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우먼] 이혜나 대투증권 첫 30대 마케팅팀장
이혜나(32) 대한투자증권 프라임마케팅팀장은 증권사 지점에서 근무하던 어느 날, 지점장의 호출을 받았다.“내일 대리 승진 인사가 있는데 자네는 여자고, 나이도 어리니까 나이 많은 남자 동기에게 양보하라.”는 통보를 받았다.“무슨 말씀이냐.”고 따지고 싶었으나 말 없이 물러났다.
이 팀장은 “실적도 좋고 실력이 뛰어나다는 칭찬도 들었는데, 승진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걸 깨닫고 충격이 컸다.”고 회상했다. 이 팀장은 학교나 가정에서 성차별을 받지 않고 자란 신세대여서 충격은 더욱 컸다. 그녀는 얼마 후 싱가포르 자본인 ‘친카라캐피털’ 한국 연락사무소로 옮겼다.
이화여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쌍용투자증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 팀장은 법인 및 파생금융상품 영업을 담당했다. 법인 영업의 필수라고 여겨지던 고객과의 술과 골프도 마다하지 않았다. 술은 잘 못하지만 ‘술집으로부터 가끔 안부전화를 받을 정도로’ 쫓아다녔다. 주말도 없이 골프도 쳤다.
●‘웬만한 남자’ vs ‘잘하는 여자’
이 팀장은 “웬만한 남자보다 낫다.”는 말을 가장 듣기 싫어한다.“왜 비교대상이 ‘웬만한 남자’인지, 여자가 잘해도 이런 비교 문구밖에 없는지 화가 난다.”고 말했다.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한 지 2년쯤 지나 이 팀장은 남편을 두고 혼자 미국 유학을 떠났다. 신혼인데다 혼자 공부하러 간다니까 주위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았다. 결혼 때문에 미뤘던 유학을 더 이상 밀쳐놓을 수도 없었지만, 남편과 양가의 지원이 아니었다면 심적 갈등이 더욱 컸을 것이라고 했다.“유학을 고집한 건 더 늦기 전에 실력을 쌓지 않으면 버텨내기 힘들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철저한 프로의식이 배어 있다.
2002년 보스턴 서포크대학에서 경영학석사(MBA)를 마치고 일리노이 공대에서 금융공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2004년 하나은행에 입사했다가 지난해 7월 통합된 대투증권 상품전략부 차장으로 옮겼다. 지난달 말 팀장급으로 발탁되면서 38년 대투 역사상 가장 젊은 단위조직 책임자가 됐다. 발탁 이유는 ‘국내엔 생소한 파생상품 경험이 풍부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잘 골라내는 뛰어난 감각과 눈’ 때문이다.
이 팀장은 수천억원대 자금을 굴리는 기관투자가들에게 해외투자와 대안투자(AI) 상품을 판다.AI는 주식과 채권을 제외하고 부동산, 골동품, 설탕이나 커피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 팀장은 “외국 증권사에 내준 기관 자금을 끌어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녀가 일하는 상품전략부에는 일본 펀드에 재투자하는 펀드, 설탕과 커피에 투자하는 펀드 등을 개발한 30대 이사급인 강창주 본부장, 해외펀드 발굴에 밝은 데이비드 패트릭 차장 등 10여명의 전문가가 포진해 있다. 상사·부하라는 수직적 관계보다 팀워크와 의사소통 등 수평적 관계로 나이와 성의 벽을 넘고 있다.
이 팀장은 대투증권으로 옮겨온 뒤 2000억원의 실적을 유치했다. 해외펀드를 들여올 때 관행이던 외국사와 국내사의 8대2라는 불평등한 수수료 체계를 5대5로 바로잡았다. 큰 소리 한번 내지 않지만 일은 똑 부러지게 처리하는 ‘외유내강형’의 신세대 커리어우먼이다.
●“월급쟁이로 만족할 수 없다.”
대내외적으로 쏠리는 시선이 부담스럽지 않으냐고 묻자 “부담스럽지만 기회라고 생각한다. 지금 시도하고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꼭 성공시키고 싶다.”고 강조했다.“일로 말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그녀는 “월급쟁이라고 생각하면 안주하기 쉬워 월급쟁이라는 사실을 잊으려고 한다.”고도 했다.
여성이기를 ‘포기’했던 대선배들의 카리스마는 없단다. 하지만 선배들처럼 여성임을 애써 감추지도 않겠지만 그렇다고 내세우지도 않을 것이라고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기업·영업문화가 끈끈한 인간관계보다 시스템과 서비스, 실력 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어가면서 ‘능력 있는’ 여성들에게는 기회가 많아졌다고 믿는다. 때문에 철저한 자기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 이혜나 팀장은
▲1974년 서울 출생 ▲이대 경영학과 졸업 ▲1995년 쌍용투자증권 ▲1998년 삼성증권 ▲2000년 친카라캐피털 한국 사무소 ▲2002년 미국 보스턴 서포크대학 경영학석사(MBA) ▲2004년 일리노이공대 대학원 금융공학과 수료 ▲2004년 하나은행 파생금융팀 ▲2005년 대한투자증권 상품전략부 차장 ▲2006년 대한투자증권 상품전략부 프라임마케팅 팀장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