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자산증가율 금투사 첫 추월
올해 은행의 자산증가율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회사의 자산증가율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식형 펀드에 대한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5년 만에 처음이다.
17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 현대증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0일까지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 양도성예금증서(CD) 순발행, 금전신탁 등 은행 계정의 자산증가율은 10.0%(79조 1000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투자회사 계정의 자산증가율 6.1%(27조 6000억원)보다 높은 것이다.
금융투자회사 계정은 머니마켓펀드(M MF)와 자산관리계좌(CMA), 국내외 펀드, 실질고객예탁금, 환매조건부채권(RP), 증권사 신탁 등을 더한 것이다. 앞서 주식형 펀드 투자가 활성화된 2004년 이후 지난해까지 은행의 자산증가율은 금융투자회사에 비해 2분의1 또는 4분의1 수준이었다. 연도별 은행과 금융투자회사의 자산증가율은 ▲2004년 -1%, 23% ▲2005년 7%, 11% ▲2006년 6%, 25% ▲2007년 6%, 37% ▲2008년 11%, 21% 등이다.
오성진 현대증권 WM컨설팅센터장은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저축(은행)에서 투자(금융투자회사)로 이동했던 자금이 금융위기로 인해 다시 역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계웅 신한금융투자 펀드리서치팀장은 “올해 개인들의 투자 축소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투자 기조 자체가 위축될지 주목된다.”며 “다만 저금리와 금융자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내년에는 주식형 펀드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