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제3의 송유근 찾아라”
내년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후의 과학영재를 위한 정부 차원의 맞춤형 ‘과학신동 프로그램’이 본격 가동된다. 따라서 올해 최연소로 대학에 합격,‘제1호 과학신동’으로 지정된 송유근(7)군에 이어 제2, 제3의 과학신동들이 배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내년에는 이공계 대학생 및 대학원생 1만 3000명이 국가로부터 장학금을 지원받게 된다. 공고는 늦어도 이달 말까지 실시된다.
●과학신동에 다각적 지원
과학기술부는 22일 과학신동을 특별관리하기 위해 전담교수를 통한 전문교육은 물론, 해외연수 등의 기회를 부여하는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4년생 이상 중학생 이하를 대상으로 한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영재학교·과학고, 대학(원)생 지원을 위한 대통령과학장학생 및 이공계 국가장학생 등과 함께 유아에서 대학원생까지 망라하는 과학인재 육성체계가 구축됐다.
이번 프로그램에 따르면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4학년 이하 어린이 가운데 수학 또는 과학 분야 1개 과목 이상에서 대학생 수준의 이해 능력을 갖추고 있을 경우 학부모와 학교장, 전문가 등의 추천과 심사 과정을 거쳐 과학신동으로 지정된다. 과학신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주관으로 수학·물리 과목을 중심으로 역량과 성취도에 따라 KAIST, 연구지정학교(초등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전국의 거점대학 등에서 심화교육을 받게 된다. 인성 및 사회성 교육도 병행 실시된다.
과기부는 이를 위해 전공분야별 ‘교수 풀(Pool)’을 확보, 전국 권역별 거점대학 선정, 과학영재 1명당 5명 안팎의 전담지원팀 구성 등 다각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과학신동은 같은 연령대에서 100만명 가운데 1명 정도”라면서 “그동안 아동들에 대한 영재교육시스템이 없어 정책적 지원이 어려웠으나,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신동의 잠재력을 계발하는데 중점을 둘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이공계 1만 3000명에 장학금
과학기술부는 또 이날 ‘2006년도 이공계 대학(원)생 국가장학사업 추진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총 770억원(대학생 745억원, 대학원생 25억원)을 투입해 신입생 4000여명을 포함, 총 1만 3000여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달중 신청공고를 거쳐 내년 4월중 장학금이 지급된다.
선발기준은 대학생의 경우 고등학교 전 학년 내신성적(수학·과학) 상위 20% 이내인 자,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과학성적 상위 우수자 등이다. 대학원생은 학기 성적 및 논문 연구계획서가 심사 기준이다. 국가장학생으로 선발되면 대학생은 매년 700만원씩 4년간, 대학원생은 500만원씩 2회에 걸쳐 지원받을 수 있다.
과기부 관계자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 2003년부터 시행하던 이공계 국가장학사업을 내년부터는 과기부가 맡게 됐다.”면서 “수혜지역을 확대하기 위해 수도권과 지방을 구분하기로 했으며,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와 여학생,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지체부자유자 등에 대한 특별선발도 제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