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8
  • 시진핑 ‘호랑이 몰이’ 문화예술계도 겨눴다

    시진핑 ‘호랑이 몰이’ 문화예술계도 겨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전방위적인 반부패 불길이 문화예술계로 번지고 있다. 부패 관리 곁에서 브로커로 활약해 온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차기 수사 대상으로 확정됐다고 관영 신화통신 계열의 참고소식(參考消息)이 15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아사히신문을 인용해 고서화 등 중국 골동품을 좋아하는 부패 관리들 곁에서 뇌물수수를 알선해 온 화가 등 문예인들이 조상 대상으로 확정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황금, 현금, 보석, 부동산, 자녀유학, 도박, 골프 회원권, 성상납 등은 물론 ‘돈세탁’과 직결되는 예술품도 뇌물로 애용된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낙마한 안후이(安徽)성 부성장 니파커(倪發科)는 광산 채굴권을 넘겨주는 대가로 1200만 위안(약 21억원) 상당의 비취 보석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부패 혐의로 사형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류즈쥔(劉志軍) 전 철도부장의 집에서는 고가 서예작품과 고서화는 물론 비취 공예품 200점이 발견됐다. 당 기율검사위가 조준한 문예계 인사들 중에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등 전직 지도부와 가까운 거물급 스타가 상당수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부패가 문예계로 확산된 것은 시 주석의 일인지배 체제 구축을 공고화하기 위한 권력투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이와 관련, 당장 유명 코미디언 자오번산(趙本山)이 곧 체포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오번산은 반시진핑 쿠데타를 모의한 것으로 전해지는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대변인’으로 통하는 인물로 최근 들어 ‘출연정지설’, ‘조사설’ 등 연일 구설에 시달리고 있다. 중화권 언론들이 공공연히 장쩌민의 정부(情婦)라고 부르는 인민해방군 소속 여가수 쑹쭈잉(宋祖英),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의 동생 쩡칭준(曾慶准) 국가문화성유한공사 주석의 이름도 거론된다. 앞서 월드스타 청룽(成龍), 영화감독 장이머우(張藝謀) 등 장쩌민 계열의 스타 군단 상당수가 시 주석 집권 이후 수난을 당한 것도 권력투쟁의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회과학원 출신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권색교역(權色交易)이나 권전교역(權錢交易), 혹은 자신의 인지도를 이용해 특정 정치인을 띄워 주는 일은 문예계 인사들 사이에선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권력투쟁이 문예계 전반에 대한 숙청으로 이어지는 것은 마오쩌둥(毛澤東) 시절 이후 전례를 찾기 어렵다”고 평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저우융캉 첫 언급 시진핑 “반부패 투쟁 승리 안 했다”

    저우융캉 첫 언급 시진핑 “반부패 투쟁 승리 안 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부패로 낙마한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 등의 이름을 공식석상에서 처음으로 거론하며 좀 더 강도 높은 부패 척결을 천명하면서 ‘큰 호랑이’(부패 몸통) 사냥이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시 주석은 지난 13일 베이징에서 열린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5차 전체회의에서 “최근 2년간 (당 기율위가) 적발한 (부패) 문제들로 볼 때 반부패 투쟁의 형세는 여전히 엄중·복잡하고, 우리는 반부패 투쟁에서 아직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고 지적한 뒤 “반부패 투쟁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신화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시 주석은 이어 당원들은 당 기율을 반드시 준수하고 조직의 결정에 복종해야 하며 친·인척이나 주변인들이 특수 신분을 이용해 불법 이익을 챙기지 못하도록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시 주석은 특히 저우융캉 전 상무위원을 비롯해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 링지화(令計劃) 전 통일전선부장, 쑤룽(蘇榮) 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등 비리로 낙마한 지도부급 인사들의 이름을 처음으로 언급하면서 “당심과 민심을 역량의 원천으로 삼아 반부패 투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의 이날 발언은 저우융캉 등 지도부 4인을 낙마시킨 것에서 멈추지 않고 ‘호랑이’ 사냥에 계속 매진하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이 반부패로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하는 동안 원로 및 각 계파 등 기존 정치 세력들의 불만이 커졌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부패 척결로 좀 더 강력한 억지력을 구축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반격을 당할 수 있는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시 주석의 발언과 관련, “한 판 ‘대결’을 앞두고 대오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전력 업계를 장악해 일명 ‘전기 호랑이’로 불리는 리펑(李鵬) 전 총리의 아들 리샤오펑(李小鵬) 산시(山西)성장이 감찰 등 부패 감사에 대한 지도 권한을 빼앗겼다고 홍콩 명보가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리펑 가족이 차기 타깃이 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새 타깃은 궈보슝… 장쩌민의 軍 심복도 체포 임박설

    반시진핑(習近平) 쿠데타를 주도한 ‘신4인방’이 모두 제거됨에 따라 차기 타깃으로 지목돼 온 궈보슝(郭伯雄)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대한 체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반체제 매체 보쉰(博訊)이 13일 보도했다. 보쉰은 베이징(北京)에 주둔하는 무장경찰인 베이징총대(총본부)에 비상 출동 대기령이 발동됐으며 이는 궈보슝 전 부주석을 긴급 체포하기 위한 조치라고 전했다. 총대는 베이징시 하이뎬(海淀)구 완서우루(萬壽路)에서 대기 중이다. 궈보슝은 ‘신4인방’의 일원으로 지난해 낙마한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과 함께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군부 심복으로 통한다. 두 사람은 장 전 주석의 후광을 입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시절 중앙군사위 부주석을 지내며 군내 파벌을 구축하고 각종 비리와 인사 청탁에 광범위하게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궈보슝의 측근들이 지난해 말부터 숙청되자 그 역시 곧 제거될 것이란 설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군 당국으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뒤 투신자살한 마파샹(馬發祥) 해군 부정치위원(소장)도 궈보슝의 측근으로 전해진다. 특히 궈보슝 체포 이후 시진핑 국가주석의 반부패 칼날이 더 높은 곳을 향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신화망은 시 주석이 최근 각종 담화를 모아 출간한 책에서 “반부패에 있어 (건드릴 수 없는) 마지노선은 없으며 악을 제거해야 임무가 끝난다”고 말했다며 ‘호랑이(부패 몸통) 사냥’이 계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홍콩선 反中 언론에 ‘화염병 테러’

    홍콩 내 대표적인 반중 매체인 빈과일보(?果日報)를 소유한 넥스트미디어 그룹 설립자의 자택과 회사 사옥이 12일 새벽 괴한들로부터 화염병 투척 테러를 당했다고 BBC 중문망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새벽 1시쯤 까우룽(九龍)반도 호만틴산(何文田山)에 있는 넥스트미디어 그룹 설립자 지미 라이(黎智英)의 집과 홍콩 청콴오(將軍澳)에 있는 넥스트미디어 본사 입구에 승합차가 나타나 화염병을 투척하고 달아났다. 경비원들이 재빨리 불길을 진압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빈과일보 예이젠(葉一堅) 사장은 “일부 인사들이 민주와 자유의 가치를 수호하는 넥스트미디어 그룹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런 테러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넥스트미디어 그룹을 겨냥한 테러가 이전에도 수차례 발생했지만 당국이 한번도 범인을 잡지 못해 계속 발생하는 것 같다”고 성토했다. 홍콩 언론 재벌로 불리는 지미 라이는 반중 인사로, 지난해 말 발생한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 점거 시위 당시 자금줄로 지목된 바 있다. 점거 시위 현장에서 체포됐다가 석방된 뒤 넥스트미디어 그룹에 있는 모든 직위에서 물러났다. 지미 라이는 홍콩 당국으로부터 반중 정치인사들에게 불법으로 2년간 약 4000만 홍콩 달러(약 56억원)를 지원해 온 혐의도 받은 바 있다. 홍콩 내 반중 매체 인사들에 대한 테러가 계속되면서 홍콩 언론들 사이에 공포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2월 명보(明報)의 케빈 라우춘토(劉進圖) 전 편집장은 괴한 2명에게 흉기로 공격당했으며, 이어 3월에는 창간을 준비 중이던 민주 성향의 홍콩신보(香港晨報) 임원진 2명이 괴한으로부터 습격당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최고과학상 2년째 핵개발자 수상

    중국에서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핵 물리학자 위민(于敏·89) 중국공정물리연구소 고급과학 고문이 2014년 국가최고과학기술상을 수상했다고 관영 신화망이 지난 10일 보도했다. 전년에는 ‘원자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핵 물리학자 청카이자(程開甲·97) 군 총장비부 과학기술위원회 고문이 이 상을 받았다. 핵무기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2년 연속 국가최고과학기술상을 받은 것이다. 베이징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위민은 중국이 1967년 첫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위민이 없었다면 중국은 핵 보유국이 되지 못했을 것이란 말이 있을 정도다. 신화망은 위민이 국가 기밀급 핵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1976년부터 무려 12년간 신분을 숨기고 살아야 했다며 국가를 위해 평생 헌신했다고 치켜세웠다. 신화망은 특히 국가최고과학기술상이 제정된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이 상을 받은 중국 과학자는 모두 25명이지만 핵무기 개발에 공헌한 과학자가 선정된 것은 지난해와 올해가 유일하다고 전했다. 지난 9일 열린 시상식에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직접 나와 상을 수여했다. 허리를 굽힌 시 주석이 휠체어에 앉은 위민에게 상을 주는 모습이 공개됐다. 상금은 500만 위안(약 8억 8000만원)이다. 시진핑 집권 이후 2년 연속 핵무기 개발 과학자가 이 상을 받은 것은 중국이 시진핑 체제 들어 ‘이기는 군대’를 기치로 내걸고 전방위적인 국방 개혁을 추진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생일 맞은 김정은에 축전… 양국관계 복원 메시지 인 듯

    중국 정부는 8일 생일을 맞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김정은에게 발송한 축전이 있느냐’는 질문에 “중조(中朝·중국과 북한)는 전통 우호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우리는 북한이 김정은 동지의 영도 아래 조선식 사회주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이번 축전은 북핵 실험 이후 장기간 침체된 양국 관계를 복원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달 주중 북한대사관에서 열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주기 행사에 당 서열 5위인 류윈산(劉云山)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보내 양국 간 ‘전통 우호 관계’를 강조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 “향후 10년간 중남미에 2500억弗 투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8일 “중국은 향후 10년간 중남미 지역에 2500억 달러(약 274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중국·중남미국가공동체(CELAC·셀락) 포럼 장관급 회의 개막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관영 중국중앙(CC)TV가 보도했다. 시 주석은 또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과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양자무역 규모를 5000억 달러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중국과 중남미 간 무역 규모는 2013년 현재 2616억 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발언은 무역과 투자를 모두 끌어올려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미국의 뒷마당’ 격인 중남미 지역과의 유대를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이번 회의는 양측의 총체적인 협력이 구상 단계에서 구체화되는 단계로 넘어갔음을 의미한다”면서 “중국은 중남미와의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새로운 발전을 실현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이 2015년부터 향후 5년간 양자 협력을 강화하는 협력 계획과 베이징선언 등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앞서 시 주석은 지난 7일 회의 참석을 위해 방중한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과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을 만나 각각 200억 달러와 75억 달러를 투자 및 대출 형태로 빌려주기로 하는 등 중남미에 대한 재정 지원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중국·셀락 포럼 장관급 회의는 지난해 7월 브라질을 방문한 시 주석의 제안으로 탄생했다. 중국이 중남미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것은 이 지역에서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를 견제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11번 언급… 왕이 공개 ‘충성맹세’

    시진핑 11번 언급… 왕이 공개 ‘충성맹세’

    중국 외교부 수장인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중국 공산당 이론지 구시(求是)에 4000자 분량의 기고문을 싣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에게 공개적으로 충성을 맹세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왕 부장은 지난 1일 발행된 구시 최신호에 게재한 ‘(중국 외교가) 새로운 장을 쓰다, 새로운 길을 가다’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시 주석의 이름을 11차례 언급하며 시 주석이 주창한 외교 이념과 성과를 극찬하고 시 주석을 중심으로 단결해 ‘중국의 꿈’(中國夢)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자고 주장했다. 그는 “2014년은 시 주석의 정확한 영도 아래 중국 외교가 ‘중국의 꿈’을 실현하는 데 보다 유리한 외부 환경을 조성하고, 국제 무대에서 책임지는 대국으로서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발휘한 한 해였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이 ‘일대일로’(一帶一路·중앙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신실크로드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아시아 안보관’ 등을 주창한 게 대표적인 사례라고 적시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시 주석의 외교 사상을 열심히 배우고, 최근 (시 주석 주재로) 열린 (2차) 외사공작회의(외교업무회의) 정신을 깨우쳐 중국의 주권, 안전, 그리고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며 시 주석의 외교 이념을 거듭 강조했다. 왕 부장이 지난해까지 발표한 기고들은 문장 끝에 시 주석의 말을 일부 언급했을 뿐 이번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시 주석을 높이는 데 치중한 것은 처음이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이와 관련, “왕 부장이 낙마한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링지화(令計劃) 전 통일전선부장 등과 상관없음에도 ‘충성맹세’를 한 것은 시 주석이 반부패를 이용해 외교부에 대해서도 대파대립(大破大立·크게 부수고 크게 세우다)식 인사를 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 주석이 반부패로 일인지배 체제를 수립하면서 군대 내 구세력을 쳐내고 자신의 사람들을 심고 있는 것처럼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시절 형성된 현 외교부의 권력 구도가 대폭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퍼지고 있다. 외교부가 링지화의 측근으로 통하던 장쿤성(張昆生) 부장조리(차관급)를 내부 조사로 척결하고 이를 자진 공개한 것도 외교부의 자체 정화 시스템을 강조하는 식으로 반부패를 앞세운 외부 조정에서 비켜나겠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둬웨이는 “중국 외교부는 마오쩌둥(毛澤東)이 언급했듯 ‘침으로 찌를 수도, 물을 끼얹을 수도 없는 독립왕국’과 같은 무풍지대였지만 시진핑이 외교부 내 권력 구도를 바꾸려고 마음먹은 이상 앞으로 일대 풍파에 직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중남미 집결시킨 시진핑의 ‘안방 외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8~9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중국-중남미국가공동체(CELAC·셀락) 포럼 장관급 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올해 첫 ‘홈그라운드 외교’(主場外交)를 선보인다고 관영 신화망이 6일 보도했다. 통신은 “중국이 이번 회의에서 중국과 셀락 간 협력을 위한 지도 의견을 제시할 것”이라며 ‘홈그라운드 외교’를 거듭 강조했다. ‘홈그라운드 외교’는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고 힘을 기르다)에서 ‘적극작위’(積極作爲·적극적으로 역할을 한다)로 바뀐 시진핑 시대의 외교를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다. 해외 각국 정상들을 안방으로 불러들여 자국의 국익과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의제를 제시하는 공격적인 외교를 말한다. 시 주석이 지난해 열린 상하이(上海)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 회의(CICA) 정상회의와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에서 각각 ‘아시아 안보관’과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구축을 내세웠던 것처럼 이번 회의도 중국이 세계 질서를 주도할 무대로 활용하겠다는 의미다. 시 주석은 이를 위해 회의 첫날인 8일 개막식에서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 라우라 친치야 미란다 코스타리카 대통령 등과 축사를 함께할 예정이다. 주칭차오(祝靑橋) 중국 외교부 라틴아메리카사(司) 사장은 기자설명회에서 “회의에는 셀락 회원국 33개 국가 중 30개 국가에서 20명의 외교장관을 비롯해 일부 국가의 경제무역, 관광, 과학기술 분야 장관 등 40명이 넘는 장관급 관료가 참가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北 무장탈영병, 中서 주민 4명 살해

    북한군 탈영병이 지난해 말 북한과 접경한 중국 마을에서 주민 4명을 살해하고 달아났다가 중국 당국에 붙잡히는 사건이 발생했다. 5일 북·중 접경 지역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중국 지린(吉林)성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 허룽(和龍)시 난핑(南平)진에서 북한군 탈영병 1명이 민가 여러 곳을 돌며 총기를 발사해 주민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범인은 사건 당일 중국 군·경에 붙잡혔으며 현재 간수소(구치소)에 수감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도 이런 사건이 있었음을 확인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5일 정례브리핑에서 사건의 진위를 확인해 달라는 질문을 받자 “중국은 이미 북한 측에 항의(교섭)했다”며 “중국의 공안 부문이 법에 따라 사건을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은 자국 국민 여러 명을 살해한 북한 탈영병은 중대 범죄로 다스려야 한다는 생각이어서 일반적인 탈북 병사와 달리 신병을 그대로 북한에 넘기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3년 12월에는 20대 탈북 남성이 옌볜주 옌지(延吉)시 이란(依蘭)진 민가에 들어가 70대 조선족 부부를 살해한 뒤 현금 2만 위안(약 360만원)을 훔쳐 베이징(北京)으로 달아났다가 중국 공안에 붙잡혔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차기 호랑이’ 싹 자른 시진핑

    中 ‘차기 호랑이’ 싹 자른 시진핑

    중국 장쑤(江蘇)성의 성도인 난징(南京)시의 일인자 양웨이쩌(楊衛澤·53) 당서기가 ‘엄중한 기율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관영 신화망이 5일 보도했다. 양웨이쩌는 올 들어 낙마한 첫 성부급(省部級·장차관급) 고위직이다. 양웨이쩌가 리위안차오(李源潮) 국가부주석의 측근이라는 점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사정 칼날이 ‘차기 호랑이’(부패 몸통)로 리위안차오를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웨이쩌는 리위안차오 부주석이 장쑤성 일인자인 당서기 재직 시절(2000~2007년) 장쑤 지역에서 승진 가도를 달려온 인물이다. 2000년대 초반 쑤저우(蘇州)시장에서 우시(無錫)시 당서기로 한 단계 올라선 데 이어 2006년 차관급인 장쑤성 당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승진했다.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은 이날 리위안차오 부주석이 장쑤성 당서기 시절 음주 사건 등으로 위기에 처했던 양웨이쩌를 보호해 주며 측근으로 관리해 왔다고 전했다. 시 주석 집권 이후 ‘큰 호랑이’들은 주변 측근들부터 정리돼 온 패턴에 비춰 리위안차오 부주석의 낙마설과 연계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리위안차오는 반(反)시진핑 쿠데타 세력인 ‘신4인방’과 가까운 사이라는 소문에 휩싸여 있다. 명경은 앞서 리위안차오가 ‘신4인방’의 일원인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과 링지화(令計劃) 전 통일전선부장의 비밀 모임에 참석해 충성 서약을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리위안차오의 측근인 양웨이쩌는 리위안차오뿐만 아니라 우시 당서기 재직 시절 저우융캉 전 상무위원 가족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저우융캉 일가가 호화 별장을 짓도록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세계적 리조트 업체 ‘클럽메드’, 中 푸싱그룹에 팔릴 듯

    한국인들도 많이 찾는 프랑스의 휴양·레저 체인인 클럽메드가 중국 민영기업 푸싱(復星)그룹에 인수될 것으로 전망된다. 푸싱그룹과 클럽메드 인수 경쟁을 벌여 온 이탈리아 글로벌리조트의 소유주 안드레아 보노미가 지난 2일 클럽메드 인수를 포기한다고 밝힘에 따라 푸싱그룹이 사실상 클럽메드를 인수하게 됐다고 대만 연합보가 4일 보도했다. 푸싱은 글로벌리조트와 지난 18개월 동안 클럽메드 인수전을 벌여 왔다. 클럽메드 인수 가격은 양측 간 경쟁으로 당초 주당 17유로에서 24.6유로까지 높아졌다. 주당 24.6유로에 인수할 경우 클럽메드는 약 9억 3900만 유로(약 1조 2700억원)에 팔리게 되는 셈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보노미는 성명에서 “더 이상 새로운 인수 가격을 써내지 않을 것이며 이전에 제안했던 것도 모두 취소한다”고 밝혔다. 글로벌리조트가 현재 보유 중인 클럽메드 지분(18.9%)은 푸싱에 넘기거나 시장에 내다 팔 계획이다. ‘가족 휴양 리조트’의 대명사로 불려 온 ‘클럽메드’는 세계 26개국에 70개의 리조트 빌리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직원 수만 1만 3000명에 이른다. 유럽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지난해 1200만 유로의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돌파구로 성장 가능성이 큰 중국을 겨냥해 리조트를 확대하려 하고 있다. 지난해 클럽메드 신규 이용객 2만 5000명 가운데 80%가 중국인이었다. 푸싱은 앞서 클럽메드 인수에 성공하면 고객의 3분의1가량을 중국인으로 채울 것이라고 밝혔다. 푸싱은 이미 클럽메드 주식 18.4%를 보유하고 있다. 1992년 생겨난 중국 민영 기업 1세대로 상하이(上海) 푸단(復旦)대 출신의 궈광창(郭廣昌) 등 4인에 의해 설립됐으며 국내외 20여개 대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정치원로 장쩌민 “내 가족은 건드리지 마!”

    中 정치원로 장쩌민 “내 가족은 건드리지 마!”

    장쩌민(江澤民·89) 전 중국 국가주석이 연초부터 공개 활동을 통해 건재를 과시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전방위적인 사정 한파로 정치 원로들의 위상이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이뤄진 행보여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 전 주석이 이달 초 부인 왕예핑(王冶坪·87) 여사를 비롯해 아들과 손자를 이끌고 하이난(海南)성의 명산 둥산링(東山嶺)에 올랐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4일 보도했다. 장 전 주석은 왕 여사와의 사이에 두 아들 장몐헝(江綿恒·64) 상하이(上海)과학기술대 총장, 장몐캉(江綿康·58) 상하이시지리유한공사 사장을 두고 있다. 신문은 목격자들의 말을 인용해 “장쩌민은 부축을 받아야 했지만 대체적으로 건강해 보였다”고 전했다. 장쩌민은 둥산링에 올라 “하이난의 명산에 오르지 못했다면 한으로 남았을 것이다. 내가 이곳에 온 게 결코 헛걸음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난성 뤄바오밍(羅保銘) 당서기가 장쩌민을 직접 수행했다. ‘사망설’과 ‘와병설’에 시달리는 장쩌민이 연초부터 산에 올라 공개 활동에 나선 것은 시 주석을 상대로 자신의 가족은 건드리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시 주석의 사정 칼날 아래 장쩌민 계열로 통하던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등 ‘큰 호랑이’(부패 몸통)들이 줄줄이 낙마하면서 ‘전직 원로는 건드리지 않는다’(刑不上常委)는 불문율이 깨졌으며 저우융캉 구명 로비를 시도했던 장쩌민은 차기 타깃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저우융캉 조사 과정에서 장쩌민의 장남 장몐헝이 저우융캉의 아들과 함께 석유 업계를 농단하며 비리에 연루돼 있다는 소문이 흘러나온 바 있으며 손자 장즈청(江志成·29)은 장쩌민의 도움을 받아 창업한 사모펀드 보위(博裕)를 통해 3조원대의 거액을 챙겼다는 외신의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장밍(張鳴) 중국인민대 정치학과 교수는 “중국 원로들의 공개 활동에는 반드시 정치적 함의가 있다”면서 “자신의 가족들을 지키겠다는 필사적인 의지를 담은 제스처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특파원 칼럼] 시진핑의 뉴노멀 시대/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시진핑의 뉴노멀 시대/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집권한 지 3년째 접어들면서 중국에선 ‘뉴노멀’(New normal)이란 말이 유행하고 있다. 중국어로 ‘신창타이’(新常態)로 번역되는 이 단어는 시 주석이 지난해 5월 지방 순시 때 연간 7%대 성장에 그치는 중국 경제에 대해 “‘경제 뉴노멀’(초고속 성장 시대가 끝나고 중고속 성장이 일반화한 상태)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부터 중국에서 ‘뉴노멀’은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분위기다. 반(反)부패는 시진핑의 ‘정치 뉴노멀’이다. 2013년 말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에 대한 체포설이 나돌던 때만 해도 ‘호랑이(거물급 부패 인사) 잡기’는 저우융캉 처벌로 끝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중국 정치는 각 파벌 간 경쟁과 합종연횡이 심해 새 지도부의 부패 청산 작업이 쉽지 않았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우융캉은 물론 최근 낙마한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장관급)까지 ‘부패 호랑이’가 잇달아 반부패 칼날에 쓰러지자 다음 타깃에 주목해야 하는 ‘새로운 상태(常態)’가 만들어진 것이다. 시 주석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최고지도자의 신년 메시지에서 ‘반부패’를 언급한 것은 올해도 부패 척결의 끈을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이 종전의 집단지배 체제를 깨고 1인지배 체제를 굳힌 것도 ‘정치 뉴노멀’에 해당한다. ‘문화 뉴노멀’은 시진핑 띄우기로 정리된다. 시진핑의 ‘말씀’을 담은 책은 중국 서점가에서 추천 도서이자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시진핑을 찬양하는 노래와 뮤직비디오까지 등장해 인터넷을 달구고 있다. 그가 다녀간 식당은 하루아침에 명소가 되고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시 주석이 먹은 음식은 유행이 된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모옌(莫言)은 “이제는 반부패를 주제로 한 소설을 써야 할 때”라며 시진핑의 반부패 조치를 극찬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당시 시 주석이 언급한 ‘APEC 블루’(스모그 없는 파란 하늘)는 중국의 ‘환경 뉴노멀’이다. 전 도시와 부처가 앞다퉈 환경 대책을 내놓고 있다. 정치·경제·문화 분야의 뉴노멀이 중국인의 사회 의식을 바꾸는 ‘사회 뉴노멀’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까지 나온다. 지금 중국은 각 분야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현상에 ‘뉴노멀’이라는 간판을 붙이고 있다. 관영 언론들 사이에는 혁신과 개혁이 ‘뉴노멀’의 핵심이라며 시 주석 집권 이후 변화하는 중국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피력하는 목소리가 높다. 중국의 뉴노멀은 이제 사람들이 받아들여야 할 새로운 기준이 된 것처럼 보인다. 최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내외신 기자를 상대로 가진 신년회에서 “중국과 국제 사회가 밀접해지는 추세로 볼 때 중국은 중국 특색의 외교 이념을 명확히 해야 하고, 세계 각국 인민들로 하여금 (중화민족의 부흥을 골자로 하는) ‘중국의 꿈’을 이해하고 지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신들의 ‘핵심이익’(티베트, 신장위구르자치구, 홍콩, 대만,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에 대한 주권)을 존중하고 자신들이 정한 규칙에 도전하지 않을 것을 강요하는 중국의 ‘외교 뉴노멀’에 대한 대응을 고민해야 할 때가 머지않은 것 같다. jhj@seoul.co.kr
  • 시진핑 사정 칼날에… 외교부 고위관료 첫 낙마

    시진핑 사정 칼날에… 외교부 고위관료 첫 낙마

    중국 외교부 장쿤성(張昆生·56) 부장조리(차관급) 겸 예빈사(의전국) 사장(국장)이 부패 혐의로 낙마했다. 차관급 이상 고위 외교 관료가 낙마한 것은 근래 들어 처음 있는 일이다. 중국 외교부는 2일 홈페이지에서 장 부장조리가 공산당 기율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혐의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그의 해임은 반(反)시진핑(習近平) 쿠데타를 주도한 ‘신(新)4인방’의 일원인 링지화(令計劃) 전 통일전선부장(장관급)의 낙마와 관련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외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명경(明鏡)은 이날 “장쿤성은 링지화와 같은 산시(山西)성 출신으로 링지화와 가까웠던 일파들이 척결되는 과정에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지난해 6월 이후 산시성 출신 고위직 다수가 부패 혐의로 체포되고 있다. 2011년 부장조리로 승진한 장 부장조리는 그동안 라틴아메리카 업무를 관장하면서 예빈사 사장을 겸임해 왔다. 부인은 유명 배드민턴 선수 샤오제(肖杰)다. 그의 후임으로는 친강(秦剛·48) 신문사(新聞司) 사장 겸 수석 대변인이 임명됐다. 친강이 맡았던 기존 수석 대변인 자리는 류젠차오(劉建超·50) 부장조리가 맡기로 했다. 류 부장조리는 37살이던 2001년 중국 역사상 최연소로 대변인에 기용돼 2009년까지 8년간 ‘중국의 입’으로 활약해 온 최장수 대변인으로도 통한다. 지금도 외교부 언론 총사령탑으로서 영사 업무, 한반도 등 동북아 문제까지 담당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전환의 시대, 기로에 선 동북아 정세 전망-해외전문가 릴레이 인터뷰] (중) 리웨이 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장

    [전환의 시대, 기로에 선 동북아 정세 전망-해외전문가 릴레이 인터뷰] (중) 리웨이 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장

    “올해는 중국의 항일(抗日)전쟁 승리 70주년이다. 중국은 올해도 일본을 상대로 역사 공세를 펼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군국주의자들과 일본 국민들을 분리해 일본을 상대할 것이다. 중국은 한국도 (중국처럼) 새로운 일본의 침략 역사 만행 자료를 공개하는 식으로 일본의 잘못된 역사 인식을 바로잡아 주기를 바란다.” 리웨이(李薇·60)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소장은 1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올해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은 중국의 동북아 전략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중국도 일본인들이 중국에 위협감을 느끼게 된 문제를 돌아보고 그들이 중국의 평화 발전을 믿도록 증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올해 중국의 동북아 전략은.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주변 외교’ 원칙은 친밀·성의·혜택·포용을 의미하는 친·성·혜·용(親·誠·惠·容)이다. 친근하게 성의를 가지고 서로 윈·윈하면서 함께 발전하자는 뜻으로 ‘공동 발전’을 의미한다. 안정적이고 건강한 주변 관계는 중국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하지만 일본과의 갈등은 계속돼 왔는데. -중국은 중·한·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원한다. 공동 발전의 첫걸음인 셈이다. 그러나 일본이 역사 문제에서 잘못된 언행을 일삼아 3국 FTA 체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대일 관계는 모두 일본의 역사 인식으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중·일 갈등의 모든 책임이 일본에 있나. -일본 지도자의 역사 인식과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국유화 조치가 양국 관계 악화의 직접적인 원인이다. 다만 많은 일본인이 중국에 불안을 느끼고 있는데 중국은 평화 발전의 길을 걸어갈 것임을 입증해 보이기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 →중국은 일본이 군국주의로 회귀할 것으로 보는가.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행사 용인 결정으로 볼 때 일본의 국방 정책이 크게 변한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아직 일본이 군국주의로 가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중국의 대일 전략은. -시 주석은 지난해 12월 13일 난징(南京)대학살 추모일 연설에서 “난징대학살을 추모하는 것은 원한을 지속시키려는 게 아니다. 한민족 내 소수 군국주의자들이 발동한 침략 전쟁으로 그 민족 전체를 적대시해선 안 된다. 그러나 우리는 침략자들이 범한 만행을 잊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이 일본 우익분자는 강력 비판하되 일본 국민과는 적극 교류하겠다는 것으로 시진핑 정부의 대일 원칙을 분명히 한 것이다. →중국은 올해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아 일본에 대한 역사 공세를 강화하나. -중국이 올해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를 대대적으로 치르려는 것이 침략 역사를 미화하는 일본 우익에 대한 경고와 무관하다고 말하긴 어렵다. 시 주석이 난징 연설에서 일본을 겨냥해 “역사를 잊는 것은 배반이며, 역사를 부인하는 것은 재발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이 재차 일본에 경고하려는 것은 아베 신조 총리의 강한 민족주의 성향 때문이다. 중국의 역사 공세는 일본에 역사를 직시하도록 촉구함으로써 중·일 양국 정치 관계를 회복시키려는 것이다. →일본의 대중국 전략을 평가한다면. -일본의 중국 전략은 근래 들어 크게 변했다. 일본은 중·일 수교 이후 체결된 양국 우호 관계의 핵심인 ‘4개 정치 문건’은 회피하고 ‘전략호혜’(戰略互惠)만 강조하고 있다. 특히 아베 총리는 전략적으로 중국을 일본의 ‘맞수’로 규정하고 있다. 1972년 양국 수교 이후 일본이 중국을 맞수로 규정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올해도 중·일은 충돌하나. -중국과 한국 국민이 일본을 싫어하는 이유는 역사와 관련이 깊다. 영토 문제도 침략 역사와 직결돼 있기에 문제가 더 큰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이 역사와 영토 문제에서 한국과 중국을 자극한다면 두 나라와 관계가 악화될 수밖에 없다. 아베 총리는 2015년에도 지금처럼 관계 악화를 막기 위해 노력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상태에 머물 것이다. 시 주석도 지속적으로 지역 평화와 공동 발전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과의 충돌을 피하려고 할 것이다. 중국은 일본의 역사 인식을 질책하겠지만 때리고 부수고 불태우는 식의 민족주의적 반일시위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한·중, 중·일, 한·일 관계는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나. -아베 총리는 집권 이후 외교를 중시한다며 50여개 나라를 방문하면서도 정작 가까운 중국과 한국은 방문하지 않고 있다. 또 한·중 양국은 물론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사참배를 강행했다. 아베 총리의 우익 성향상 역사와 영토 문제에서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보다는 약간 완화되겠지만 종전 70주년이라고 해서 중국 및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할 것으로 보기 어렵고, 이에 따라 관계 진전을 기대하기 힘들다. →아베 총리가 종전 70주년 메시지를 통해 한·중에 화해의 손길을 내밀 가능성은. -그의 강한 우익 성향을 감안할 때 전후 일본이 평화를 위해 공헌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출 뿐 중국과 한국이 중시하는 침략 역사 반성이나 이에 대한 사과는 하지 않을 것이다. 침략 역사까지 부인하진 못하겠지만 역사 문제는 담화의 핵심이 아닐 것이다. →중·일 관계에서 중국이 한국에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도 중국처럼 일제 침략 자료를 공개하기 바란다. 나아가 한·중이 함께 역사 자료를 공개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공개 포럼을 통해 일본이 역사를 직시하도록 하는 자리를 마련하면 좋겠다. 일제 만행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일본과 정치적으로 대립하겠다는 게 아니라 역사 직시를 촉구함으로써 한·일 관계를 더 잘 발전시키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올해는 한·일 수교 50주년이기도 하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은. -역사 문제 해결과 함께 일본의 올바른 자아 인식 정립이 필요하다. 일본은 한국이 자국보다 작다는 이유로 무시하는 경향이 심한데 이 같은 편견을 반드시 버려야 한다. →한·일 관계 개선이 한·중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나.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도 언젠가는 만난다. 그러나 한 번 만난다고 동북아 전체의 판도나 양국 관계의 본질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한국은 한·미동맹이라는 큰 틀 속에서 일본과의 관계를 유지하겠지만 역사 문제로 양국 관계에 대한 영향도 계속 받을 것이다. 이 틀은 바뀌지 않는다. →최근 한·미·일 3국의 ‘북한 핵·미사일 위협 정보 공유 약정’에 대해 중국이 불만을 표출했는데. -한·일 관계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주도로 체결된 것으로 안다. 한국 측에서 볼 때 북한 핵·미사일 정보 공유는 북한을 상대로 한 것이지만 실제 운용에서 그 범위가 (중국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한반도의 이웃인 중국 입장에선 자체 안전을 고려할 때 협약의 운용 범위와 내용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아베 총리가 한국 및 중국과 잘 지내기 위한 방법은. -중국은 일본이 침략 역사를 사과하고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이 있음을 인정하길 원한다. 아베 총리가 침략 역사를 사과하고 영토 분쟁을 인정하지 못한다면 중·한 양국 국민의 감정을 해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언행을 잘 통제해야 한다. 더 이상 중국과 한국을 자극해선 안 된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리웨이 소장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태어나 문화대혁명 때 허난(河南) 산간벽촌으로 하방(下放)돼 노동을 하다 광저우(廣州)어언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했다. 개혁·개방 이후 사회과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사회과학원 국제협력국에서 국장까지 지내다 2002년부터 일본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중 일본 언론인들 사이에서 온건한 일본관을 가진 학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중국의 주요 ‘일본통’으로 꼽힌다.
  • 가짜 돈 주우려다 36명 압사… 中상하이 새해 악몽

    중국 상하이(上海) 황푸(黃浦) 강변에서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몰려든 대규모 인파가 뒤엉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해 36명이 밟혀 죽고 47명이 다쳤다고 관영 중국신문망이 1일 보도했다. 사고는 지난해 12월 31일 밤 11시 35분쯤(현지시간) 황푸강변 와이탄(外灘) 인근 천이(陳毅)광장에서 발생했다. 광장 인근에는 새해 카운트다운 행사를 보기 위해 수만명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당시 와이탄 18번가 빌딩 3층에서 흩뿌려진 돈다발을 줍기 위해 사람들이 몰리면서 사고가 발생했다는 목격자들의 진술이 나오고 있다. 한 목격자는 “갑자기 ‘누군가 돈을 뿌리고 있다’고 소리치자 삽시간에 인파가 몰리면서 사람들이 밟히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중국 언론들의 확인 결과 달러처럼 보이는 문제의 지폐는 인근 술집의 할인권이었다. 다른 목격자는 “바닥에 깔려 밟혀 죽은 사람들의 얼굴이 시퍼렇게 질려 있었다”고 말했다. 사망자 36명 가운데 25명이 여성이었으며, 미성년자나 아이들도 다수 포함돼 있었다. 외국인 중에는 대만인 3명과 말레이시아인 1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천이광장에 사람이 너무 많이 몰려 둔덕으로 올라가려는 사람들과 내려오려는 사람들이 엉키면서 사고가 발생했다는 진술도 나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이나 어린이들이 넘어져 사람들에게 밟혔으며 피해자들의 옷에는 시커먼 발자국들이 가득 찍혀 있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14억 인구 대국인 중국에는 휴일에 관광지 등이 인산인해로 뒤덮이는 일이 일반적인데 이로 인해 밟혀 죽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지난해 1월 5일에는 닝샤(寧夏) 회족자치구의 사원인 베이다쓰(北大寺)에서 사람들이 절에서 나눠주는 유빙(油餠·기름에 튀긴 빵)을 받기 위해 갑자기 몰려들면서 14명이 밟혀 죽고 10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관영 신화망은 이날 사고 소식을 전하면서 압사 사고가 발생할 경우 몸을 웅크리고 두 팔로 머리를 감싸라며 응급 대피 요령도 함께 소개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30년 만에 정치국 위원급 통전부장

    中, 30년 만에 정치국 위원급 통전부장

    반(反)시진핑(習近平) 쿠데타 ‘신(新) 4인방’으로 통하는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공작부장의 후임으로 쑨춘란(孫春蘭·64) 톈진(天津)시 당서기가 임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30년 만에 지도부인 정치국위원급 통일전선공작부장이 탄생했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31일 보도했다. 통일전선공작부(통전부)는 소수민족·종교는 물론 대만·홍콩·마카오, 지식인, 화교 등 공산당과 입장이 다른 주요 집단 전반을 관리하는 중앙부처로 중앙선전부(언론), 중앙조직부(인사), 중앙대외연락부(타국 공산당) 등과 함께 4대 중앙 직속 부처로 꼽힌다. 그러나 정치국위원급 가운데 통전부장이 나온 것은 1977년 이래 처음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전임자인 링지화도 중앙위원(205명)급이었다. 정치국위원은 시진핑 국가주석 등 상무위원 7인을 포함해 총 25명으로 중국 공산당 최상층부를 말한다. 신문은 전문가를 인용, “정치국위원급에서 통전부 관리에 나선 것은 홍콩과 대만 업무의 중요도가 커졌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홍콩 행정장관의 민주직선제를 요구한 홍콩 시위의 잔불이 살아있는 데다, 친중국계인 대만 국민당이 지난 11월 총선에서 대패함에 따라 통전부의 홍콩·대만 관리 문제가 공산당 전체의 핵심 업무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독립을 요구하는 티베트 내 자살 시위가 이어지고 있고,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의 분리 독립 테러도 끊이지 않는 등 통전부가 담당하는 소수민족 문제도 골칫거리가 되면서 통전부의 중요도가 한층 커졌다는 관측이다. 쑨춘란은 랴오닝(遼寧)성 안산(鞍山)공업기술학교에서 기계를 전공한 뒤 시계공장 노동자로 시작해 랴오닝성 부녀연합회와 총공회 주석(회장), 다롄(大連)시 당서기, 푸젠(福建)성 당서기 등을 거쳐 4대 직할시인 톈진시 당서기에 오른 입지전적 인물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댜오위다오 영유권 포기 못해” 공세

    중국이 2015년 항일(抗日)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아 일본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과 관련해 총공세에 나섰다. 중국 국가해양국이 최근 댜오위다오(釣魚島) 홍보 사이트(www.diaoyudao.org.cn)를 개설했다고 관영 신화망이 31일 보도했다. 총선 승리로 장기 집권의 길을 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우경화에 대한 경고 의미는 물론 새해에도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조치로 풀이된다. 사이트에는 댜오위다오와 그 부속 도서가 중국 땅임을 입증하는 역사 자료와 국제 문서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앞서 중국은 일본이 민감하게 여기는 센카쿠열도 인근 해역으로 함선 두 대를 접근시켰다. 일본 언론들은 지난 30일 중국이 자국 구축함과 호위함 각 1대를 이달 중순 센카쿠열도 인근 접속수역(12∼24해리·영해와 공해의 중간수역)에서 약 70㎞ 떨어진 해역까지 접근시켰다고 보도했다. 중국도 전날 외교부 브리핑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중국은 이 밖에 센카쿠열도에서 북서쪽으로 300㎞ 떨어진 저장(浙江)성 난지(南?)섬에 군사기지도 건설 중이다. 중국군은 이미 이곳에 최첨단 레이더를 설치한 데다 헬기장을 정비 중이며, 군용 항공기 활주로 건설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인들 “日보다 러 중요”

    중국인들이 중국·일본 관계보다 중국·러시아 관계를 더 우선시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등 주요 7개 도시에 거주하는 중국인 15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중국에 가장 영향력이 큰 양자 관계로 ‘미국·중국 관계’(72.3%)에 이어 중국·러시아 관계(30.4%)가 두 번째로 꼽혔다고 30일 보도했다. 지난해 38.6%로 2위를 기록했던 중·일 관계는 올해 3위(27.1%)로 내려갔다. 환구시보가 2006년부터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래 중·러 관계가 중·일 관계보다 앞선 것은 처음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합병한 뒤 서방의 제재를 받아 국제사회의 주목을 끈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신밀월기’를 구가하며 협력을 강화한 반면, 중·일 관계는 과거사 및 영토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