는 점에서 그의 사망설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쿄신문은 지난 8월 말 장 전 주석이 자신의 심복이던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에 대해 당의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뒤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아 건강이 급속히 악화됐다고 전한 바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출신인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장 전 주석이 사망하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권력이 한층 더 공고해진다는 점에서 그의 사망설은 겉으로는 부패 척결을 내세우며 이뤄지는 당내 권력투쟁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파 이익을 우려해 시 주석의 반부패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장 전 주석이 사망할 경우 시 주석은 당내 고위층과 장 전 주석의 상하이방 제거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처음 듣는 얘기여서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장 전 주석은 예전에도 여러 차례 와병설이 돌았으며 2011년에는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홍콩 재벌 헝룽그룹, 하버드대 ‘기부왕’

    홍콩 부동산 재벌 가문인 헝룽(?隆)그룹이 미국 하버드대학에 단일 기부로는 이 학교 사상 최대인 3억 5000만 달러(약 3587억원)를 쾌척했다고 홍콩 명보가 9일 보도했다. 주인공은 헝룽그룹의 천치쭝(陳啓宗·65)·천러쭝(陳宗·63) 형제로 이들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자선재단 천싱(晨興)기금회를 통해 거금을 쾌척했다. 하버드대 측은 감사를 표하기 위해 보건대학원의 명칭을 ‘하버드 T H 챈 보건대학원’으로 바꾸기로 했다. T H 챈은 헝룽그룹의 창업자이자 천씨 형제의 아버지인 고 천쩡시(陳曾熙)의 이름이다. 현재 하버드대에서 개인의 이름을 딴 대학은 공공정책대학원인 하버드 케네디 스쿨뿐이다. 이들 형제 가운데 하버드대와 인연이 있는 것은 동생 천러쭝이다. 그는 이 대학 보건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직후 같은 대학 의학대학원에서 암 관련 연구에 종사한 바 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앞서 하버드대가 받은 단일 기부 최고액은 올 2월 헤지펀드 업계 거부 케네스 그린핀으로부터 받은 1억 5000만 달러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급구! 소림사 대변인

    1500년 역사를 가진 중국 무술의 본산인 소림사가 홍보 책임자 모집 공고를 내면서 또다시 상업화 논란에 휩싸였다. 소림사 산하 소림무형자산관리유한공사가 지난 1일 자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계정에서 “글 잘 쓰고 영어 소통이 가능하며 인터넷 등 신매체에서 일해 본 경험자를 우대한다”는 조건으로 홍보 책임자를 모집한 결과 4일 현재 300여명이 지원했다고 인민망이 5일 보도했다. 지원자 중에는 예일대 등 미국과 유럽에서 공부한 해외파를 비롯해 중국중앙(CC)TV, 신화통신 등 중국 유력 매체 출신의 언론인이 많다고 덧붙였다. 소림사 관계자는 “홍보 책임자를 선발하려는 것은 세계에 소림사를 잘 알리기 위한 의도”라면서 “웨이보 등 신매체를 통해 소림사를 알리고 소림사 국제청소년여름캠프 등 관련 활동도 홍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소림사가 전액 출자한 소림무형자산관리유한공사는 소림사의 지적소유권을 관리하고 소림사를 대외에 알리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홍보 책임자 선발을 두고 소림사 상업화의 연장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신경보는 이날 사설에서 “소림사가 더욱 힘써야 할 부분은 미디어관리인 채용이 아니라 소림 문화에 대한 보급”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소림사는 경영학 석사 출신인 스융신(釋永信)이 1999년 방장을 맡은 뒤 쿵후(功夫)쇼와 영화 촬영, 기념품 판매, 모바일 게임 출시 등 수익사업에 몰두하면서 불교를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스융신은 “소림사의 상업화는 생존을 위한 것이다. 기업 관리 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소림사를 더 잘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