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OECD 최고
우리나라의 지난해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은 21년간 사망 원인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폐암과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이 늘고 있다.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4년 사망원인 통계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4.2명으로 집계됐다.2위는 헝가리 22.6명(2003년 기준),3위는 일본 18.7명(2002년 기준) 등이다. 통계청 김동회 인구동향 과장은 “OECD의 매년 통계자료가 없어 정확히는 모르지만 지난 2003년부터 OECD국가 중에서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남녀문제, 경제문제, 부부갈등 문제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한해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1만 2000명으로, 하루 평균 32명이 자살한 셈이다.지난해 연간 사망자 수는 24만 6000명으로 하루평균 672명, 시간당 28명이 사망했다.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6만 5000명으로 전체사망자 중 26.3%를 차지했다. 이어 뇌혈관질환 13.9%, 심장질환 7.3%, 당뇨병 4.8%, 자살 4.7% 등의 순이다. 성별 사망 원인을 보면 남자는 여자에 비해 자살(인구 10만명당 34.5명)이 4위, 간질환(31.0명)이 5위, 운수사고(25.2명)가 6위로 순위가 높았다. 여자는 남자에 비해 당뇨병(24.5명)이 4위, 고혈압성 질환(13.9명)이 6위, 만성하기도 질환(13.0명)이 7위로 순위가 높았다.암은 통계조사가 시작된 1983년 이래 21년째 사망원인 1위다.암으로 인한 사망률(인구 10만명당)은 1983년 70.5명에서 지난해 133.5명으로 2배가량 늘었다. 암 중에서도 폐암, 대장, 전립샘암, 췌장암으로 인한 사망은 늘었고 위암, 자궁암, 간암으로 인한 사망은 줄었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