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탐방] 자동차 충돌시험에 쓰이는 인체모형 ‘더미’
미국 시장에 자동차를 수출하려면 미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충돌시험에서 일단 합격점을 얻어야 한다. 흔히 별의 갯수로 표시되는 한국 자동차들의 시험 점수는 갈수록 향상되고 있다. 국내의 충돌시험도 국제 수준에 도달했다. 자동차충돌시험을 하는 장면을 볼 때 차가 아깝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러나 차량 값보다 더 비싼 것이 충돌 시험에 쓰이는 사람 모양의 인형(더미, dummy)이다. 차량은 고쳐서 중고차로 되판다. 충돌시험의 이면을 살펴본다.
●더미 안은 비어있지 않다!
자동차 충돌시험에 쓰이는 인체모형은 더미라고 불린다. 키는 178㎝에 몸무게 78㎏. 더미가 처음 만들어진 미국에서 정해진 성인 남성 규격이다. 성인 몸무게이다 보니 운반용 의자가 따로 있다.
더미는 1949년 우주실험에 쓰이기 위해 개발됐다. 이어 방사선 실험 등 과학실험에 쓰이기도 했다. 차량 충돌시험에 쓰이는 더미가 가장 복잡하다. 각 부위에 센서를 장착, 충돌시 얼마나 많은 충격을 받는지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정면 충돌 충격 시험에 쓰이는 정면 더미는 이마 부분에, 후면 더미는 목 부분에, 측면 더미는 어깨 부분에 더 많은 센서가 부착된다. 충돌하면서 더미 안의 수십여개 센서가 제 위치에서 벗어난다. 그러면 머리, 목, 가슴, 팔, 다리 등 7개 부분으로 분리해서 고친다. 그러나 갈비뼈 등 뼈대를 구성하는 금속 구조물이 고장나면 이 부분만 고치는 특수장비가 필요하다. 어느 부위를 고치는 특수장비인가에 따라 값이 200만∼1000만원이다.
더미 자체는 더 비싸다. 정면 더미는 6000만∼7000만원이다. 가장 비싼 것은 임산부 더미와 후면 더미로 8000만∼1억원 수준이다.3·6·12세 어린이 더미도 크기는 작지만 일반 정면 더미와 값은 같다. 남성 평균 더미는 법규상 반드시 자동차 제조·충돌시험에 쓰이지만 나머지 더미는 선택사항이다. 그러다 보니 주문제작이다.
●자동차제조사 더미는 절대 비밀
국내에서 더미를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현대·기아차로 공동으로 94개의 더미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더미실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다. 어떤 종류의 더미가 더 들어오는가는 그 회사가 앞으로 어떤 점을 강화한 차를 개발할 것인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손해보험사들의 회비로 운영되는 보험개발원 부설 자동차기술연구소와 산업자원부가 울산광역시와 함께 마련한 자동차부품혁신센터의 더미실만 공개된다. 경기도 이천에 있는 자동차기술연구소는 제작된 차의 안정·수리성, 탑승객의 안전성을 주로 연구한다. 자동차부품혁신센터는 관련 중소기업의 부품개발을 위해서다. 공적 기능이 강한 기관들로서 실험용 장비 추가 구입이 절실하다.
●새차 사서 충돌시키고 되팔기
경기도 이천에 있는 자동차기술연구소는 신차를 사들여 충돌 시험을 한다. 시속 15㎞로 이동하면서 고정벽 충돌, 추돌하는 경우 등이다. 이 속도는 탑승객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속도로, 수리·손상성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원격제어로 움직이고 차량에도 각종 센서가 부착된다.20×30×30(㎝) 가량의 컴퓨터가 공압 실린더, 조향모터 등을 통해 자동차를 운전한다. 만약의 경우를 위해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가 있다. 원격제어가 가능한 범위는 400m 정도다.
충돌 전에는 관계자외 절대 접근 금지다.2005년 충돌시험이 외부에 공개되면서 한 방송 카메라맨이 시험용 자동차 문을 열고, 더미까지 건드려서 큰 소동이 일어난 적이 있다. 건드릴 당시의 충격치가 측정돼 시험팀은 이 수치를 빼낸 값을 계산해내느라 진땀을 뺐다.
충돌 직후에는 센서로 측정된 값을 컴퓨터로 다운받는다. 이어 수리하면서 수리에 걸리는 평균 시간을 계산해 낸 뒤 이 차를 경매회사를 통해 다시 판다. 충돌 내역이 다 공개되는데도 구입비의 75% 수준에 낙찰된다고 한다. 자동차기술연구소가 산출해 낸 표준작업시간은 수리비견적전산시스템(AOS)을 통해 보험사와 정비공장이 공유한다. 손상·수리성 등은 올 4월부터 도입된 차량모델별 보험료의 기초 자료로 쓰인다.
탑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한 시험은 충돌 속도가 높다. 그러다보니 파손 정도가 심해 시험에 쓴 파손된 차량은 기술연구소에 전시용만 남아있지 수리해 팔지는 못한다.
박인송 시험연구팀장은 “다양한 더미들을 이용한 충돌시험으로 많은 수치들을 얻어내야 하는데 예산상의 압박으로 그렇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쉽다.”고 말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