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올 임대주택 7186가구 공급
서울시내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올 한 해 동안 7100여가구의 임대주택이 제공된다.
서울시는 16일 국민임대 3890가구와 재개발임대 2246가구, 다가구임대 1050가구 등 모두 7186가구의 임대주택을 신규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5143가구에 비해 40.7% 늘어난 것이다.
SH공사가 국민임대주택 단지에서 짓는 국민임대는 월평균 소득이 정부가 정한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인 가구 등이 신청할 수 있다.
이달 마포구 상암지구 468가구와 은평구 은평지구 160가구를 시작으로 ▲상암지구 477가구, 강남구 세곡지구 491가구(이상 5월) ▲강동구 강일지구 807가구, 송파구 마천지구 545가구(8월) ▲세곡지구 178가구, 양천구 신정지구 686가구, 은평지구 78가구(11월) 등으로 예정돼 있다. 기존 다가구·다세대주택을 서울시가 사들여 공급하는 다가구임대는 기초생활수급권자와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보호대상 가족에게 1순위로 공급된다.
재개발임대는 재개발사업구역 내 철거 세입자 중 사업시행인가 당시 임대주택 공급대상자로 확정된 가구에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김윤규 주택정책과장은 “신규 공급 물량과 별도로 기존 영구임대주택(50년)을 3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눠 2000가구씩 추가로 공급할 방침”이라면서 “올해 안에 임대주택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임대주택 포털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주요 개발지역에서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기 위해 부동산 중개업소 등을 상시 단속하기로 했다. 보금자리주택지구와 위례신도시, 뉴타운, 재건축지구 등을 중점 단속지역으로 정하고 부동산 거래동향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남대현 토지관리과장은 “모니터링에서 투기 혐의 등이 감지되면 단속반을 투입하게 된다.”면서 “집중 단속대상은 무등록 중개와 등록증·자격증 대여행위, 이중계약서 작성, 전매 금지된 분양권 중개행위, 떴다방 설치 등”이라고 강조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