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연구·검토… 결정문 초고 작성
9명의 헌법재판관이 헌법재판소의 기둥이라면 61명의 헌법연구관은 이 기둥을 지탱하는 주춧돌이다. 헌재에 들어오는 사건은 모두 연구관의 연구·검토를 거쳐 재판관의 결정에 이르기 때문이다.
헌재에는 재판관마다 1명씩 전속 연구관이 있다. 이들은 주로 헌법소원심판사건의 사전심사를 돕는다.
사전심사를 통과한 본안사건을 연구, 검토하는 공동부에는 연구관 40명, 연구위원 3명, 연구원 8명, 조세조사관 1명 등 모두 52명이 있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영역에 따라 재산권(1부), 자유권(2부), 사회권(3부) 분야로 나뉘어 배치돼 있다.
수석연구부장이 본안사건의 성격에 따라 각 부에 사건을 배당하면 각 부장은 연구·검토를 전담할 연구관을 지정한다. 담당 연구관이 사실관계, 헌법적 쟁점, 외국 입법례 등 사건 전반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한 뒤 연구관들이 모여 이를 놓고 치열한 토론을 벌인다. 담당 연구관은 이 결과를 정리해 재판관에게 보고한다. 재판관이 이 연구·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재판관 전원이 참석하는 평의를 거쳐 최종 결론이 도출되면 연구관은 다시 결정문의 초안을 작성한다. 성향에 따라 스스로 초고를 작성하는 재판관도 있지만 다수 재판관은 연구관에게 초고 작성을 지시한다. 사건의 접수부터 결정문이 나올 때까지 재판관과 연구관은 직접 대면하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수시로 의견을 교환한다.
연구관들이 이처럼 재판관의 분신이 돼 일하다 보니 가끔은 토로할 수 없는 어려움도 겪는다. 연구관들은 그 제일로 이른바 ‘벙커’라고 불리는 재판관을 꼽는다. 일을 같이 하게 되면 좀처럼 헤어나기 힘든 벙커 같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연구관들은 벙커 재판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집요할 정도의 꼼꼼함”이라고 입을 모았다. 재판관이 결정문이나 평의에 사용될 초안 및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수차례 수정을 요구할 때, 연구관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에 들어선 답답한 느낌을 받는다고 전했다.
또 재판관과 담당 연구관의 사건에 대한 의견이 어긋날 때도 있다. 헌재 결정에는 사실관계에 대한 법적용뿐만 아니라 재판관의 헌법에 대한 해석과 세계관, 인간관, 신념 등이 투영된다. 그래서 재판관과 다른 입장과 의견을 가진 연구관이 사건을 담당할 경우 연구관은 보고서 및 초고 작성 등 연구·검토 과정에서 표현하기 힘든 괴로움을 겪는다. 재판관과 아무리 다른 입장이라고 해도 연구관은 헌법기관인 재판관의 견해에 따라야 한다.
그래서 담당 연구관이 다른 연구관에게 연구·검토를 넘기는 경우도 가끔 있다. 자신의 신념과 다른 결론에 대한 논거를 찾고 결정 도출의 논리적 과정을 충실히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헌법연구관은 이처럼 말 못 할 어려움 속에 빛도 이름도 없는 존재처럼 여겨지지만, 되레 연구관을 희망하는 법조인들이 늘고 있다. 헌재는 매년 100명에 가까운 사법연수원 수료생들이 1~2개의 빈자리를 놓고 각축을 벌인다고 전했다. 헌법적으로 중요한 결단에 참여한다는 점이 법률가라면 누구나 품어볼 만한 ‘로망’을 자극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현직 판사와 검사가 헌재로 전관하기도 했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