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이혼 23년새 4배 늘어
결혼한 지 20년이 넘은 부부가 헤어지는 ‘황혼이혼’과 30∼40대의 이혼한 부부가 결합하는 ‘재혼’이 최근 2∼3년 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마다 이혼하는 부부 5쌍 가운데 1쌍은 20년 이상 살아온 장기부부이며 결혼하는 남녀 5명 가운데 1명은 재혼자다. 결혼하는 나이도 높아져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 30.6세, 여성 27.5세로 30여년 전보다 4∼5세 정도 올라갔다. 이혼 사유로는 성격차이, 경제문제, 가족간 불화, 배우자 부정 등이 꼽혔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1970년 이후 혼인·이혼 변동추이’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건수 가운데 20년 이상된 부부의 비율은 18.3%로 1981년 4.8%보다 3.8배 늘었다. 특히 황혼이혼의 비율은 1995년 8.1%에 불과했으나 2000년 14.3%,2003년 17.8%,2004년 18.3% 등 외환위기 이후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반면 결혼한 지 5년 미만의 부부가 갈라서는 비율은 1981년 45.9%에서 지난해 25.2%로 급감했다. 황혼이혼이 늘면서 이혼연령도 올라가 1970년 남성 36세, 여성 31세에서 지난해에는 남성 41.8세, 여성 38.3세로 높아졌다. 재혼하는 남녀도 늘었다. 지난해 결혼한 부부 가운데 재혼 비율은 남성 18.2%, 여성 20.4%로 나타났다.1972년의 남성 5.4%와 여성 2.9%보다 각각 3배,7배 늘었다. 여성의 재혼 비율이 높은 것은 최근 ‘초혼 남성과 재혼 여성’의 혼인이 늘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지난해 재혼한 평균 연령은 남성 43.8세, 여성 39.2세로 1972년보다 4.8세와 5.5세씩 높아졌다. 평균적인 재혼연령과 이혼연령을 감안하면 남성은 이혼시 2년 만에, 여성은 이혼시 1년 만에 각각 재혼하는 셈이다. 재혼한 연령층은 남성의 경우 40대가 39.2%, 여성의 경우 30대가 42.8%를 차지했다. 이혼 건수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눠 1000을 곱한 이혼율은 1970년 1.3%에서 지난해 7.2%로 늘었다. 반면 같은 방식의 혼인율은 32.1%에서 16.1%로 떨어졌다. 이혼 사유는 성격차이가 2000년 40.1%에서 지난해 49.4%, 경제문제가 10.7%에서 14.7%로 각각 증가했으나 가족간 불화는 21.9%에서 10%로 크게 줄었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