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12시 백화점은 22.5 C”
이달부터 고유가 충격 등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소비를 자발적으로 줄이겠다던 백화점 등 주요 유통업체와 은행의 약속이 ‘립 서비스’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스스로 제시한 냉방온도를 지키는 영업점은 10%도 안됐다.7월에 비해 냉방온도가 더 떨어진 곳도 많았다.
이같은 사실은 서울신문이 에너지관리공단과 공동으로 지난 9일 백화점과 은행, 대형할인점, 편의점 등의 본점 또는 영업점 21곳을 대상으로 냉방온도를 측정한 결과, 확인됐다.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는 에너지 절약운동을 실천으로 옮기도록 적극 유도하기 위해 다음주부터 직접 현장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냉방온도 더 낮아진 곳도 ‘수두룩’
전국은행연합회와 백화점협회, 체인스토어협회, 편의점중앙회, 자동차공업협회, 음식점중앙회 등 6개 단체는 지난 1일부터 냉방온도 상향조정, 실내조명 및 야간 외부조명 감축 등 에너지 절약을 자율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냉방온도의 경우 은행과 대형할인점은 26도 이상, 편의점 25∼26도, 백화점 24∼25도 등으로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측정 결과, 목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영업점은 21곳 가운데 현대백화점(25.1도)과 월마트(26.4도) 등 2곳에 불과했다. 목표 온도를 준수하는 시중은행과 편의점은 한 곳도 없었다.
특히 21곳 가운데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7월 4∼8일 냉방온도를 측정했던 백화점과 은행 11곳을 다시 조사한 결과, 실내온도가 더 떨어진 곳이 절반에 가까운 5곳에 달했다. 또 측정 당시 바깥기온이 30도(29.1∼31.5도)를 오르내리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신세계백화점(22.5도)과 우리은행(22.7도), 제일은행(22.8도) 등은 실내외 온도차가 7도 이상 벌어졌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냉방온도를 1도 높이면 약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지만, 별도의 냉방시설까지 추가로 가동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실내외 온도차가 5도 이상이면 감기와 두통 등 냉방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남이 강북보다 안 지켜
서울 강북이나 신도시에 비해 강남지역의 냉방온도가 더 낮은 것으로 측정됐다.
강북지역 은행 5개 점포의 평균온도는 24.4도인 반면 강남지역 5곳은 1도 가까이 낮은 23.5였다. 또 동일한 은행의 강북지점과 강남지점을 비교한 결과 온도차는 2도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한 은행 관계자는 “냉방온도를 조정하라는 별도의 지시를 받지 않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백화점 관계자도 “온도를 높이면 고객들의 불평이 이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일반 시민들은 온도 자체의 높고 낮음보다 습도까지 고려한 불쾌지수에 의해 영향을 더욱 크게 받는다. 같은 온도라도 습도를 낮추면 쾌적함을 느낄 수 있어 냉방온도를 굳이 낮추기보다 실내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라는 지적이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불쾌지수가 70을 넘으면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해 지수가 1포인트 상승할 때마다 냉방 전력수요는 발전소 1기의 발전용량과 맞먹는 105만㎾씩 증가한다.”면서 “온도를 높이는 대신 습도를 낮추면 불쾌지수가 낮아질 수 있으며, 냉방에 비해 20∼30%의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