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더 조인다
앞으로 지역에 상관없이 빚이 많거나 소득이 적으면 주택담보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진다. 대출자가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평가가 대폭 강화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19일 은행들이 주택 등 담보가치보다는 채무자의 채무상환능력을 주로 보도록 여신심사체계를 바꾸기 위해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지난 18일 새로 취급한 주택담보대출부터 10일마다 대출자의 소득, 부채비율,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자의 채무상환능력지표를 평가해 대출한도나 금리를 결정했다는 자료를 금감원에 내야 한다. 또 대출자의 연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400%를 넘거나 DTI가 40%를 넘는 고위험 대출에 대해서는 개별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검토한 자료를 별도로 제출하도록 했다.
지금까지는 투기지역과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에 있는 6억원 초과 아파트의 담보대출에 대해서만 DTI 40%를 적용해왔다. 앞으로는 지역에 관계없이 은행들이 모든 대출에 대해 채무상환능력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다만 1가구 1주택자로서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25.7평) 이하이면서 시가 3억원 이하 주택의 담보대출이나 대출액이 1억원 이하일 경우에는 자료제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금감원은 은행과 보험은 매일, 저축은행과 여신전문사는 10일마다 주택담보대출 추이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또 은행들이 영업점 성과를 평가할 때 가계대출 목표달성도, 총대출 증가실적 등 외형평가비중을 줄이고 예대마진 등 수익성 지표를 강화하도록 했다.
금감원은 내년 1월말까지 은행권과 함께 모범대출심사 규준을 만들어 시행할 계획이다. 또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의 부실에 대비한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이달말부터 정상 여신은 0.75%에서 1.0%로, 요주의 여신은 8.0%에서 10.0%로 올린다. 이 조치로 은행들은 8000억원 정도의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해 대출 억제 요인이 될 전망이다.
지난달 6일부터 지난 8일까지 총 34개 금융회사에 대해 실시한 주택담보대출 검사에서 적발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초과 취급,DTI 미적용 및 초과 취급 등은 위반 정도를 감안, 엄중한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또 기업운전자금으로 대출받아 주택구입에 쓴 경우에는 대출금을 회수하도록 하고 취급 관련 직원에게도 책임을 묻기로 했다.
금감원 김중회 부원장은 “12월 이후는 주택담보대출이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고 11·15 부동산 대책, 은행들의 영업 자제, 대출 심사 때 채무 상환 능력 반영 등으로 대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11월말 현재 금융권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전월보다 5조 4000억원 늘어난 275조 7000억원이다. 이중 은행이 78%, 보험이 5.1%,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이 18.3%를 차지한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