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유료 콘텐츠 구입에 지갑 안 열어
음악 콘텐츠 이용률 4.9% 최고 신문·잡지 각각 0.5%로 38원 써
우리나라 성인들은 디지털 유료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월평균 채 1000원도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 콘텐츠 등 대체제가 많기 때문에 지갑을 열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25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지난해 5~8월 전국 성인 남녀 8313명의 데이터 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유료 콘텐츠 이용 비율은 0.5~4.9%로 저조했다.
유형별 유료 콘텐츠 이용 비율과 전체 표본(콘텐츠 서비스 가입·미가입자 모두 포함)의 월평균 이용 금액은 ‘신문·잡지·책’은 각각 0.5%, 38원에 불과했다. 이어 ‘동영상·영화’(1.0%, 54원), ‘게임’(1.0%, 92원), ‘TV 프로그램’(1.3%, 100원) 등이었다. 그나마 ‘음악’ 콘텐츠의 유료 이용 비율이 4.9%, 이용 금액은 295원으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하고 유료 콘텐츠를 실제 구매한 ‘유료 이용자’들만 놓고 보면 월 이용액은 5500∼8800원 수준이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나이가 어릴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과시형 소비’를 할수록, 상품 구매 시 정보를 많이 찾아볼수록 유료 콘텐츠 이용액이 컸다.
분석을 담당한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일반 상품과 달리 무료 대체재가 매우 많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는 유료 이용을 이끌어 내기가 상당히 어렵다”면서 “콘텐츠 사업자가 유료 판매를 통한 수익을 높이려면 이용자의 온라인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교하게 분석해 마케팅 전략을 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