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화학상 美 그럽스·슈록 佛 쇼뱅
미국의 로버트 그럽스(63)와 리처드 슈록(60), 프랑스의 이브 쇼뱅(74) 등 3명이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5일 “이들은 유기물질 합성에 ‘상호교환반응’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유기물질은 탄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탄소 원자들은 갖가지 결합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쇼뱅은 70년대에 상호교환반응을 통해 탄소 원자들 사이에서 화학적 결합이 형성되고 붕괴되는 메커니즘을 규명, 유용한 유기화합물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원리를 밝혀냈다. 이어 그럽스는 80년대 후반 탄소와 금속의 2중 또는 3중 결합을 최초로 만들어 냈으며, 슈록은 90년대 초에 상호교환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몰리브덴(Mo)과 루세늄(Ru) 등 금속착물촉매를 개발했다. 이들의 연구 성과는 현재 상용화에 성공, 의약품과 고분자물질 개발 등 화학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예컨대 항암제와 에이즈 및 C형 간염 치료제, 살충제, 곤충 페로몬 등이 대표적으로 손꼽힌다. 왕립과학원은 “상호교환반응에서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촉매를 사용,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그린 화학’을 앞당긴 것”이라면서 “이는 기초과학이 인류와 사회, 환경의 이익에 얼마나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쇼뱅은 파리 근교 뤼에이-말메종 소재 앵스티튀트 프랑세 뒤 페트롤의 명예 연구 담당 소장을 맡고 있다. 또 그럽스는 미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슈록은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각각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수상자들은 130만달러의 상금을 나눠 갖는다. 노벨위원회는 6일 문학상,7일 평화상,10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발표한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