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한국인 평균수명 78.2세
우리나라의 평균수명 연장속도가 세계 최고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미국보다 길고 유럽국가들 수준에 접근했다.
7일 통계청과 유엔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2005∼2010년 78.2세로 20년 전인 1985∼1990년 69.8세보다 8.4세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조사대상 101개국 중 연장속도가 우리나라보다 빠른 나라는 방글라데시(11.8세), 이집트(10.2세), 니카라과(9.0세), 베트남(10.2세), 인도네시아·모로코(각각 8.6세), 엘살바도로(8.7세) 등 7개국에 불과하다.
평균수명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일본으로 82.8세다. 일본은 20년 동안 평균수명이 4.5세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미국은 평균수명이 77.9세로 우리나라보다 짧아질 전망이다. 미국은 2000∼2005년의 평균수명이 77.3세로 우리나라(76.8)보다 길었으나 앞으로 5년 안에 우리나라 국민들이 미국민들보다 더 오래 살게 될 것 같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유럽 수준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 22개국 중 덴마크(77.8세), 포르투갈(77.9세), 폴란드(75.1세), 루마니아(72.1세), 불가리아(73.0세), 에스토니아(72.6세) 등 6개국이 우리나라보다 짧을 전망이다.
영국·네덜란드(각 79.0세), 독일(79.3세), 그리스(78.7세) 등이 우리와 비슷하게 추정됐고 유럽에서 평균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아이슬란드로 81.4세에 이를 전망이다.
식량난을 겪는 북한과 전쟁을 겪은 이라크는 평균수명이 줄어들고 있다.
북한은 20년 전 66.2세에서 64.5세로, 이라크는 65.0세에서 61.0세로 각각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에이즈 등 각종 질병과 부족간의 잦은 전쟁을 겪은 아프리카 27개국 중 12개국의 평균수명이 줄어드는 현상이 계속될 전망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