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알찬 플랜 낸 마을에 보너스 ‘듬뿍’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시범지역 선정이 가시권으로 접어들면서 지원방식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행정자치부가 시범지역 30곳에 지급할 재정인센티브 20억원씩은 전체 지원규모를 감안하면 ‘종자돈’에 불과할 수 있다.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는 중앙정부가 모든 대상지역에 ‘알아서’ 나눠주는 일괄 지원 방식이 아니라, 대상지역이 ‘원하는’ 정책·예산 등을 지원하는 맞춤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생태형 마을로 선정될 경우 지역실정을 감안한 계획서에서 친환경 자전거도로망 구축(행정자치부), 걷고싶은마을 만들기(건설교통부), 생활속 산림생태공간 조성(농림부), 자연생태하천 복원(환경부), 지역문화서비스센터 건립(문화관광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 관련부처가 협의를 거쳐 ‘몰아주기’식 지원이 이뤄진다.
시범지역을 ‘맨투맨’ 방식으로 관리할 주관부처도 지정된다.9개 기본모델 가운데 문화형·관광형은 문화부, 산업형은 산업자원부, 교육형은 교육인적자원부, 정보형은 행자부, 생태형은 환경부, 전통형은 문화재청, 건강형은 보건복지부, 가족형은 여성가족부가 주관부처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가족형으로 선정되면 주관부처인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지방건강지원센터 건립 ▲모·부자시설 지원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운영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미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이같은 ‘정책패키지’ 방식으로 지원이 가능한 8개 부처의 120개 정책을 확정했다. 총 예산 규모만 연간 1조원이 넘는다. 내년에는 우선 6개 부처,23개 정책,3500억원 정도를 지원한다. 단순한 계산으로도 30개 시범지역 하나하나에 100억원 이상씩 지원이 가능한 규모이다.
박재영 행자부 지역균형발전지원본부장은 “지역만들기에 필요한 정책, 사업, 예산, 제도 등을 스스로 발굴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하지만 중앙정부에 ‘손 벌리기’식 예산타령만 해서는 안되며, 자체재원 확보나 민간자본 유치와 같은 자구노력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행자부는 지역개발을 위한 설계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정지역별로 3년동안 재정인센티브 20억원을 추가로 지원할 방침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