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박철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김학준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8
  • 中 진출 꿈꾸는 저커버그 ‘시진핑 주석 알기부터’

    中 진출 꿈꾸는 저커버그 ‘시진핑 주석 알기부터’

    중국 시장 진출을 노리는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의 사무실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최신 서적을 중국 고위 관료가 발견한 사실이 공개됐다. 9일 인민일보 계열의 경화시보에 따르면 이달 초 미국 실리콘밸리 페이스북 본사를 찾은 중국 인터넷 최고 담당자 루웨이(?)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주임(장관급)이 저커버그의 사무실에 들렀다가 ‘시진핑 국가 운영을 논하다’(習近平談治國理政)를 발견했다. 저커버그는 루 주임이 책을 보고 반색하자 “동료들에게도 주려고 이 책을 구입했다. 중국특색사회주의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커버그는 루 주임과의 대화에서 중국어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책은 중국 국무원이 지난달 초 중국어를 포함해 총 9개 언어로 출간했다. 2012년 11월부터 2014년 6월까지의 시 주석 주요 담화 79편과 사진 45장을 담고 있다. 저커버그의 행동을 두고 중국 내 평가는 엇갈린다. 인민대 정치학과 장밍(張鳴) 교수는 “(시 주석 집권 이후) 중국 지식인들이 심하게 탄압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적절했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사업가로서는 할 수 있는 행동이었다”고 평했다. 영국 BBC 중문망은 “페이스북의 중국 시장 진출을 원하는 저커버그가 시 주석에게 아부를 한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페이스북 사용이 차단돼 있지만 저커버그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에 지사를 내는 등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앞서 지난 10월에는 칭화(淸華)대 학생들을 상대로 약 30분간 중국어로 강연도 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홍콩 “11일 시위대 강제 해산”… 시내 점거물 모두 철거하기로

    홍콩 당국이 11일 3000명 이상의 경찰 병력을 동원해 시위 점거지인 애드미럴티와 코즈웨이베이에 있는 시위 캠프를 모두 정리할 예정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9일 보도했다. 시위 주도자들이 속속 자수하는 가운데 당국이 사실상 강제 해산을 암시한 것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당국은 법원의 점거 금지 명령이 내려진 지역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 설치된 점거물들도 모두 철거할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앞서 홍콩 고등법원은 지난 1일 일부 버스회사의 요구를 받아들여 주요 시위 거점지인 애드미럴티 하커트 로드 등에 대한 점거 금지 명령을 내렸다. 이에 버스회사 측은 이날 애드미럴티 시위대에 11일 오전 9시까지 현장을 떠나라고 요구했다. 홍콩 수반인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은 9일 언론에 “경찰이 애드미럴티와 코즈웨이베이 시위 캠프를 철거할 때 ‘최소한의 물리력’을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링지화, 트럭 6대분량 뇌물 …구쥔산은 5조원 재산 은닉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캠페인에 스러진 ‘부패 호랑이’(지도자급 부패 인사)들이 축적한 부의 규모가 대부분 조(兆) 단위로 나타나고 있다. 뇌물 규모가 천문학적이어서 진짜라고 믿기 어렵지만 중국에서는 이를 사실로 보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9일 홍콩 봉황주간(鳳凰周刊) 최신호에 따르면 연초 정식 기소된 ‘군 호랑이’ 구쥔산(谷俊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부장이 부정부패로 축적한 재산이 300억 위안(약 5조 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6억 위안(1082억원)의 뇌물을 수수하고 60여 채의 부동산을 소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언론들은 올해 1월 당국이 연초 허난성 푸양에 있는 구쥔산의 고향 집을 수색해 트럭 4대분의 재물을 압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순금으로 만든 마오쩌둥(毛澤東) 조각상 등 각종 금 조각상, 중국 최고급 술인 마오타이 1만여병 등도 발견됐다고 전해져 중국 사회에 충격을 줬다. 앞서 봉황주간은 지난 11월 ‘군 호랑이’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의 베이징 자택에서도 당국이 1t 이상의 현금과 금은보화를 대거 발견해 이를 옮기는 데 트럭 10대가 동원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반체제 매체 보쉰(博訊)은 현직인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장관)이 고향 산시에 숨겨둔 트럭 6대 분량의 뇌물을 당국이 적발했다고 전했다. 링지화는 최근 사법처리된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과 함께 반(反)시진핑 쿠데타를 모의한 신(新) 4인방 중 한 명으로 조만간 정식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쉬차이허우와 링지화의 축재 액수가 정확히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들 모두 구쥔산보다 계급이 높은 데다 압수에 사용된 트럭 수량으로 볼 때 구쥔산의 축재 규모를 능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당국이 최근 검찰에 송치된 저우융캉 일가로부터 압수한 자산이 최소 900억 위안(약 16조원)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인민(人民)대 정치학과 장밍(張鳴) 교수는 서울신문에 “권력 감시 시스템이 있는 한국의 경우 이처럼 천문학적인 액수의 뇌물을 받기 어렵겠지만 중국에서는 가능한 일이어서 중국인들은 관련 보도를 사실로 믿는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기사를 쓴 봉황주간은 친중국 매체로 기사를 당국이 제공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日 보란 듯… 中, 난징대학살 띄우기

    오는 13일 올해 처음 국가기념일로 제정한 난징(南京)대학살 추모일을 앞두고 중국 민·관이 합동으로 대일 비난전에 나서고 있다. 정부가 77년 전 일본군의 만행을 담은 영상을 공개하며 ‘난징대학살’ 선전전을 펼치는 가운데 한 민간단체는 일본 정부를 상대로 처음으로 난징대학살에 대한 손해배상을 요구했다. 8일 관영 신화망에 따르면 국가당안관(기록보관소)이 난징대학살 실제 영상 자료를 수집해 만든 다큐멘터리를 자체 홈페이지에서 지난 7일부터 매일 한 편씩 공개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난징대학살과 관련된 영상물 형식의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처음이다. 10분 길이의 영상에는 당시 학살 참상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통신은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일본을 겨냥한 듯 “영상의 상당 부분은 난징대학살을 직접 목격하고 촬영해 전 세계에 알린 미국인 선교사 존 매기가 촬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큐에는 ‘중국판 안네의 일기’로 불리는 청루이팡(程瑞芳)의 일기도 등장한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당시 난징의 진링(金陵)여자대학 기숙사 사감이었던 그는 1937년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당시 자신이 직접 목격하거나 전해 들은 방화, 살인, 약탈, 강간 등 일본군의 각종 만행을 일기로 남겼다. 이런 가운데 중국민간대일배상연합회라는 민간단체는 일본 정부와 아베 신조 총리를 상대로 난징대학살 유족들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중국에 있는 일본 대사관에 전달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역사 문제를 고리로 대일 비난전에 공을 들이는 것은 영토분쟁으로 촉발된 중·일 갈등 국면에서 일본을 압박하려는 것임은 물론 자국 내 정치 수요와도 관련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빈부격차 등 사회갈등 심화로 더 이상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국민을 결속하지 못하자 반일 애국주의를 고취하는 방법으로 국민을 단결시키고 있으며 이번 조치도 그 연장선상이란 분석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용어 클릭] ■난징대학살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蘆溝橋) 사건을 계기로 본격화된 중·일전쟁에서 일본은 베이징·톈진·상하이를 함락시킨 데 이어 그 해 12월 13일 당시 국민당 정부의 수도 난징에 상륙해 6주에 걸쳐 민간인 30만명을 학살했다. 일본 정부는 난징대학살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양국 간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 시진핑 권력 독점에 밀려… ‘2인자’ 리커창도 사퇴설

    시진핑 권력 독점에 밀려… ‘2인자’ 리커창도 사퇴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권력독주 현상이 심화되면서 실질적인 권력 서열 2위인 러커창(李克强) 총리가 임기를 3년가량 앞두고 총리직에서 쫓겨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프랑스 공영 라디오 방송 RFI는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 미디어그룹이 홍콩에서 발행하는 잡지 ‘정경’(政經) 최신호에서 ‘리 총리의 하차설’을 특집 기사로 게재했다고 7일 보도했다. RFI는 명경 미디어그룹 천샤오핑(陳小平) 총편집인과 가진 인터뷰 형식의 기사에서 “리 총리가 취임 20개월도 안 돼 권력 중심부에서 밀려나면서 퇴임설이 나돌고 있다”면서 “건강과 경제 운용 능력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리 총리가 격무에 시달리면서 지병인 당뇨병이 악화돼 공식 행사 이외에는 활동이 어려울 정도로 건강이 나빠진 데다 총리 본연의 업무인 경제 운용 능력 면에서도 한계를 보여 사퇴설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천샤오핑은 리 총리 하차설의 핵심 원인은 시진핑의 일인지배 체제 강화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 총리는 헌법으로부터 실권을 보장받는 중국 정부인 국무원의 수장이지만 시진핑의 친정 체제가 공고해지면서 그의 밑에서 일하는 일개 ‘직원 나부랭이’로 전락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이라면 아무리 건강이 좋고 능력이 뛰어나도 총리직을 제대로 수행하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시 주석 집권 이후 정치와 외교는 국가주석이, 경제와 민생은 총리가 챙기는 투톱 시스템이 와해되고 시 주석에게 권력이 쏠리면서 리 총리는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시 주석은 지난 6월 총리 고유의 경제 관련 최고 직위인 당 중앙재경영도소조 조장 자리를 꿰찼으며 지난해 11월 18기 3중전회(18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는 경제 개혁 방안을 마련하는 전 과정을 주도하며 리 총리를 배제시켰다. 12월 현재 시 주석이 정치·경제·군사·외교·사회 등 전 분야에 걸쳐 쓴 최고 책임자 감투만 10개에 달해 집권 초 두 사람의 이름 앞글자를 딴 ‘시·리 투톱 체제’라는 말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평이다. 매체는 리 총리가 물러날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국회 격) 상무위원장을 맡는 식으로 명목상 당 서열 2위를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 총리 후보로 쑨정차이(孫政才) 충칭시 당서기, 왕양(汪洋) 국무원 부총리, 한정(韓正) 상하이시 당서기 등이 거론된다. 천샤오핑은 “ 쑨정차이는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의 사람이고 왕양도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이끄는 공청단(共靑團) 출신”이라면서 “시진핑이 측근을 앉히려 마음먹을 경우 한정이 새 총리로 낙점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서기는 2007년 시 주석이 상하이 당서기로 일할 때 상하이 시장으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당적 박탈·檢송치… ‘단두대’ 앞 저우융캉

    당적 박탈·檢송치… ‘단두대’ 앞 저우융캉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정책 핵심 타깃으로 지목돼 온 최고 지도부 출신 ‘부패 호랑이’(지도급 부패 인사)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에 대한 사법처리가 수사 1년 만에 마침내 본격화됐다. 시 주석이 권력투쟁에서 거둔 또 하나의 정치적 승리로 평가받는 가운데 1인 지배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한 그의 칼날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시 주석이 주재한 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저우융캉에 대한 당적박탈 및 검찰 송치 조치가 결정됐다. 당국은 처음으로 저우융캉의 혐의도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조사 결과 저우융캉은 엄중한 기율 위반, 직권 남용, 뇌물 수수, 부정 축재, 당과 국가의 기밀 누설, 간통·성매매, 기타(전처 살해) 등 7대 혐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당국은 저우융캉이 자신의 권한을 이용해 주변 사람들이 불법 이익을 얻도록 하는 식으로 친·인척을 동원해 거액의 뇌물을 챙겼을 뿐 아니라 친·인척, 정부, 친구들이 사업상 거대한 이익을 얻도록 하고 국가 자산에 손해를 초래했다고 적시했다. 중국에서는 부패 혐의만으로도 사형이 선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저우융캉은 최고 사형도 가능하다. 앞서 지난해 10월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는 뇌물 수수, 공금 횡령, 직권 남용 등 부패 혐의만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명보는 권력 집중을 완성한 시 주석이 저우융캉 구명에 나섰던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체면을 고려해 저우융캉 사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밀 누설 혐의는 저우융캉이 보시라이와 손잡고 쿠데타를 일으키기 위해 시 주석 취임 전 시 주석 일가 등 지도부의 축재 내역을 해외 언론에 건넨 것을 가리킨다는 분석이다. 2012년 6월 블룸버그는 지난 10여년간 시진핑의 누나 등 일가가 약 4000억원의 재산을 형성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명경은 관련 보도 모두 저우융캉이 정법 계열을 장악하던 시절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저우융캉 재판에서 이를 공개할 경우 보도를 확인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만큼 이 부분은 비공개 처리될 것이란 관측이다. 중국의 검찰 수사는 최장 14개월까지 가능해 내년 말이나 내후년 초까지 저우융캉에 대한 부분 공개재판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앙기율검사위가 ‘기타 범죄 혐의 단서를 포착했다’고 지목한 부분은 저우융캉의 전처 살해 혐의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우융캉 사법처리가 본격화된 만큼 시 주석 낙마 쿠데타를 계획한 신(新)4인방 중 유열하게 사법처리가 안 된 현직 인사인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에 대한 수사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결정이 고강도 반부패 정책의 계속적인 추진을 예고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장 전 주석과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 자칭린(賈慶林) 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 등도 표적이 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상납받은 情婦 28명… 석유회사 때부터 400여명과 동침”

    “상납받은 情婦 28명… 석유회사 때부터 400여명과 동침”

    중국 당국은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이 다수의 여성과 간통하고 권색(權色)·전색(錢色)교역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권색·전색교역이란 권력이나 돈으로 성을 거래한다는 뜻으로 ‘성 상납’ 등을 말한다. 대만 연합보는 저우융캉이 낙마한 보시라이(薄熙來) 충칭시 당서기 등으로부터 상납받은 정부만 28명에 달한다고 지난 6일 보도했다. 이 중에는 국영 중국중앙(CC)TV의 아나운서를 중심으로 연기자, 대학생 등 여러 직군이 망라돼 있다고 전했다. 유명 아나운서 선빙(沈?)은 저우융캉에게 몸로비를 한 대가로 중앙정법위원회 정보센터 부주임까지 올라간 인물로 통한다. 저우융캉보다 28세 어린 두 번째 부인 자샤오예(賈曉燁)도 CCTV 아나운서 출신이다. 저우융캉의 측근인 리둥성(李東生) 전 공안부 부부장이 CCTV 사장 시절 자샤오예를 ‘기쁨조’로 저우융캉에게 소개한 인연으로 두 사람이 부부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우융캉이 자샤오예와 결혼하기 위해 전처 왕수화(王淑華)에 대한 살인을 교사했다는 루머가 정설처럼 전해진다. 연합보는 저우융캉이 천하의 난봉꾼으로 악명이 높아 백계왕(百鷄王·백 마리 암탉을 거느리는 왕)으로 불린다고 소개했다. 그가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에 재직하던 시절부터 400여명의 여성과 동침하면서 이 같은 별명을 얻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중국 웨이보에서는 중국 고위층의 ‘공공 정부’로 통하는 여가수 탕찬(湯燦)이 저우융캉의 정부 중 한 명이라는 글과 함께 검색어 1위를 차지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탄압, 2차 문혁 직전까지 왔다”

    “시진핑 탄압, 2차 문혁 직전까지 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체제 출범 이후 중국이 마오쩌둥(毛澤東)의 문화대혁명(문혁·1966~1976년)과 유사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일간 더 타임스는 4일(현지시간) 시 주석 집권 이후 기자, 학자, 변호사를 비롯한 지식인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는 등 공산당 일당 독재를 위한 사상통제가 강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실제로 구이저우(貴州)성 당국은 최근 지역 내 모든 대학 강의실에 감시 카메라 설치를 지시했다. 이는 대학교수들이 민감한 주제에 대한 언급을 삼가고, 공산당을 비판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받아들여지면서 지식인들 사이에 반발이 일고 있다. 당국은 또 주요 방송과 영화 관계 종사자들을 농촌에 내려보내 기층 인민들의 생활을 체험하는 신하방(下放)운동을 실시하기로 했다. 베이징이공대 후싱더우(胡星斗) 교수는 “대부분 문혁 홍위병 출신인 현 지도부의 사고 방식은 문혁과 계급투쟁에 뿌리를 두고 있다”면서 “중국은 제2문혁 전날 밤(직전)까지 왔고, 현재의 바람은 폭풍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에 500억弗 빌린 베네수엘라 “석유 대신 카리브해섬으로 갚겠소”

    유가 급락으로 국가 부도 위기에 놓인 베네수엘라가 중국에 빌린 돈 500억 달러(약 56조원)를 석유 대신 카리브해에 있는 작은 섬으로 갚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친중국계인 홍콩 대공보(大公報)가 4일 보도했다. 신문은 베네수엘라 재무장관이 최근 중국을 방문해 돈 대신 카리브해에 있는 64.35㎢ 크기의 블랑키아 섬을 주고 수백억 달러의 차관을 추가로 빌리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베네수엘라의 석유수출 시장이다. 베네수엘라는 당초 중국에 빌린 돈 중 일부를 석유로 보내기로 했으나 유가 하락으로 중국에 보내야 하는 석유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고육지책으로 섬을 대신 주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2006년 이래 베네수엘라에 총 500억 달러를 빌려줬으며 베네수엘라는 그 대가로 중국에 하루 평균 64만 배럴 이상의 석유를 보내고 있다. 신문은 베네수엘라가 2009년 미국 뉴저지주에 섬을 선물한 전례가 있다며 성사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전했다. 블랑키아 섬은 유명한 관광지여서 가치가 높다는 점도 덧붙였다. 그러나 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아무런 확인을 하지 않고 있다. 세계 최대 원유 매장량 보유국인 베네수엘라는 원유가 수출액의 95%를 차지하지만 유가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정부 재정이 타격을 받고 있다. 반면 중국은 저유가 시대를 맞아 석유 사재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지난 7월 말 베네수엘라를 방문해 추가 차관 40억 달러를 제공하는 대신 2016년까지 베네수엘라로부터 들여오는 석유 수출량을 하루 100만 배럴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삼다도 ‘三多中’

    제주도가 중국인을 위한 새로운 ‘도박 천당’으로 떠올랐다고 신화통신 계열의 참고소식(參考消息)이 중국 공안부 기관지인 인민공안보(人民公安報)를 인용해 3일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 외교관의 말을 인용해 “제주도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80% 이상이 중국인이고, 중국인 관광객 중 도박하는 이들이 80% 이상이며, 도박을 한 중국인의 80% 이상이 돈을 잃는다”며 제주도가 중국인 도박 범죄의 ‘새로운 중대 재해구역’이 되고 있다고 고발했다. 신문은 또 공안 기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인들이 무비자로 제주도에 갈 수 있게 되면서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등을 주로 찾던 저장(浙江) 지역 도박꾼들이 제주도로 발길을 옮겼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카지노 업체들이 부자 중국인 도박꾼들을 겨냥해 항공권, 호텔, 통역 등의 각종 혜택은 물론 성접대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중국인들이 제주도로 대거 몰리고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신문은 특히 제주도 원정 도박에 대한 단속 가능성까지 시사해 향후 중국인들에 대한 제주도 여행 심사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인민공안보는 “중국 법률은 도박을 금지하고 있고 현재 출국 도박 행위에 대한 처벌도 강화되고 있다”면서 “최근 전국 공안청 치안 총대 책임자들이 출국 도박 범죄를 타격하기 위한 회의를 열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마오처럼 ‘新하방’ 펴는 시진핑

    중국 당국이 주요 방송과 영화계 종사자들을 일정 기간 시골로 내려보내 인민의 생활을 체험하면서 정신을 개조하도록 하는 일명 ‘신(新)하방(下放·지식인을 노동 현장으로 보냄)운동’을 실시한다. 관영 신화통신은 2일 언론·미디어 총괄부처인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영화와 방송에 종사하는 감독, 작가, 연기자, 아나운서 등 문화예술계 주요 인력들을 상대로 기층(基層) 체험 제도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당국은 분기마다 영화 관계자들을 농촌, 탄광 등 오지로 내려보내고 매년 중앙과 지역 방송사 아나운서 100여명을 선발해 소수민족 거주지나 변방, 공산당 혁명 성지가 있는 곳으로 파견할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또한 매년 각각 5개의 중점 영화와 특별드라마를 선정해 관련 제작자들에게 농촌 체험 생활을 시킬 계획이다. 교육기간은 최소 연 30일 이상이다. 신화통신은 이 같은 ‘신하방운동’이 “예술인들에게 예술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갖고 대작을 더 많이 창조하도록 도와주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권력 집중을 위한 반부패 캠페인에서 자신을 반대하는 비판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 이 같은 운동을 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과거 마오쩌둥(毛澤東)이 지식인들을 하방시켜 반대 여론을 잠재운 것과 같은 수법이라는 것이다. 홍콩시립대학 조지프 쳉 교수는 “과거 마오의 하방운동이 지식인만을 겨냥했다면 이번에는 훨씬 광범위한 사람들이 표적이 됐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영원한 棋聖 우칭위안 9단, 100세에 돌 거두다

    영원한 棋聖 우칭위안 9단, 100세에 돌 거두다

    바둑계의 ‘큰 별’이 졌다. ‘현대 바둑의 창시자’ ‘영원한 기성(棋聖)’로 불리던 우칭위안(吳淸源) 9단이 100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한국기원은 1일 우칭위안이 지난달 30일 새벽 일본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에서 노환으로 생을 마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1933년 바둑의 혁명으로 불리는 ‘신포석’(新布石)을 만들어 현대 바둑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1930~1950년대 일본 바둑계 1인자로 군림하며 ‘바둑의 신’으로 불렸다. 특히 그는 ‘바둑 황제’ 조훈현(61) 9단의 동문 사형(師兄)으로 국내에 잘 알려져 있다. 일본 바둑계 원로인 세고에 겐사쿠(1889~1972)는 평생 한국과 중국, 일본에 한명씩 3명의 내제자만을 뒀는데 중국에서는 우칭위안, 일본에서는 하시모토 우타로, 한국에서는 조훈현이었다. 우칭위안은 1928년에, 조훈현은 1963년에 각각 세고에의 내제자로 들어갔다. 우칭위안은 1914년 중국 푸젠(福建)성 푸저우(福州)에서 태어나 부친의 영향으로 일곱 살 때 처음 ‘돌’을 잡았다. 세고에 문하에 들어가 평생 바둑책을 손에서 놓지 않아 왼손 손가락이 기형으로 굽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엄청난 노력파였다. 1933년에는 기타니 미노루(당시 5단)와 함께 ‘신포석’을 발표했는데 이는 ‘흉내 바둑’과 ‘3·3, 화점, 천원 착점’ 등 기존 관념을 깬 파격적인 포석이어서 당시 바둑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는 1939년부터 시작된 기타니와의 ‘치수 고치기 십번기’에서 승리하며 일본 바둑계 1인자로 등극했다. 이후 1956년까지 이어진 가리가네 준이치, 후지사와 구라노스케, 하시모토 우타로, 이와모토 가오루 등과의 치수 고치기 십번기에서도 거푸 이겨 일본 바둑계를 평정했다. 10번기 총전적은 10승 1무 1패였다. 1984년 은퇴한 뒤 부인과 함께 오다와라시 요양원에서 말년을 보냈다. 문하에는 국내에서 활동했던 중국인 여류기사 루이나이웨이(芮乃偉) 9단과 린하이펑(林海峰) 9단을 두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일본에서 그의 ‘백수(百壽) 축하연’이 열리기도 했다. 일본과 중국도 그의 별세 소식을 비중 있게 다뤘다. 일본 NHK는 고세이겐(우칭위안의 일본식 명칭) 별세를 보도하며 “화려하고 자유로운 기풍과 압도적인 힘으로 팬을 매료해 ‘바둑의 신’으로 불렸다”고 평가했고, 아사히신문은 “신포석을 발표해 바둑계의 혁신을 가져왔다”고 그의 업적을 전했다. 중국 반관영인 펑파이(澎湃)신문망은 그가 중국 출신의 귀화 일본인이라는 점에서 그가 세 차례 국적을 바꾸며 살아온 인생 이야기를 집중 조명했다. 펑파이에 따르면 그는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던 1936년 일본 내 활동 편의를 위해 일본으로 귀화했는데 중국에서는 배반자로 낙인 찍히고 일본에서는 중국을 싫어하는 일본인들의 살해 협박에 시달렸다. 1946년 일제 패망 직후 화교 이웃들이 패전국의 국적을 버려야 한다며 제멋대로 그의 국적을 취소시켜 3년간 무국적자로 떠돌았다. 이후 대만 국적으로 살다가 1979년 아이들의 학업과 취업 문제로 다시 일본인으로 귀화했다. 펑파이는 그가 말년에 중·일 우호를 위해 힘썼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 우산 VS 곤봉… 홍콩 유혈충돌 다시 악화

    우산 VS 곤봉… 홍콩 유혈충돌 다시 악화

    한풀 꺾였던 홍콩 민주화 시위가 시위대와 경찰 간 유혈 충돌로 다시 격화되는 분위기다. 시위대 수천명은 지난 30일 저녁부터 1일 새벽까지 홍콩 애드미럴티(鐘) 인근에 있는 정부청사 건물 주변에 대한 기습 점거를 시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 끝에 40여명이 체포됐다고 홍콩 명보 인터넷 뉴스인 명보망이 1일 보도했다. 시위대는 지난 10월 초 홍콩 당국과 대화를 앞두고 청사 인근 점거를 스스로 해제했다가 50여일 만에 재점거 시도에 나섰다. 매체에 따르면 전날 저녁 시위 거점지인 애드미럴티 인근에서 집결한 시위대는 헬멧 등 호신 장구를 착용한 뒤 청사 등 정부 건물이 몰려 있는 인근 룽허(龍和)도로 쪽으로 돌진했다. 당국은 이들을 제압하기 위해 4000여명의 경찰 병력을 파견했다. 시위대는 정부청사 진입로 점거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저지하는 경찰에게 물병 등을 투척했고, 경찰은 이에 물대포을 발사하고 곤봉을 휘두르며 반격했다. 시위대는 경찰의 구타로 10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날 오전 시위대를 정부청사 주변에서 대부분 쫓아낸 뒤 시위대를 ‘폭도’로 지칭하는 성명을 내고 이들을 비난했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를 2개월여 앞두고 중국 당국이 시위 학생들을 ‘폭도’로 규정한 뒤 유혈진압에 나선 바 있어 향후 사태가 주목된다. 시위대도 성명을 통해 전날 밤 포위 시도를 성공적이라고 평가한 뒤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청사 주변 포위 시도를 지속하겠다고 맞섰다. 일부 시위대는 또 다른 거점지인 몽콕(旺角) 지역으로 이동해 “쇼핑을 원한다”고 외치며 비폭력 시위에 나섰다. 홍콩 당국자가 “시위대가 점거물을 치우고 사람들이 몽콕에서 쇼핑을 해야 한다”고 말한 것을 비꼰 것이다. 당국은 몽콕에도 3000여명의 경찰력을 급파했다. 이번 시위 재개는 당국이 최근 시위대의 점거물을 강제로 철거하고 일부 시위 지도부를 체포한 데 반발해 계획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난 29일 치러진 대만 지방선거에서 국민당의 참패로 반중 정서가 확인되면서 시위대가 자극을 받은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대만 ‘反中’ 정치신인의 반란… 양안관계 요동

    대만 ‘反中’ 정치신인의 반란… 양안관계 요동

    지난 29일 치러진 대만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국민당이 참패한 가운데 국민당의 텃밭인 수도 타이베이(臺北)에서 압승한 무소속 커원저(柯文哲·55) 시장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커원저 당선자는 상대편인 롄잔(連戰) 국민당 명예주석의 아들 롄성원(連勝文·44) 국민당 후보에 비해 자금과 조직력에서 뒤처지는 정치 신인이지만 25만 표가량의 차이로 여유 있게 당선됐다고 대만 언론들이 30일 보도했다. 제1야당인 민진당은 앞서 자당 후보의 지지율이 커원저보다 낮게 나오자 일찌감치 후보를 철회하고 커원저를 지원해 왔다. 국립 대만의대 외상의학부 주임 겸 교수인 그는 ‘대만의 민심’을 내세워 젊은 층을 공략한 결과 20~30대 유권자로부터 몰표를 얻었다. 부패 혐의로 장기 복역 중인 야당 출신 천수이볜(陳水扁) 전 총통의 후원인으로, 2012년 천 전 총통을 수술한 뒤 가석방까지 주장한 친야당 성향의 인물로 유명하다. 커원저는 타이베이 시장이 대만 총통의 등용문이란 점에서 유력 대선 주자로 급부상했다. 다만 대만 대선이 2016년 1월로 1년 남짓 남은 터라 일단 민진당과 협력해 정권교체에 나설 것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 그의 당선은 과도한 중국의 영향력을 반대하는 대만의 민심이 압축된 결과라는 점에서 중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실제로 그는 무소속이지만 정책 방향은 대만 독립 노선을 추구하는 민진당과 같은 색채를 띠고 있다. 당선 직전 기자회견에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간 경제 협력의 기초인 92컨센서스(九二共識)에 대해 “그 내용이 도대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해 중국을 발끈하게 만들었다. 1992년 체결된 92컨센서스는 양측 모두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양측이 각각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중화민국(대만) 각자의 국호를 사용한다’(一中各表)는 것으로 대만이 독립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커원저는 지난 3월 국민당이 연내 비준을 공약한 양안 서비스무역협정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국회 점거 시위를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국민당이 텃밭인 타이베이를 포함한 직할시 6곳 가운데 5곳을 야당에 내주며 역대 최악의 참패를 기록함에 따라 마잉주(馬英九) 총통은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당 주석직에서 사퇴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당은 전국 총 22개 지역의 시장 선거(직할시 6개, 현급시 16개)에서 기존 15개 가운데 겨우 6개 지역만 건졌다. 빈과일보(蘋果日報)는 이날 “친공산당 인사들의 배만 불린 마 총통의 양안 정책에 민심이 고개를 돌린 것”이라고 전했다. 우둔이(吳敦義) 현 부총통이 차기 주석으로 거론된다. 이번 선거는 2016년 대선의 전초전으로 여겨지는 만큼 향후 정권교체는 물론 양안 관계 재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안 간 서비스무역협정 등 일련의 경제 협력 정책들이 ‘올스톱’될 것이란 평이 지배적이다. 중국 정부도 이에 대해 긴장한 기색이 역력하다.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마샤오광(馬曉光) 대변인은 선거 직후 성명을 내고 “이번 선거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며 “양안 동포들이 어렵게 얻은 양안 관계의 성과를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네거티브 광고에 한국 끌어들인 타이완 집권당

    타이완의 집권당인 국민당이 29일 치러질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당인 민진당을 공격하기 위해 이웃 국가 한국을 이용한 네거티브 광고를 선보여 타이완 안팎에서 비난 여론이 나온다고 홍콩 명보가 28일 보도했다. 국민당은 최근 ‘누가 한국을 몰래 웃게 하는가’라는 제목의 1분짜리 TV 선거 광고를 틀고 있다. 광고에는 타이완과 한국 간 카드 게임에서 한복을 입은 한국 대표가 경기를 리드하는 화면이 나온다. 양안(兩岸·중국과 타이완) 간 경제협력 진전이 중단된 사이 한국이 중국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는 내용의 내레이션이 곁들여진다. 광고는 “민진당이 ‘중국의 대타이완 시장 개방은 결코 좋은 의도가 아니다’라며 (양안 간 주요 경제) 협정의 입법회(국회) 통과를 막는 사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됐다. 한국은 민진당에 고맙다고 말한 뒤 몰래 웃는 얼굴로 ‘내 뒤나 천천히 따라오라’고 한다”며 한국을 물고 늘어진다. 이는 20년 전만 하더라도 한국과 비슷한 선상에 있던 타이완 경제가 지금은 한국에 뒤처지면서 형성된 타이완인들의 혐한 감정을 이용하려는 의도라는 평이다. 그러나 광고가 선거에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이번 선거에서 국민당이 열세인 것은 중국과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데 대한 타이완인들의 우려가 작용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국민당은 최근 여론조사 결과 텃밭인 수도 타이베이에서마저도 야당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은 한 타이완 언론인의 말을 인용, “집권당이 지방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이웃 국가를 끌어들이는 것은 국제적인 망신을 자초하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축구광 시진핑 주석, 축구 필수과목 지정

    축구광 시진핑 주석, 축구 필수과목 지정

    중국 정부가 축구를 초등학교와 중학교 필수과목으로 지정키로 했다고 경화시보(京華時報) 등이 27일 보도했다. 소문난 축구광인 시진핑(習近平·삽화) 국가주석의 남다른 축구 사랑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26일 전국 청소년 학교 축구 사업 화상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학교 축구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류옌둥(劉延東) 부총리는 회의에서 “청소년 축구 및 학교 체육 사업을 강화하라는 시 주석의 지시가 잘 실행되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에 위안구이런(袁貴仁) 교육부장은 “축구를 학교 체육 과정 내 필수 분야로 정해 축구 교육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보고했다. 당국은 또 2017년까지 전국에 2만개 안팎의 초·중학교를 ‘축구 특색 학교’로 육성하고 200개 정도의 대학 축구팀을 만들기로 했다. 2015년까지 전국적으로 6000명의 축구 전문 교사도 양성할 계획이다. 중국 정부가 축구 교육을 강화하려는 것은 시 주석의 관심에도 중국 국가대표의 축구 실력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올림픽 등 각종 국제대회에서 미국과 함께 종합 1∼2위를 할 정도의 체육 강국으로 통하지만 축구만큼은 성적 부진과 함께 승부조작 등 추문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시 주석은 국가부주석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애정을 공개적으로 피력해 왔다. 2012년 2월 부주석 신분으로 아일랜드를 방문했을 때 축구장에서 구두를 신고 킥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으며 정상회담이나 외국 기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도 항상 축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러, 최첨단 방공미사일 중국에 수출… 고립 피하고 센카쿠 견제하고 ‘윈윈’

    러, 최첨단 방공미사일 중국에 수출… 고립 피하고 센카쿠 견제하고 ‘윈윈’

    러시아가 자국의 최첨단 방공미사일 시스템인 S400을 중국에 수출할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국영무기수출업체 로스오보론엑스포르트와 중국 국방부가 지난 9월 최소 6개 대대 무장 분량의 S400 시스템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중국 환구망(環球網)이 27일 러시아 일간지 베도모스티를 인용해 보도했다. 계약 금액은 30억 달러(약 3조 3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러시아와 중국은 수년 동안 S400 매매 협상을 벌여 왔으나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알려진 건 처음이다. 러시아 현지 언론들은 지난 3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S400 미사일의 중국 공급을 승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러시아는 1990년대부터 중국에 S300 미사일을 대량 수출해 왔다. 그러나 첨단 미사일 기술 유출 등을 우려해 S400의 외국 수출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취해 왔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국제적으로 고립된 뒤 중국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면서 미사일 수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번 구매로 미국·일본 연합군에 대한 공중 전력 방어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이 미사일이 각각 타이완과 일본을 바라보는 푸젠(福建)성, 저장(浙江)성에 배치될 경우 타이완 전역 및 일본과 분쟁 중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사정권에 둘 수 있다. 러시아는 막힌 유럽 시장 대신 중국에 천연가스를 판매하고 중국은 러시아의 최첨단 무기를 손에 넣는 식으로 양국 간 협력의 면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평이다. ‘트리움프’(승리)로 이름 붙여진 S400 미사일은 2007년부터 러시아군에 실전 배치된 사거리 400㎞의 첨단 지대공미사일이다. 적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과 크루즈 미사일, 전투기 및 폭격기 등을 공중 요격할 수 있다. 러시아군은 현재 S400과 그 이전에 배치된 S300 미사일을 방공미사일 부대의 핵심 무기로 운용하고 있다. 한편 반관영인 중국신문망은 러시아연방군사기술협력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016년 이전까지 S400 시스템이 수출될 일은 없다”며 관련 보도를 부인했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홍콩 시위’ 주도 조슈아 웡 체포

    ‘홍콩 시위’ 주도 조슈아 웡 체포

    홍콩 민주화 시위인 ‘우산혁명’의 주역 조슈아 웡 등 학생 지도부 일부가 26일 당국에 체포됐다. 명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고등학생 모임인 학민사조(學民思朝) 위원장 조슈아 웡은 이날 점거 시위 철거 현장인 몽콕에서 바리케이드 철거 명령을 집행하러 온 법원 관계자들을 저지하다 경찰에 끌려갔다. 조슈아 웡과 함께 시위를 이끌어 온 대학생연합회 홍콩전상학생련회(학련)의 레스터 셤 부비서장 등을 비롯해 20여명이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학련은 경찰의 시위대 체포에 대해 투쟁 강도를 강화하겠다고 경고했으며, 홍콩기자협회는 경찰이 시위 현장을 취재하던 방송사 직원도 체포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홍콩 고등법원은 지난달 20일 인근 건물주, 택시협회 등의 요구에 따라 애드미럴티와 몽콕 시위대에 점거 금지 명령을 내렸다. 이에 당국은 지난 18일 애드미럴티 지역에 대한 철거 작업을 진행한 데 이어 전날부터 몽콕 지역 점거물 철거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와 경찰 간 몸싸움이 일어났고 100여명이 체포됐다. 14세 미만의 소년 1명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민주화시위는 지난 8월 말 중국 당국이 홍콩 행정수반 선거에 나올 수 있는 후보를 친중국계로 제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면서 촉발됐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재벌, 美명문대 100억원대 기부…자녀 특혜입학”

    중국 부동산 재벌 판스이(潘石屹) 소호차이나 회장이 지난 7월 하버드대에 1500만 달러(약 166억원)를 기부한 데 이어 10월 예일대에 1000만 달러의 장학금을 낸 것으로 알려지자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해외에 서버를 둔 반체제 매체 보쉰(博訊)은 24일 “판 회장이 하버드대에 기부한 것은 아들의 입학권을 따내려는 목적이었으며, 예일대에 거액을 쾌척한 것은 중국 고위 관료 자녀의 입학 추천권을 확보해 이들과 정경유착을 맺기 위한 의도”라고 보도했다. 보쉰은 “다른 중화권 기업들도 미 명문대에 기부금을 내는 식으로 입학 추천권을 확보한 전례가 있다”며 “장학금을 내고 추천권을 받아 고위 관료들에게 바치는 식으로 사업 기회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고위 관료 자녀 한 명만 미 명문대에 입학시키면 사업 이권을 받아 1000만 달러 정도는 단박에 회수한다는 것이다. 보쉰은 “이런 식으로 미 명문대에 입학한 중국 고위 관료 자제는 대부분 성적이 달린다”며 “특혜를 줘도 대학 학부 입학 자격이 미달인 경우 교환학생으로 들어가 전학하거나 대학 석사과정으로 입학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부패 혐의로 낙마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아들 보과과(薄瓜瓜)가 하버드대에서 석사과정인 공공정책 프로그램을 이수한 게 대표적이라고 덧붙였다. 판 회장은 미 대학 기부와 관련한 논란에 “가난한 중국 유학생들도 해외 유수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중국 농촌에는 초등학교에 가기도 어려운 아이가 많다”며 판 회장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홍콩 봉황망은 네티즌의 말을 인용해 “미국으로 유학 가는 중국인 학생은 모두 부자여서 장학금이 필요 없다”고 꼬집었다. 한편 중국 부자 연구소 후룬(胡潤)연구원이 발표한 ‘2014년 해외 유학 보고서’에 따르면 1000만 위안(약 18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중국 부유층의 80%가 자녀의 해외 유학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희망 학과로는 대학원의 경우 60%가 경영학을 선택했으며, 학부 과정은 수학·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 외에 경영학·전자공학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남태평양까지 손 뻗은 시황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최고지도자로는 처음으로 피지를 방문한 데 이어 남태평양 8개 도서국 정상들과도 만나 ‘통 큰’ 지원을 약속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과의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자국 앞바다인 서태평양에 대한 패권을 굳힌 데 이어 남태평양까지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시 주석은 22일(현지시간) 피지 난디에서 프랭크 바이니마라마 피지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피지의 경제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협력 강화를 당부했다고 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23일 보도했다. 시 주석은 이번 방문에서 피지에 총 7000만 위안(약 127억원)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앞서 지난 8월 약속한 8000만 위안을 합하면 중국이 올해 피지에 지원하는 돈은 총 1억 5000만 위안(약 284억원)에 달한다고 BBC 중문망이 전했다. 중국은 수자원과 광물자원의 보고인 남태평양 지역에서 피지를 거점 국가로 삼아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2006년 이후 미국, 호주 등 서구 국가들이 쿠데타를 이유로 피지에 대한 경제 지원을 대폭 줄인 사이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워 피지에 애정 공세를 퍼부어 왔다. 시 주석은 같은 날 태평양 도서 8개국 정상을 상대로도 집단 정상회담을 주재하고 “태평양 도서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증가만 할 뿐 거꾸로 감소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남태평양 도서국 등) 발전 수준이 가장 낮은 개발도상국가들이 중국에 수출하는 제품의 97%에 대해 무관세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이 밖에 이들 국가와 농어업·해양자원 및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5년간 이들 국가 2000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제공하고 5000개의 산업연수 일자리도 주기로 했다. 회의에는 피지를 포함해 미크로네시아 연방, 사모아, 파푸아 뉴기니, 바누아투, 쿡 제도, 통가, 니우에 등 8개국 정상이 참여했다. 홍콩 봉황망은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을 “중국의 해상 역량을 강화하고 아·태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평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