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인력 대이동
국내 외국계 금융회사 우수인력들의 이직 행렬이 본격화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구조조정의 여파다. 반면 국내 토종 업체들은 외국계 회사에서 빠져나온 우수 인력을 ‘헐값’에 채용하고 있어 향후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 가운데 외국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권사 61곳 중 21곳(34.4%), 자산운용사 63곳 중 20곳(31.7%), 손해보험사 30곳 중 14곳(46.7%), 생명보험사 22곳 중 8곳(36.4%) 등으로 적지 않다.
이 가운데 모기업이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외국계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등은 대부분 지난 연말을 전후해 최대 50%까지 인력을 감축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최근 연봉 계약 시즌을 맞아 신규 인력을 충원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본사 방침에 따라 엄두를 못내고 있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쉬쉬하는 분위기라 정확한 파악은 어렵지만 전반적인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면서 “영업을 접거나 매각설이 도는 곳도 있다.”고 귀띔했다. 보험사 관계자는 “외국계 보험사들의 구조조정은 아직 본격화하지 않고 소문만 무성한 상황”이라면서 “구조조정에 앞서 스스로 국내 업체로 자리를 옮기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털어놨다.
예년에는 국내 우수 인력을 외국계가 고액 연봉을 미끼로 스카우트하는 게 일반적이었다면 최근에는 외국계에서 국내 회사로 자리를 옮기는 역전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우리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이 각각 최근 골드만삭스 등 외국계 출신 애널리스트를 잇달아 영입했다.
다만 과거에는 우수 인력의 경우 기존 연봉에 웃돈을 얹어줘야 경쟁사에서 인력을 빼올 수 있었지만, 지금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넘쳐 몸값도 추락하고 있다. 기존에는 우수 애널리스트 연봉이 국내 3억원, 외국계 10억원선으로 알려졌다. 또 우수 주식거래중개인(브로커)은 국내 1억~2억원, 외국계 3억원선이 하한선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상당수 금융회사들이 소속 애널리스트 등과 연봉 협상을 진행하면서 동결 또는 대폭 삭감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소속 애널리스트의 기본금은 동결하는 대신 지난해 성과에 대한 성과금은 평균 10∼30% 삭감했다. 현대증권도 애널리스트의 연봉을 지난해 대비 10% 정도 줄였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채용은 줄어든 대신 외국계 출신 등 공급이 늘어나면서 기존 인력과 재계약을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지금까지 얼마를 받았는지는 무의미한 상황”이라면서 “회사를 옮기지 않고 재계약할 경우 기존 연봉에서 20~30% 정도 줄이는 게 요즘 일반적인 추세”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귀족 대접을 받던 외국계 직원들에 대한 인식이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크게 달라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