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군사행동땐 파국 부를것”
◆ 뉴스위크 최신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이란, 이라크, 북한 세 나라를‘악의 축’이라 규정했지만 실제 군사행동을 할 가능성은희박하다고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최신호(2월11일자)에서보도했다.
잡지는 만일 군사행동을 한다면 오히려 미국이 피하고자하는 파국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뉴스위크는 ‘악의 축’이라는 표현은 별 의미도, 지칭된세 나라간 공통성도 없다고 분석했다.이들에 대해 미국이군사행동을 시작하면 동맹국은 물론 좋은 군사작전도 없을것이라고 지적했다.
잡지는 세 나라가 가지고 있는 위협,미국이 택할 수 있는방법,문제점 등을 분석,“쥐를 구석으로 모는 것은 위험하다.”고 충고했다.
[한국 정부의 지지가 중요] 미 중앙정보국(CIA)은 지난달북한이 1∼2개 정도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재료를 갖고 있다고 보고했다.북한은 수천대의 탱크와 전투기,100만명의병력으로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서울에 신경가스를 유포할수 있는 미사일 50여기도 갖고 있다.
북한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위협은 무기의 확산이다.미사일과 다른 무기들은 북한이 돈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수출품이다.이란이 북한에서 미사일 기술을 사들였고 파키스탄은 미사일의 주요 수입국이다.
지난 수십년간 미국과 한국은 협상을 통해 북한의 행동을완화시켰다.북한은 1994년 핵개발 계획,99년 미사일 실험을중단했다. 2000년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참여하기로 약속했다.대가는 미국과의 대화약속과 경제제재 완화였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이 취임한 뒤 대화진전은 없었다.만일미국이 북한에 선제공격을 한다면 지난 50년간,짧게는 지난5∼7년간 준비해온 군사계획에 따라 감행될 것이다. 선제공격 가능성은 한국의 반대가능성을 고려하면 낮다.미국은 한국내 공군기지를 필요로 하지만 한국은 거부할 것이다.
[전면적 군사작전은 어려워] CIA는 지난 98년 12월 이후 이라크에 대한 무기사찰이 중단돼 현재 상황은 정확히 알기어려우나 단거리 미사일 개발이 완성단계에 왔다고 보고했다.이라크와 전쟁을 한다면 10만명 이상의 병력이 필요하지만 무기개발장소를 알 수 없어 효과적 공습이 어렵다.대안으로 유엔무기사찰단의 입국을 종용하거나 반체제세력을 통한 사담 후세인 정권의 전복을 취할 수 있다.
CIA는 이란이 러시아를 통해 핵무기 관련기술과 재래식 무기를 얻고 있다고 보고했다.미사일 개발노력을 지속해 온이란은 2015년경에 장거리탄도탄미사일을 확보할 전망이다.
그러나 미 국방부내에서 이란에 대한 군사행동을 진지하게연구해오지 않았다.미국은 지지세력을 넓히고 있는 개혁파나 온건파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 타임 최신호.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 이란, 이라크 세 나라를 ‘악의축’이라 부른 것은 미 행정부내에서 강경파가 다시 이겼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최신호(2월112일)가 보도했다.
타임은 ‘악의 축’ 표현은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취임초부터 추구했던 정책의 거부를 뜻한다고 분석했다.파월 장관이 백악관과 처음으로 심각한 갈등을 겪은 것은 북한과의대화재개 의사를 표시했을 때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지금은 이같은 일을생각조차 할 수 없게 됐다.파월 장관은 그동안 중동,알 카에다 포로 대우 문제 등에서 딕 체니 부통령,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에 맞서 입지를 잃어왔다.이번에는 아예 국무부직원들에게 대통령의 표현에 충실하라는 순응적 자세를 취했다.
타임은 ‘악의 축’ 표현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세 나라간 동맹도 없으며 북한은 10년전부터 테러지원을 그만뒀다.
미 국무부 테러지원국 명단에 북한이 포함된 것은 외교적압박형태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전경하기자 lark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