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제조업 무서운 성장
중국이 제조업 분야에서 서구 기술수준과의 격차를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이 14일 보도했다.
특정 분야에서는 미국을 능가, 저임금 장점 이외에 기술상 우위를 누리는 분야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산업전문 월간지 인더스트리위크가 11월호에 조사·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체의 납기내 상품 인도율은 중국 99%, 미국 96%였다.
특히 1차 납품에서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가 중국 98%, 미국 97%였다. 이번 조사에 중국은 406개, 미국은 681개 기업이 참가했다.
직원들에 대한 투자나 사내 정보기술(IT)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도 중국이 앞섰다. 직원들에게 20시간 이상 교육을 시킨다고 응답한 회사가 중국은 53%, 미국은 35%였다.
전사자원관리시스템(ERP)이나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등을 설치한 기업도 중국이 많았다. 실제 중국기업 관리자들은 매출액 대비 최소 5%를 IT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평균 1.4%였다.
이같은 중국의 약진은 저가 노동력 외에도 연구개발(R&D)에 대한 엄청난 투자가 이끌어냈다고 AWSJ가 평가했다. 외국의 투자자금이 중국으로 몰리면서 중국은 선진기술에 아낌없이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다. 중국은 지난 한해에만 R&D에 180억달러를 투자했다.5년 전에는 80억달러에 불과했다. 매출액 대비 투자지출 규모로 보면 중국은 20%로 미국(3%)의 7배에 육박한다. 중국 기업인의 기술혁신에 대한 욕구도 커 투자순위에서 기술혁신을 2위로 꼽았다. 미국은 7위였다.
그 결과 중국은 전화 송수화기 기술에서 이미 미국을 능가했다고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 회장이 지난 7월 밝힌 바 있다. 컨설팅회사인 딜로이트 투시 토마추의 아시아태평양부문 최고경영자인 만조이 싱은 “중국 제조업체들은 더이상 서구에 끌려다니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신 기술은 공장혁신을 가져왔다. 상하이 소재 바오산철강은 10년 전 건축 기본자재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정교한 품질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냉각압연강판을 만든다. 폴크스바겐, 제너럴모터스(GM) 등이 고객이다.
베이징 소재 센후아그룹은 미 록웰오토메이션의 장비를 구입, 석탄광산 부문을 개편했다.
중국 남부에는 발주에서 배달까지의 시간을 대폭 줄인 대형 의류공장이 속속 세워지고 있다.
연말 수입국이 나라별로 할당하는 의류수입쿼터제가 폐지, 중국 의류업계의 약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불충분한 사회기반시설, 위안화 평가절상 가능성 등 중국 제조업의 성장이 억제될 수도 있지만 제조업의 성장세는 주목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