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직 우대방안 / 복수직 자리 57.4% 행정직 공무원 차지
행정직 또는 기술직 공무원이 갈 수 있는 자리(복수직 자리)의 절반 이상을 행정직 공무원이 차지하면서 기술직 공무원의 진출을 가로막고 있다.이는 장·차관,기획관리실장,총무과장 등의 인사라인이 행정직으로 채워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복수직 자리에 행정직 대신 기술직 공무원의 비중을 늘려야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복수직 자리를 기술직 자리로 바꿔서 기술직 공무원 자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복수직 자리는 행정직 공무원의 몫?
30일 중앙인사위원회에 따르면 기술직 공무원이 실제 복수직 자리에 임명된 비율은 42.6%였다.바꿔 말하면 절반 이상을 행정직 공무원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 5급 이상 공무원 정원 1만 2475명 가운데 행정직 자리는 6692명(53.6%),기술직 자리 3738(30.0%),복수직 자리 2045(16.4%)명이다.복수직 자리에 기술직 공무원을 모두 임명해도 기술직 공무원 비율은 46.4%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계산이 나온다.그럼에도 기술직 공무원의 복수직 자리 임용률은 5급 45.5%,4급 42.4%,3급 34.2%,2급 25.6% 등 상위직으로 갈수록 낮다.
직급별 전체 자리 가운데 복수직 자리는 5급 13.5%(1061명),4급 18.7%(677명),3급 26.3%(168명),2급 38.2%(139명) 등으로 늘어나는 반면,기술직 공무원은 고위직일수록 복수직 자리 임용에서 배제된다는 얘기다.
이처럼 행정직 공무원들이 복수직 자리를 더 많이 차지하면서 5급 이상 공무원 가운데 기술직 공무원 비율은 30.2%로 세 명 가운데 한 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기술직 공무원은 찬밥
기술직 공무원이 기술직 자리와 복수직 자리에 실제 임용되는 비율을 합하면 76.3%가 된다.이는 지난해 68.2%보다 8.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직급별로 보면 5급 81.3%,4급 72.6%,3급 61.9%,2급 29.7% 등으로 상위직으로 갈수록 기술직을 찾아보기 어렵다.2급 기술직 공무원이 갈 수 있는 10개 자리 가운데 7개 직위는 행정직 공무원 등이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중앙인사위 관계자는 “상위직으로 갈수록 복수직 자리에 행정직 공무원이 많이 차지하면서 기술직 공무원이 드문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고 말했다.관계자는 “기술직 공무원의 고위직 비중을 늘리려면 복수직 자리에 기술직 공무원을 의도적으로 많이 임명해야 한다.”면서 “나아가 복수직 자리를 기술직 자리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세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