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장세훈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주현진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홍희경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김문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TV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109
  • 낙성대 역사마을등 지역장점 특화 개발

    낙성대 역사마을등 지역장점 특화 개발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는 우리나라가 도시화·산업화는 빠르게 진행됐지만, 천편일률적인 외형 위주의 지역개발로 오히려 삶의 질은 후퇴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상으로 선정되는 고장이 개성을 꽃피울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1950년 21.4%에 그쳤던 우리나라 도시화율은 지난해 88.4%로 4.1배나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일본이 1.9배, 미국이 1.3배, 프랑스가 0.7배 증가한 것보다 훨씬 높다. 하지만 국제적 컨설팅업체인 ‘머서 휴먼리서치 컨설팅(MHRC)’의 조사 결과 2006년 서울의 삶의 질은 세계 150개 도시 가운데 89위에 그쳤다. 대도시뿐만 아니라 농어촌도 인구 급감과 고령화 등으로 존립 기반마저 위협받고 있다. 문영훈 행자부 살기좋은지역기획팀장은 “한정된 자원을 전국에 골고루 배분하기보다, 소수 지역을 집중 지원해 확산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면서 “지역 수요와 관심도가 높은 8가지 유형의 살기 좋은 지역 모델을 마련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행자부가 개발한 지역모델은 ▲산업형 ▲교육형 ▲정보형 ▲생태형 ▲전통형 ▲문화형 ▲관광형 ▲건강형 등이다. 공모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이같은 기본모델을 지역별 실정에 맞게 보완해야 한다. 예컨대 생태형 모델은 ▲수변경관형 ▲물순환형 ▲도보·자전거형 등으로 특화할 수 있다. 또 산업형 모델은 ▲향토산업형 ▲특산품생산형 등으로, 건강형 모델은 ▲스포츠형 ▲휴양형 등으로 특성화가 가능하다. 공모 절차가 마무리되면 ‘사업대상지역선정위원회’를 구성, 올해 말까지 선정을 끝낸다. 대상지역은 읍·면·동보다는 작고, 통·리보다는 큰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2005년도 행자부 도시연감에 따르면 전국 234개 기초자치단체에 있는 읍·면·동은 3573개, 이보다 작은 범주인 통·리는 9만 2624개이다. 문 팀장은 “내년도 시범지역은 8개 기본모델별로 3∼4개 정도씩 선정할 것”이라면서 “오는 10월 공모 계획을 발표할 때 구체적인 지원 계획도 함께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붕어빵 마을 탈피 테마 마을 만든다

    붕어빵 마을 탈피 테마 마을 만든다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마을 단위 맞춤형 개발사업인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가 새달부터 추진된다. 우수한 관광 자원을 갖고 있는 부산 해운대 달맞이고개, 풍부한 역사성을 갖춘 서울 관악구 낙성대 등 장점을 특화할 수 있는 지역이 대상이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30개 우선대상 지역을 선정한 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사업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연구원, 서울신문사가 공동으로 기획·추진한다. 이용섭 행자부 장관은 8일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장관은 “그동안 획일적인 지역개발과 성장지상주의로 개성과 특색 없는 지역이 양산됐다.”면서 “정부가 살기 좋은 지역의 모델을 제시하고, 각 자치단체가 실정에 맞게 보완해 사업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새달 말까지 지역모델 유형을 제시하고,10월에는 공모에 들어갈 계획이다. 우선대상 지역은 올해 말까지 선정한다. 이어 내년부터 해마다 30여곳씩 선정해 3년동안 지원한다. 문영훈 행자부 살기좋은지역기획팀장은 “농촌·산촌·어촌뿐만 아니라, 서울이나 부산 등 대도시도 대상”이라면서 “다만 재정 지원 부담이 크거나 지나치게 넓은 지역은 선정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대상지역으로 선정되면 부처별 각종 사업예산이 우선 배정된다. 내년도 행자부의 친환경 자전거 도로망 구축사업 예산 300억원, 환경부의 자연·생태하천 복원사업 예산 580억원 등 8개 부처 96개 사업 예산의 일부가 우선 지원된다. 총 예산 규모만 연간 1조원에 이른다. 또 지역 개발을 위한 설계비 등으로 20억원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지원한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김병준 부총리 퇴임…17일간 보수 450만원

    김병준 부총리 퇴임…17일간 보수 450만원

    이기준 전 교육부총리에 이어 역대 두번째 ‘단명 부총리’로 7일 사표가 수리된 김병준 전 교육부총리는 지난 17일 동안 근무한 대가로 급여 433만원, 퇴직금 17만원 등 450만원 정도를 받는다. 7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임용된 김 전 부총리는 이미 7월분 급여를 받았다. 지난달 급여는 교육부총리의 연봉 9471만원을 12개월로 나눈 금액 789만원에 7월중 재직 일수(11일/31일)를 곱한 280만원이었다. 또 이달에는 퇴직일 전날까지 재직 기간으로 간주,6일치 월급인 153만원을 추가로 받는다. 여기에는 소득세·주민세와 같은 세금은 물론, 건강보험료 및 공무원연금 납부액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전 부총리는 공무원연금을 낸 만큼 두달치 퇴직금도 받게 된다. 공무원연금법에 따르면 퇴직연금이나 퇴직연금일시금을 받으려면 20년 이상 공직에 몸담아야 한다. 따라서 김 전 부총리는 해당 사항이 없으며, 다만 20년 미만 재직자가 퇴직할 때 지급하는 퇴직일시금을 받을 수 있다. 퇴직일시금은 월보수액에 재직 일수(17일/365일)와 5년 미만 재직자에게 부여하는 가중치 1.2를 곱한다. 이를 통해 산출된 김 전 부총리의 퇴직일시금은 113만원. 그러나 급여에서 퇴직금으로 약 96만원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퇴직금 실지급액은 17만원 정도이다. 한편 김 전 부총리는 이날 이임식에서 ‘꿈으로 끝난 꿈’이란 제목의 이임사를 통해 “교육부(장관직)를 맡아 나름대로 하고 싶었던 일이 참으로 많았다. 그러나 이런 꿈은 채 한 걸음 옮기기도 전에 ‘박제’가 되어 버렸다.”고 아쉬움을 털어 놨다. 그는 “당분간 (논문표절 논란 같은)이번 일을 잊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 “(교육부 공무원)여러분도 저와 제가 겪었던 일을 잊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세이프 코리아] 수해대책 패러다임 바꿔야

    [세이프 코리아] 수해대책 패러다임 바꿔야

    “다리를 이런 식으로 만드니 장마 때마다 떠내려 갈 수밖에요.” 지난달 집중호우에 마을 앞 다리 주변 도로가 유실되는 바람에 고립됐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2리 주민들은 “복구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마을을 가로지르는 하천에 설치된 다리는 큰 물만 나면 어김없이 떠내려 갔다. 주민들은 비가 많이 왔기 때문이 아니라, 다리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다리를 하천보다 높여 물 흐름이 쉽도록 했으면 물난리를 피해갔을 텐데 부족한 예산으로 서둘러 공사를 하다보니 번번이 수해가 난다는 것이다. ●천재(天災)를 키우는 인재(人災) 실제 이곳을 찾아 보니, 다리는 차량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정도여서 주민들은 평소에도 추락 위험을 느꼈다. 게다가 다리는 높이 2m 가량의 박스 형태로 지어졌다. 이번 호우 때 다리는 산에서 떠내려온 나무 등이 난간에 걸리면서 물 흐름을 방해했다. 결국 다리 옆 도로가 무너졌고, 다리마저 떠내려가면서 주민들은 고립되고 말았다. 주민 최모(43)씨는 “교각을 높게 만들었으면 나무가 걸리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엉성한 교량 공사가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는 수해 복구에 해마다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고 있지만, 상진부2리 다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해 발생→땜질 처방→피해 재발’이라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다람쥐 쳇바퀴 도는’ 수해대책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여름철 집중호우 등으로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사이에 무려 18조 200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복구에 들어간 비용은 이보다 훨씬 많다. 예컨대 지난해 풍수해 피해액은 1조 498억원이었으나, 복구비는 1.6배인 1조 6486억원이었다.10년 동안 복구비로만 30조원 가까운 돈을 지출했다.1500만원 상당의 중형 승용차 200만대를 날려버린 셈이다. 방재연구소 심재현 연구1팀장은 “수해복구 체계는 재해 재발을 막는 항구복구보다 단순히 피해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는 응급복구에 치중돼 있다.”면서 “공무원의 직무유기라기보다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패러다임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즉 사후 대책보다 사전 예방을 우선해야 하나,‘공염불’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1961년 ‘치산·치수 긴급조치법’을 제정해 5년마다 수해대책을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1962년에는 ‘치수회계특별법’을 만들었다. 필요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특별회계를 편성할 수 있도록해 매년 4조엔(약 34조원)을 수해예방 예산으로 투자한다. 심 팀장은 “일본은 수해관련 예산의 80%를 예방에, 나머지 20%를 복구에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정반대 지출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는 수해 대책도 투자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국민들에게는 투자 개념의 풍수해보험을 들도록 권유하는 정부가 정작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투자에는 인색한 편”이라고 꼬집었다. ●패러다임 전환이 급선무 대도시, 대하천 등 수해 예방대책이 집중되는 지역과 실제 피해지역이 다르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실제 지난달 집중호우 때도 대규모 수해를 입은 지역은 소하천 주변 중·소도시나 농촌 지역이었다. 국가하천은 대부분 정비가 이뤄졌으나, 지방자치단체에 관리권한이 위임된 지방하천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그냥 방치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 하천법에 따르면 10년마다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지방하천 대부분은 정비계획을 수립하지 않거나 수립하더라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 팀장은 “이재민 구호와 피해시설 원상복구라는 수해대책의 근간을 뿌리째 흔들지 못하는 이상 진전은 없다.”면서 “피해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과학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연구개발(R&D) 활성화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방재 관련 지역별 시민단체 활동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일본 농촌 시민단체의 60% 이상은 방재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들이 펼치는 ‘마치츠쿠리(마을만들기)’운동은 벤치마킹할 대상이다. 게다가 일본의 자치단체들은 이같은 시민단체들이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보조금뿐만 아니라, 각종 수익사업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평창 조덕현기자·서울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수해복구 현장의 목소리 “수해가 일어날지 알면서도, 미리 대비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 지방자치단체 방재 담당 공무원은 “자치단체 스스로 확보할 수 있는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예방보다 복구를 위해 돈보따리를 풀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공무원은 “수해복구를 피해지역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피해를 입기 이전으로 되돌린다는 원칙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면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곳은 피해 가능성이 있어도 정비할 엄두를 못낸다.”고 털어놨다. 특히 수해가 발생하면 공무원 한 사람이 수백∼수천개 현장을 맡아 피해조사를 하다 보니 ‘수박 겉핥기’식으로 이뤄지고,‘방재는 잘해야 본전’이라는 생각 때문에 업무 기피 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공무원은 “대부분의 수해시설이 20∼30년에 한번 내릴 수 있는 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어졌으나, 지금은 이런 비가 1년에도 서너차례나 내린다.”면서 “일선 현장에서는 방재 역량을 높이고, 중앙정부는 법과 제도를 통해 인력과 예산을 확보하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해복구에 참여하는 업체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라고 했다.D기업 조모 사장은 “수해현장에 대한 피해조사와 복구계획 수립과정 등에 20여년 동안 몸담아 왔으나, 나아지거나 달라진 것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잘라말했다. 그는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항구복구보다 응급복구에 치중할 수밖에 없다.”면서 “또 너무 급하게 복구가 이뤄지다 보니 재해의 원인을 없애지 못하고, 부실공사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조 사장은 또 정부가 수해만큼이나 자주 되뇌고 있는 예산·인력 타령도 이쯤에서 그만둬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우리나라 국민소득이나 생활수준을 감안하면 수해 예방을 위한 투자를 늘려야 하고, 예방 차원의 투자가 늘어나면 수해도 줄어들기 마련”이라면서 “수해복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려면 인력 부족만 탓할 것이 아니라, 유명무실한 감리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국토방재조사 도입 검토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센서스처럼 자연재해 예방 차원에서 전 국토를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이른바 ‘방재센서스’가 도입될 전망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7일 “자연재해 예측시스템을 갖추려면 관련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보다 정확한 DB 구축을 위해 국토방재센서스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피해예측시스템으로 지역별 피해양상을 미리 확인한 뒤 사전 조치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기상예보처럼 ‘많게는 200㎜에서 적게는 100㎜의 비가 내린다.’는 식의 정보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신 ‘○○지역은 이번 비로 무릎까지 물이 차니,△△지역으로 대피해야 한다.’는 식으로 정보의 질을 높여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전 국토의 지형도와 토지이용실태, 인공시설물 현황, 인구 분포 등 방대한 정보가 담겨야 한다. 또 비와 바람 등 기상상황에 대한 예측 모델도 만들어져야 한다. 이 관계자는 “조사가 산별적·개별적으로 이뤄지고는 있으나, 조사 자료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은 현재로선 없다.”면서 “피해예측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려면 통합전산망을 갖추는 등 3∼4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빠르면 내년부터 강원도 등 자연재해가 심한 지역을 대상으로 피해예측시스템을 시범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해저스(HAZUS)’라는 자연재해 피해예측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1990년대말에는 지진,2003년에는 홍수에 대한 예측프로그램을 각각 완성했다. 일본도 해저스와 비슷한 ‘홍수위험지도’를 활용하고 있다. 집중호우가 내리면 어느 지역부터 침수가 되는지 등을 상세히 알 수 있다. 타이완은 대형 지진 피해가 발생한 1999년 이후 지진 피해 예측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밖에 소방방재청은 최근 10년 동안의 풍수해 자료를 활용해 올해 안에 ‘지역별 안전도 진단 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주택 거래세 2%로 인하

    주택 거래세 2%로 인하

    정부는 집을 살 때 내는 취득세와 등록세 등 거래세를 현행 취득액의 2.5∼4%에서 2%로 낮추기로 했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3일 당정협의를 갖고 이달 말 임시국회에서 이런 내용의 지방세법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개정안은 이르면 다음달부터 시행된다. 개인간 주택 거래의 취·등록세는 현행 2.5%에서 2%로 0.5%포인트 내린다. 또 그동안 과세 형평성 논란을 빚었던 신규 아파트 분양의 거래세는 현행 4%에서 2%로 낮춰진다. 모든 주택 거래에서 취·등록세가 2%로 하향 조정되는 것이다. 다만 주택이외에 토지와 임야 등 다른 부동산 거래는 지방자치단체의 세수 감소를 이유로 인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에 따라 분양가 4억원인 경기도 판교 필하우스 33평형을 분양받은 사람의 거래세 부담은 기존 1760만원에서 절반인 880만원으로 줄어든다. 또 개인간 거래에서 취득가액 4억원인 서울 역삼동 SK허브젠 28평형은 종전에 1080만원을 내야 했지만, 앞으로는 18.6% 줄어든 880만원만 납부하면 된다. 취득가액 7억원인 서울 도원동 삼성래미안 42평형은 거래세가 2205만원에서 1890만원으로 14.3% 경감된다. 이용섭 행정자치부 장관은 “주택거래를 활성화시키고, 국민들의 주거안정을 지원하자는 취지”라면서 “이번 조치로 국민들의 취·등록세 부담은 올해 5000억원, 내년부터는 연간 1조 4000억원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김병준사퇴’ 이끈 한총리 이번엔 각료제청권 행사?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자진사퇴 정국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명숙 국무총리가 내각에 대한 임명 제청권까지 행사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김 부총리에 대한 ‘해임 건의’ 카드를 꺼내들어 당·청 갈등을 조기에 수습하는 데 일조했다고 하더라도, 임명 제청권 행사가 무산된다면 조금씩 당겨오던 국정 주도권이 단숨에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 총리는 지난 4월 취임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내각 적임자를 적극 추천하겠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김 부총리를 포함, 신임 각료 4명을 인선한 ‘7·3 개각’ 당시 한 총리는 임명 제청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때문에 책임 총리제가 유명무실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있었다.같은 맥락에서 한 총리가 김 부총리의 후임자 선정 과정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한다면 비판의 강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특히 한 총리는 7·3 개각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여성 부총리를 천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총리의 후임으로 ‘여성 부총리’를 다시 추천할지도 관심거리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김병준 논문파문’ BK21에 불똥?

    김병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의 논문 파문으로 두뇌한국21(BK21) 사업 전반을 전면 감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면서 감사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감사원은 3일 “언론 등에서 제기하는 문제점에 대해 모니터링 차원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한 뒤 감사 실시 여부를 신중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격 감사에 착수하기에 앞서 관련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으로 ‘예비 감사’를 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감사원은 이 결과에 따라 논문 중복게재를 비롯한 부실 보고 현황과 예산 집행 내역, 평가의 적절성 등 BK21 사업 전반에 대한 감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면 감사가 그리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1999년부터 지난해까지 진행된 1단계 BK21 사업의 경우, 관련 서류가 남아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시작한 2단계 사업에서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많이 개선했다는 점도 감사원을 맥풀리게 하고 있다. 교육부와 BK21 사업을 위탁받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은 이번 사태와는 별개로 지난 1일 ‘BK21·NURI 사업관리위원회’(BNC)를 출범시켰다. 그동안 꾸준히 문제가 제기돼 온 BK21 사업과 지방대 혁신역량강화(NURI) 사업 전반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었다.BNC에서는 관련 자료의 전산에서부터 상설 평가관리 체제 및 체계적인 목표관리 시스템 구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에 따라 감사원의 감사는 1단계 BK21 사업의 문제점보다는 현재 진행 중인 2단계 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감사원 관계자는 “문제를 개선했다고 과거 잘못이 모두 덮어지는 것은 아니다. 개선안을 만들었다고 해도 문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면서 “단순한 잘못뿐 아니라, 제도 자체의 문제점까지 개선하도록 하는 ‘시스템 감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도개선과는 별도로 이번 사태로 불거진 허위·중복 보고 등 윤리적인 문제를 비롯해 평가의 적절성과 평가관리 등의 개선책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를 보겠다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논문 중복보고 등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행·재정적 제재를 얼마나 강화했는지, 보고 논문을 정확히 평가하는 방안이 갖춰졌는지 등의 여부가 이번 감사의 집중 표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김재천 장세훈기자 patrick@seoul.co.kr
  • 이기준 이어 두번째 최단명

    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취임 13일만에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참여정부 차관급 이상 정무직들의 ‘수명’이 관심사가 되고 있다. 참여정부는 ‘코드 인사’에 한번 검증된 인물을 계속 활용하는 ‘돌려막기 인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한 자리에서 오래 머문 사례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3년6개월동안 국무총리를 포함한 국무위원 20개 자리에는 모두 64명이 거쳐갔다. 직위별로 3.2차례씩 교체된 셈이다. 가장 빈번하게 바뀐 자리는 현직을 포함해 다섯명씩 거친 교육부총리와 해양수산부 장관이다. 이기준 전 교육부총리와 김병준 부총리의 재임기간은 각각 5일,13일에 불과해 각각 참여정부 ‘단명 장관’ 1,2위에 올랐다. 김 부총리는 사표가 수리되는 절차가 필요한 만큼 조금 늘어날 수는 있다. 최낙정 전 해수부 장관도 재임기간이 14일에 그쳐 단명 장관 3위를 기록했다. 경제부총리와 행정자치부·환경부·기획예산처 장관은 세 차례 교체가 이루어져 현직은 참여정부 4대 장관에 해당한다.국무총리와 과학기술부총리, 통일부·법무부·문화관광부·농림부·산업자원부·보건복지부·노동부·건설교통부 장관은 두 차례 바뀌었다. 외교통상부·국방부·정보통신부·여성가족부는 각각 한 차례 수장이 교체됐을 뿐이다. 참여정부 최장수 장관은 진대제 전 정통부 장관으로,3년1개월동안 재임했다. 이어 반기문 외교부 장관이 2년7개월째 업무를 맡고 있다.2년 이상 한자리에서 국정운영을 책임진 국무위원은 이희범 전 산자부 장관(2년2개월)을 포함,3명에 불과하다. 반면 참여정부에서 정무직을 두차례 이상 거친 인물은 15명이 넘는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막후역할 빛난 ‘부드러운 카리스마’

    막후역할 빛난 ‘부드러운 카리스마’

    한명숙 국무총리가 한숨을 돌렸다. 단순히 부담을 더는 차원에서 벗어나 국정운영에 자신감도 갖게 됐다. 한 총리는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자진 사퇴를 이끌어내면서 공언해온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보여줬다.‘김 부총리 파동’의 진행 과정에서 다소 ‘오버’하는 것 아니냐는 시중의 인식도 잠재울 수 있게 됐다. 한 총리는 2일 김 부총리의 사의 표명에 “저는 당과 청와대, 당사자의 입장을 고려해 최선의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고 소회를 밝혔다. 학문적·윤리적 논란을 뛰어넘어 정치적 타격을 입은 김 부총리를 끌어안고 가기 어려운 상황에서 물러나는 ‘모양새’를 갖추는 데 주력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대목이다. 실제로 한 총리는 당초 ‘해임 불가’에서 김 부총리가 국회에서 해명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진 사퇴’를 이끌어냈다. 전날 한 총리는 국회 교육위원회 직후 “의혹이 상당부분 해명됐다.”면서 “하지만 거취 문제는 이미 정치적 이슈화된 만큼, 여론을 수렴해 대통령께 건의하겠다.”고 입장 표명을 미뤘다. 이 역시 “사퇴는 무슨 사퇴냐.”며 자진사퇴 관측을 일축했던 김 부총리에게 퇴로를 만들어준 셈이 됐다. 다만 김 부총리 퇴임 문제의 주도권을 한 총리 또는 노무현 대통령, 여권 수뇌부 가운데 누가 쥐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김 부총리의 퇴진 문제를 둘러싸고 당·청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총리가 청와대에 여당측 기류를 전달하고, 당·청간 대책을 조율한 뒤 김 부총리에게 자진 사퇴를 권유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게다가 김 부총리의 사의 표명으로 한 총리는 해임 건의라는 무리수도 피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 총리는 당·청 사이의 조정자 역할을 톡톡히 함에 따라 앞으로의 행보와 입지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제주특별자치도 성과관리제 도입

    출범 한달째를 맞는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중앙정부의 성과관리체제가 본격 도입된다. 정부는 1일 정부중앙청사에서 한명숙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위원회를 열어 ‘제주특별자치도 성과목표 및 평가에 관한 협약안’을 심의했다. 한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제주특별자치도는 국가 경영전략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면서 “특별자치도의 성패가 국가의 미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중앙에서 적극 지원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협약안에 따르면 정부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별도의 평가단을 구성, 제주특별자치도의 성과를 평가한 뒤 그 결과를 공개해 특별자치도에 대한 주민들의 감시 및 견제 기능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평가 결과 성과가 좋으면 행정적·재정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성과가 부진하면 관련제도의 개선이나 보완책 마련 등을 요구하도록 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사이에 성과관리체제가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정부는 이달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와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정부는 내년 7월 시범평가를 실시한 뒤 내년도 성과목표 달성 실적을 토대로 2008년 상반기에 본격 평가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전면적인 행정규제 정비와 중앙행정 권한의 단계별 이양, 재정분권 및 자치역량 강화 등을 주요 과제로 정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일부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거나 철폐하기로 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특별자치도 규제개혁안을 마련해 정기국회에서 입법작업을 벌일 예정이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달라진 한총리

    거센 사퇴압력에 휘말린 김병준 교육부총리 문제를 계기로, 한명숙 국무총리가 세간의 우려를 씻어내며 ‘책임총리’로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있다.‘홀로서기’차원을 넘어 대립 양상으로 치닫던 청와대와 여당 사이에서 막후조정을 주도하며,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정치력을 발휘하고 있다. 김 부총리가 1일 국회 교육위원회에 출석하고 있는 동안 각 언론사의 촉각은 한 총리에게로 모아졌다. 한 총리가 전날 김석환 공보수석비서관을 통해 “국회 교육위 결과를 지켜본 뒤 총리에게 부여된 모든 권한을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모든 권한’이 ‘해임 건의’로 받아들여졌음은 물론이다. 총리실은 한 총리가 청와대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과 오찬 회동을 한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한 총리에게 ‘총대’를 메게 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오찬 회동은 한 총리의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한 총리 나름의 복안을 노 대통령에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총리 문제 해결의 ‘희생양’이 아닌 ‘해결사’ 역할로 나선 셈이다. 같은 맥락에서 한 총리는 이날 저녁 총리공관에서 2시간 동안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장와 김한길 원내대표, 청와대 이병완 비서실장 등과 만나 당·정·청의 ‘거리 좁히기’에도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한 총리는 이번주 초부터 김 의장과 수시로 통화하고, 여당 지도부와 만찬 회동을 갖는 등 ‘당심’을 듣기 위한 지속적인 대화 채널도 가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1일 오전에는 김 부총리에게 “국회 교육위에 당당하게 임해 의혹 규명에 앞장서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처럼 청와대에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고, 당에는 명분을 실어주었으며, 김 부총리에게는 해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1석 3조’의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해외문화재 찾기 기부금 허용

    해외로 나간 문화재를 사오기 위한 기부금 모집이 허용됐다.이에 따라 문화연대는 앞으로 1년 동안 국민들로 부터 자동응답시스템(ARS)과 은행계좌, 모금함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기부금은 모두 유출된 문화재를 다시 사들이는데 쓰여지며, 이 문화재의 소유권은 국가가 갖는다. 정부는 1일 한명숙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해외유출 문화재 구입을 위한 기부금 모집 계획안’을 의결했다. 문화연대 황평우 문화유산위원장은 “다음주부터 모금 운동에 나설 것”이라면서 “약탈문화재는 환수운동을 펼치고, 해외에 유출되거나 팔려 나간 문화재가 재구입 대상”이라면서 “일본 등지에 나가 있는 고서화 등을 우선 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화연대 등은 지난달 국민 모금 운동으로 1억 3000만원을 모아 ‘선무공신(宣武功臣) 김시민 교서(敎書)’를 일본으로부터 되찾아 왔다. 이 모금 운동은 은행계좌로만 제한돼 한계가 있었으나, 정부의 이날 결정으로 AR S 등 다양한 모금 수단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50억 대박 추첨복권 나오나

    새로운 추첨식 복권 `팝콘´은 판매가 시들한 반면 함께 발매된 즉석식 복권 `스피또´는 날개돋친듯 팔려나가고 있다. 이 때문에 복권위원회는 추첨식 복권의 판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1등 당첨금이 50억원을 넘는 추첨식 `이벤트 복권´을 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가 앞장서 사행심을 조장한다는 비판에 휘말릴 소지가 있어 조심스럽다.31일 국무총리실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4월17일 내놓은 추첨식 인쇄복권 `팝콘´의 판매액은 100억 8000만원이다. 반면 즉석식 인쇄복권의 경우 1등 당첨금이 10억원인 `스피또 2000´은 143억 1000만원 어치가 판매됐다.1등 당첨금 100만원인 `스피또 1000´과 1등 당첨금 5억원인 `스피또 500´은 각각 76억 7000만원과 79억 3000만원 어치가 팔렸다. 지난해 즉석식 복권 총 판매액이 556억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총 판매액의 절반 이상을 1분기 만에 판 셈이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비축쌀 가마당 4만7780원

    정부는 올해 공공비축용 쌀 매입 규모를 지난해보다 50만섬 줄어든 350만섬(40㎏ 기준 1750만가마)으로 확정했다.건조하지 않은 산물벼는 가마당 4만 8450원, 농가에서 직접 건조한 포대벼는 가마당 4만 7780원씩 지급한 뒤 연말에 현지 쌀값을 반영해 내년 1월 정산한다. 공공비축제는 정부가 일정 분량의 쌀을 구입해 시장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기존 쌀 추곡수매제를 폐지하는 대신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정부는 1일 국무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2006년 공동비축제 시행방안 및 2007년 정부관리양곡 수급계획안’을 의결했다. 올해 공공비축쌀 매입물량을 포대벼 250만섬, 산물벼 100만섬 등 모두 350만섬이다. 추곡수매제가 마지막으로 시행됐던 2004년 정부 수매 물량 494만섬보다는 144만섬 줄어든 것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공공비축제로 정부는 연간 300만섬의 쌀을 구입하면 되지만, 급격한 구입 물량 감소에 따른 농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면서 “작황이 좋을 경우 매입물량을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내년도 정부관리양곡 공급량을 ▲쌀 1216만 5000섬(175만 2000t) ▲보리쌀 68만 6000섬(9만 5000t)으로 결정했다. 내년도 수요량은 ▲쌀 538만 7000섬(77만 6000t) ▲보리쌀 23만 6000섬(3만 3000t)으로 예상했다. 각의는 울릉도 남쪽 울릉분지 일대 8481㎢ 해역을 ‘제8 해저광구’로 지정하는 내용의 해저광물자원개발법 시행령 개정안도 처리했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인사]

    ■ 교육인적자원부 ◇고위공무원 △국제교육진흥원장 나종화◇서기관△정책홍보관리관실 김응철△전남대 이연생◇사무관△감사관실 김경호△정책홍보관리관실 이일승△서울대 박태현△충북대 성종석△한국해양대 이익호■ 과학기술부 ◇과장급 승진 △전략기술통제팀장 李性奉△연구개발특구기획단 기획총괄〃 金日煥△국립과학관추진기획단 건설과장 吳圭鎭△소방방재청 전출 金大起 ◇과장급 전보△혁신기획관 金奉守△원천기술개발과장 趙誠贊△원자력안전〃 崔萬燮△우주기술협력팀장 姜秉三 ◇서기관 승진△정책홍보관리실 林耀業△원자력국 趙樂鉉 金鉉洙△국립중앙과학관 丁國奉 ◇서기관 전보△감사관실 高光老△기초연구국 李錫來△과학기술기반국 韓成煥△연구개발조정관실 康建基△기술혁신평가국 盧載翼■ 행정자치부 ◇팀장급 전보 △운영지원팀장 洪性祐△과천청사관리소 운영과장 兪在漢△지방분권지원단 金敏在■ 환경부 △법무담당관 鄭秉喆△토양지하수과장 朴應烈△UNEP 파견 예정 黃啓榮■ 국가보훈처 ◇팀장급 전보 △보훈선양국 현충시설과장 申永敎△제대군인국 제대군인지원센터장 曹夢煥■ 국세청 ◇고위공무원(일반직) 전보△정책홍보관리관 丁炳春 △국제조세관리관 李承宰△법무심사국장 李炳坮△조사〃 吳大植△중부지방국세청 조사3〃 李浚星■ 관세청 ◇부이사관 승진△인사기획관 車斗三△정보기획과장 朴喆九■ 기상청 ◇과장급 전직 △정책홍보관리관실 국제협력담당관 南在哲◇4급 전보△대전지방기상청 예보과 金庸洙◇4급 승진△예보국 예보총괄관실 예보관실 李載屛■ KBS △부산방송총국 시사제작프로젝트팀장 權宗郁■ 한국공항공사 ◇임원 전보 △전략기획본부장 김희선△운영지원〃 함용빈△시설안전〃 위성창△서울지역〃 김충기◇승진△서울지역본부 운영단장(이사대우) 최영철△〃 시설〃(〃) 전동주△〃 항무팀장(1급갑) 조진현△〃 지원총괄〃(〃) 서정만△건설사업추진단장(〃) 유재복△광주지사장(〃) 김옥빈△부산지역본부 운영단장(〃) 주영만◇1급·처장급 전보△미래경영센터장 안광엽△미래경영센터 R&D TF팀장 김병노△비서〃 김종형△기획관리〃 김황용△노무복지〃 장인욱△공항시설〃 이길희△서울지역본부 운영계획〃 박생기△부산지역본부 시설단장 박종화△제주지역본부 〃 문희찬△대구지사장 성종석△청주〃 신종균△여수〃 고갑무△포항〃 최중봉△항로시설본부 지원총괄팀장 김종성△항공인력개발원장 김동훈◇2급 전보△미래경영센터 역량개발TF팀장 남흥섭△혁신전략〃 이미애△조직법무〃 임귀섭△홍보〃 장순자△마케팅〃 박순천△재무회계〃 정덕교△자산관리〃 주민식△외주관리〃 최병기△서비스개발〃 장호상△보안계획〃 오승철△건설사업1〃 정군현△건설사업2〃 권순구△서울지역본부 재무관리〃 최성종△〃 고객지원〃 이효선△〃 보안검색〃 조범행△〃 소방구조〃 권경안△〃 항행정보시설〃 박영진△〃 레이더〃 장세훈△부산지역본부 지원총괄〃 이찬두△〃 재무관리〃 김수봉△〃 고객지원〃 백종은△〃 보안관리〃 최광엽△〃 항무〃 박청하△〃 전기통신〃 이창섭△〃 항행안전시설〃 김명섭△제주지역본부 지원총괄〃 이재훈△〃 재무관리〃 김경화△〃 고객지원〃 염용범△〃 보안관리〃 소금철△〃 항행안전시설〃 현관우△대구지사 운영〃 한규웅△〃 시설〃 황인석△울산지사 운영〃 성기은△〃 시설〃 김한주△양양지사 운영〃 박현재△〃 시설〃 이달주△여수지사 시설〃 윤용호△사천지사장 오성호△사천지사 운영팀장 허상태△목포지사장 강상준△군산〃 이항구△원주〃 지상섭△항로시설본부 시설팀장 김정완△〃 전자〃 고병관△항공인력개발원 교무지원〃 김진천△〃 시설〃 박홍만■ 예금보험공사 ◇부서장 △기획조정부장 申東震△청산지원〃 郭城根△특별조사기획〃 任基淳△자산회수〃 鄭旭鎬△상시감시1팀장 崔孝洵△특별조사1국 부국장 文瀅梧△혁신기획실장 趙顯澈△법무〃 李在二△영남지사장 李炯九△인력개발부(외부파견) 鄭長欽△〃(해외 학술연수) 金丁泰△〃(외부파견) 金光儀 ◇1급 승진△보험정책실장 朴載淳 ◇2급 승진△청산지원부 팀장 鄭大泳△리스크감시2부 〃 權彛勇△적기정리부 〃 趙良翼 ◇3급 승진△상시감시4팀 팀장 金海鐘△정보시스템실 〃 具滋百△금융분석부 〃 尹鍾德△자산회수부 〃 宋官浩 ◇팀장△적기정리부 金炳滿△기금관리부 李鐘薰△기획조정부 林聖烈△리스크감시1부 金光南△기획조정부 孫亨洙△청산지원부 梁二重△국제업무실 朴昞基△자산회수부 韓東錫 張晋榮△보험정책실 金敬鎬△금융분석부 李龍文△조사부 劉仟于△인력개발부(국내 학술연수) 李濟璟■ aT(농수산물유통공사) ◇처장급 전보 △기획실장 許勳茂△수출전략팀장 李光雨△일본마케팅〃 鄭雲溶△유통교육원 유통연구실장 張東秀△수도권화훼단지대책반장 李東赫△서울경기지사장 鄭鎰晩△대구경북〃 金元泰△부산울산〃 南相源◇부장급 전보△인사팀장 尹長根△중장기전략T/F팀 반장 金將來△홍보팀장 李皓善△수출전략팀 가공수출부장 李宗京△수출컨설팅팀장 金浩銅△aT센터운영본부 운영팀장 金鐘完△국영무역1팀 수입관리부장 黃晟夏△품질관리팀장 金洪周△국영무역2팀장 成昌弦△유통교육원 책임연구원 趙道衍△서울경기지사 비축팀장 李廣洙△〃 수출유통〃 金德男△충북지사장 黃亨淵△대전충남지사 관리비축팀장 李昌龍△대구경북지사 수출유통〃 金鍾雄△부산울산지사 관리비축〃 姜璟中△지방이전추진〃 金鍾雄△구미마케팅〃 申賢坤△국영무역1팀 판매관리부장 柳炳烈△정보서비스본부 정보시스템팀장 金桂洙△화훼사업본부 분화팀장 丁信煥△법무팀장 직무대리 田大永■ 국립암센터 (부속병원) △부속병원장 이강현△부속병원 부원장 김흥태△위암센터장 김영우△유방암〃 노정실△특수암〃 박병규△진료지원〃 이도훈△암예방검진〃 이은숙△진료지원센터 진단방사선과장 김현범△핵의학〃 김석기△진료지원센터 수술실장 정해정△〃 QI〃 험현석△〃 QI실 팀장 김남신△〃 간호과장 유한진(연구소)△기초과학연구부 암유전체연구과장 김인후△호발암연구부 간담췌암연구〃 박중원△특수암연구부장 이승훈(국가암관리사업지원평가연구단)△암등록역학연구부 암등록연구과장·암등록역학연구부장 신해림△〃 암정보연구과장 장윤정△〃 암코호트연구〃 임민경△암관리정책연구부 암예방검진지원연구〃 최귀선(교육훈련부)△교육훈련부장 김선욱(기기획조정실)△기획예산팀장 백승태△정보전산〃 최혁재△정보전산팀 부팀장 윤태식△홍보팀장 정인철△연구지원〃 공인택△기획예산팀 부팀장 이건호(사무국)△경리팀장 박금원△구매〃 조승구■ 서울시립대 △대학원장 민현수△생활관장 김진원△경상대학ㆍ경영대학원 교학과장 장광필△물리학과장 손주혁△교통공학과장 김영찬△국사학과장 구범진■ 서울산업대 △교무처장 孟喜永△기획〃 柳根沃△산학협력단장 李守求△공동실험실습관장 朴翼根■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장 劉載蘭△건국대병원장 李京榮■ 덕성여대 △대외협력처장 朴明淑△교수학습개발센터장 朴成蕙△커리어개발〃 金炅姬△대외협력과장 金成圭■ 성균관대 ◇부장 △산학협력단 연구지원팀 申基昶◇팀장△산학협력단 산학기획팀 崔允漢△〃 산학사업팀 崔元永△대외협력처 국제교류팀 姜權判■ 고려대 △대학원장 최동호△이과대학장 위인숙△의과대학장 정지태△의용과학대학원장 겸 과학기술대학장 김형배△여학생감 신지영■ 서울대 △학생처장 이정재△연구〃 국양△기획실장 김형준△입학관리본부장 김영정△대외협력〃 송호근△기초교육원장 박은정△교무부처장 양호환△학생부처장 박형근△연구부처장 송용상△기획부실장 남익현△기초교육원 부원장 홍종인△서울대발전기금 상임이사 주종남△중앙도서관장 박명진■ 매일경제TV (보도국)△경제부장 류호길△정치〃 최기영△국제〃 정운갑■ 굿모닝신한증권 ◇부장△기업분석 文基熏△투자분석 鄭義錫△IB지원 成基鐵 ◇지점장△강남중앙 金鍾玉△강남 任宗爀△관악 吳星昊△광화문 金起正△구월동 朴熙燮△명동 元鍾湘△목동중앙 金雲培△목동 李相和△방배동 李東勳△서교동 金會三△수내역 金東益△신림 張圭成△안산 金厚根△압구정 白明煜△영등포 柴鈗永△일산 南勇文△창동 金幸哲△구미 李東旭△군산 趙源裁△금정 金智龍△대구동 朱福龍△대구서 金賢起△대구 柳昌坤△동래 陳敬烈△시지 全在光△안동 金潤夏△여천 李成均△영남IB영업부 金聖坤△정읍 金光洙△창원 朴石勳■ KT (전문임원 임용) △신사업추진실장 尹京林■ KTF (전무 전보) △법인사업본부장 이문호△마케팅부문 수도권마케팅본부장 조서환 (상무 전보)△마케팅부문 대전마케팅본부장 홍석관△스포츠단장 노홍내 (팀장 전보)△법인사업본부 사업기획 이명해△〃 솔루션사업 전윤모△〃 솔루션기술지원 이한우△〃 수도권법인마케팅 박홍대△〃 부산법인마케팅 윤문철△〃 대구법인마케팅 김훈구△〃 광주법인마케팅 박주신△〃 대전법인마케팅 권병기△수도권마케팅본부 강남마케팅단 안양마케팅 이상기■ 서울경제신문 (서울경제) △상무이사 겸 광고국장 최관이△편집국장(이사대우) 이종환△경영기획실 실장직대 부국장 겸 백상경제연구원 부원장 김준수△논설위원실 부국장 김인모 이현우△총무국 〃 겸 총무부장 원용범△독자서비스국 부국장 권영화△광고국 〃 김춘식△〃 제작부 부국장대우 차명수△〃 관리부 〃 김인철(㈜서울경제골프컨설팅)△대표이사 사장 김성종
  • ‘폭염 낮잠’ 검토

    찜통 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낮잠을 즐기는 한국식 ‘시에스타(siesta)’가 도입될 전망이다. 시에스타는 스페인과 그리스 등 지중해 연안 및 남미 국가들의 낮잠 풍습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31일 “여름철은 폭염에 따른 집중도 저하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면서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의 기준을 만들고, 이에 따라 건설·산업현장에 낮잠을 권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도 무더위가 몰아치면 기상청은 ‘열파 지수’를 매일 발표한다. 열파는 비정상적이고 불쾌한 느낌을 주는 덥고 습한 날씨를 의미하며, 열파 지수는 습도와 기온을 감안해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를 수치화한 것이다.‘안전·주의·매우주의·위험·매우위험’ 등 5단계로 구분되는 열파 지수가 ‘매우주의’ 단계 이상이면 열사·일사병 위험이 있다. 지난해 열파 지수가 ‘매우주의’ 이상인 날은 27일이었으며, 장마 직후인 7월 말부터 8월 하순에 집중됐다.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김부총리 거취 1일 고비

    김부총리 거취 1일 고비

    한명숙 총리가 휴가 중인 노무현 대통령과 31일 오찬 회동을 갖고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거취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한 총리는 논문 표절과 중복 게재 의혹에 휩싸인 김 부총리의 거취 문제와 관련, 해임건의권을 행사하겠다는 뜻을 전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한 총리는 이어 이날 저녁에는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을 만나 노 대통령과의 회동 결과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김 부총리의 거취 문제가 사실상 ‘김병준 청문회’로 1일 열리는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 이후 사퇴로 결론날지 주목된다. 김석환 총리 공보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한 총리는 여론수렴 등 이 문제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1일 열리는 국회 교육위에서 이루어지는 진상규명 과정을 지켜본 뒤 결심을 실행에 옮기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오전만 해도 “사퇴할 만한 사안이 아니다.”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더니 오후에는 예고 없이 춘추관 기자실에 들러 “우선 사실관계를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 공보수석은 이어 “현재로서는 결심이 어느 쪽일지 단정할 수는 없지만 법에 명시된 모든 권한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해 해임건의권 행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여야의 교육위원회 간사인 열린우리당 유기홍, 한나라당 임해규 의원은 31일 오후 비공개 협의를 갖고 김 부총리를 출석시킨 가운데 1일 전체회의를 갖기로 합의했다. 구혜영 장세훈기자 koohy@seoul.co.kr
  • ‘고위공무원단證(증)’ 푸대접?

    “공무원증을 새로 발급받아야 하지만, 바꾸고 싶지 않습니다.” 1급에서 고위공무원단 출범 이후 가 등급으로 바뀐 한 사회부처 공무원은 “기존 공무원증을 계속 가지고 다닌다.”고 털어놓았다. 기존 공무원증은 1급을 뜻하는 ‘관리관’으로 표시돼 있으나, 새 공무원증에는 단순히 ‘고위공무원’이라고 등재돼 있을 뿐이라 탐탁지 않다는 것이다. 계급을 폐지한 고위공무원단 출범 이후의 풍속도다. 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마다 조직 체계가 달라 이름이 비슷해도 계급에서는 차이가 나는 ‘헷갈리는 직위’가 속출하고 있다.1∼3급 공무원의 계급 구분마저 사라져 직함만 듣고 계급을 파악하기란 더욱 쉽지 않다. 고위공무원단제 시행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실장·본부장은 1급(관리관)이었다. 또 국장·심의관은 2급(이사관)이나 3급(부이사관)으로,‘국장님’으로 통칭됐다. 하지만 국무조정실장은 장관급,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차관급이다.1급을 의미하는 ‘관리관’이 직함에 포함된 홍보관리관은 모든 부처가 옛 2급에 상응하는 다 등급이며,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군수관리관도 다 등급이다. 또 과기부 연구개발조정관과 국무조정실 기획관리조정관·규제개혁조정관·사회문화조정관·경제조정관·심사평가조정관이 옛 1급에 해당하는 가 등급인 반면 국방부 기획조정관은 다 등급, 건설교통부 혁신정책조정관은 라 등급, 외교부 통상교섭조정관은 마 등급이다. 이같은 차이는 같은 부처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지방행정본부장·정부혁신본부장·정책홍보관리본부장은 가 등급이나, 전자정부본부장·지방재정세제본부장은 다 등급이다. 산업자원부도 정책홍보관리본부장·산업정책본부장·무역투자정책본부장·에너지자원정책본부장은 가 등급이나 기간제조산업본부장·미래생활산업본부장·에너지자원개발본부장은 다 등급이다. 보건복지부와 정보통신부, 여성가족부, 건교부 등 본부·팀제를 운영하고 있는 다른 부처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밖에 직함에 ‘팀장’이 들어 있어 과장급으로 간주했다가는 큰 코 다치기 일쑤인 자리도 있다. 마 등급인 행자부 재정기획팀장은 고위공무원단에 포함된 유일한 팀장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한총리, “김 부총리 관련 모든 권한 행사”

    거센 사퇴압력을 받고 있는 김병준 교육부총리와 관련,한명숙 국무총리가 이르면 1일중 공식 입장을 밝힐 전망이다.최악의 경우 한 부총리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김 부총리에 대한 해임을 건의할 것으로 보인다. 김석환 총리실 공보수석비서관은 31일 “한 총리가 김 부총리 문제에 대한 여론과 정치적 공방을 잘 알고 있으며,아주 세심하게 보고 있다.”면서 “1일 열리는 국회 교육위원회 결과를 지켜본 뒤 총리에게 부여된 모든 권한을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헌법 17조에 따르면 총리는 내각에 대한 인사 제청권은 물론,해임 건의권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받고 있다.때문에 현 시점에서 ‘권한 행사’는 곧 ‘해임 건의’로 받여들여질 수 있다.이와 관련,한 총리는 당초 1일 예정됐던 국방부 및 한미연합사령사 방문 일정도 연기했다. 하지만 한 총리는 김 부총리가 포함된 지난 7월초 부분 개각 당시 사실상 임명 제청권을 행사하지 못한 상황에서 소신껏 해임 건의를 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김 수석은 “김 부총리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국무위원으로,주장과 주장이 부딪히는 단계에서 거취가 결정되면 안된다.”면서 “하지만 국회 상임위가 사실 규명에 중요하다고 판단,그 과정을 지켜보고 결단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총리가 대통령에게 국무위원에 대한 해임을 건의한 사례는 지금까지 한차례 있었다.지난 2003년 10월 당시 고건 총리는 교사 비하 발언 등 잦은 말실수로 물의를 빚은 최낙정 해양수산부 장관에 대해 해임을 건의,노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고위공무원단 파견직 직무등급 ‘찬밥’

    각종 위원회나 기획단, 태스크포스(TF) 등 외곽조직이나 임시조직에 파견한 공무원이 많을수록 ‘힘센 부처’로 통한다.1∼3급 고위직을 ‘바깥’으로 많이 내보내면 그만큼 부처내 인사에 숨통을 틔울 수 있다. 하지만 고위공무원단 출범 이후 파견인력의 ‘약발’은 전보다 크게 약화될 것 같다. 파견인력의 직무등급이 크게 낮아져 그동안 직무의 중요성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계급의 인력이 앉아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됐기 때문이다. 1∼3급 계급제 시절, 각 부처의 파견직위는 모두 76개로 1급 6개,2급이 64개,3급이 6개였다. 그러나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에 따라 5단계로 직무등급을 부여한 결과 가등급은 전혀 없고, 나등급도 1개에 불과했다. 다등급이 5개, 라등급이 1개에 그친 것도 충격적이다. 대신 마등급이 69개이다. 전체의 90.8%에 해당한다. 과거 1급은 직무등급제 제도 시행 이후에는 가∼나등급,2급은 다∼라등급,3급은 마등급에 상응한다는 것이 중앙인사위원회의 설명이다. 옛 직급의 높낮이를 가리지 않고 파견인력의 대부분을 최하위 직급에 배치한 셈이다. 1급 파견인력은 6개 가운데 5개 직위는 업무의 중요성이 직급 수준에 못 미쳤던 것으로 판정됐다.▲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부단장과 ▲인적자원연구개발기획단장 ▲제주특별자치도추진기획단 부단장 ▲주한미군대책기획단 부단장 ▲동북아바른역사기획단 부단장이다. 2급에서 마등급으로 하락한 파견직위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5개 직위를 비롯해 무려 63개에 이른다.▲동북아시대위원회와 ▲제주특별자치도추진기획단은 3개씩 직위가 낮아졌다.▲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위원회와 친일반민족진상조사위원회 ▲과학기술자문회의 ▲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주한미군대책기획단도 2개씩 등급이 하락했다. 이밖에 ▲정부혁신지방분권위 ▲지속가능발전위 ▲교육혁신위 ▲노사정위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 ▲동학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 ▲빈부격차·차별시정위 ▲사법제도개혁추진위 ▲정책기획위 등 각종 위원회에서 1개 직위씩 등급이 떨어졌다. 또 ▲조세개혁실무기획단 ▲거창사건 등 처리지원단 ▲국립생물자원관건립추진기획단 ▲국민임대주택건설기획단 ▲노근리사건처리지원단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추진기획단 ▲의료산업발전기획단 ▲국정과제실시간관리추진단 ▲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기획단 등에서도 각각 1개 직위의 등급이 하락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