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부르는 유혹 ‘고금리 삼국지’
금융권의 고금리 경쟁이 치열하다. 은행권이 정기예금 금리를 연 4% 중반으로 올리자, 증권사와 보험사들도 앞다퉈 종합자산관리계좌(CMA)와 저축성 보험 금리를 최고 5%대로 재조정하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자전거 정기예금’은 한 달여 만에 가입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우대금리를 포함해 1년 만기 최고 금리를 4.6%까지 끌어올린 덕이다.
한국씨티은행의 ‘프리스타일 정기예금’도 고금리를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가 대부분 4%대인 반면 이 예금은 2년 만기 연 5.0%, 3년 만기 연 5.5%를 제시한다. 출시 2개월 만에 5000억원의 판매실적을 거뒀다. 신한은행은 토지보상금이나 공탁금 등을 받는 사람들을 겨냥해 최고 4.65%를 주는 ‘프리미엄 토지보상(공탁금) 예금’을 8월 말 선보였다.
단기 회전식 예금도 인기다. 하나은행이 지난달 내놓은 ‘하나 369 정기예금’은 19영업일 만에 1조원을 유치했다. 정기예금에 가입한 후 3개월, 6개월, 9개월 되는 시점에 중도 해지해도 높은 금리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그러자 3~4%대 금리가 주류를 이뤘던 증권사 CMA에도 인상 바람이 불고 있다.
유진투자증권과 신영증권은 지난달 각각 최고 연 5.1%, 5.0%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출시했다.
생명보험사들도 장기주택마련저축보험 등 저축성 상품의 10월 공시이율(은행의 변동금리에 해당)을 전달보다 최고 0.5%포인트 인상했다.
흥국생명과 동양생명은 지난달 연 4.9%에서 이달 5.3%로 각각 상향했다.
대한생명과 금호생명은 각각 5.2%, 미래에셋생명 5.0%, 삼성생명 4.9%, 교보생명이 4.8%로 각각 올렸다. 인상 폭만 따지면 대한생명이 0.5%포인트로 가장 높다.
연금보험에도 높은 금리를 책정하고 있다. 흥국생명과 동양생명이 각각 4.9%에서 5.3%로 올린 것을 비롯해 미래에셋생명(5.2%), 금호생명(5.1%), 대한생명(4.8%), 교보생명(4.8%) 등도 각각 상향 조정했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최근 예금 금리가 올라가면서 자금이 은행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저축성 상품 등의 공시이율을 큰 폭으로 올렸다.”고 설명했다.
반면 손해보험사들은 저축성 보험의 공시이율을 그대로 두거나 소폭 인하해 대조를 이뤘다.
동부화재는 연 5.2%에서 5.0%, 흥국화재는 5.4%에서 5.3%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LIG손보, 메리츠화재, 롯데손보, 제일화재 등은 모두 5.2%를 유지하고 있다.
유영규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