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소유지배 괴리도 월말 첫공개
재벌그룹 총수가 가지고 있는 지분으로 어느 정도의 의결권을 행사하는지를 보여주는 소유지배 괴리도와 의결 승수가 이달 말 처음 공개된다.
소유지배 괴리도는 총수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의결지분율)에서 보유 지분(소유지분율)을 뺀 값이고, 의결권 승수는 의결지분율을 소유지분율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적을수록 소유지배 구조가 건전하다고 평가된다.
공정위는 12일 상호출자제한(자산 2조원 이상) 적용을 받는 55개 기업집단으로부터 총수 및 친·인척의 계열사 지분보유 내역을 제출받아 분석하고 있으며, 이달 말 소유지분구조 매트릭스(모형도)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연말 처음으로 자산 2조원이 넘는 기업집단 총수와 친·인척의 보유지분과 순환출자를 보여주는 소유지분구조 매트릭스를 발표했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지난 4월부터 출자총액제한(자산 6조원 이상) 기업집단 졸업기준이 명시된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개정안에 명시된 소유지배 괴리도와 의결 승수가 처음으로 공개된다.”고 밝혔다.
출총제 졸업기준 중에는 소유지배 괴리도(소유지분율과 의결지분율 차이)가 25%포인트 이하이며 의결승수(의결지분율/소유지분율)는 3.0배 이하여야 한다.
공개 규모는 지난 4월 말 현재 자산구조 2조원이 넘는 모든 기업집단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매트릭스가 공개된 삼성, 현대자동차,LG,SK, 롯데, 한진, 한화, 현대중공업 등에 올해 GS, 철도공사,STX, 현대오일뱅크, 이랜드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