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직 질병 많고 군인이 가장 건강
공무원 가운데 군인이 가장 건강하고 철도공무원이 각종 질병에 많이 시달리고 있다.교육공무원은 빈혈과 신장질환,기타흉부질환에 취약하다.
이같은 사실은 보건복지부가 98년도에 실시한 공무원·교원 피보험자의 건강진단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1,2차 건강검진에서 이상이 발견돼 유질환자로 판정된 사람은전체 수검자 126만5,953명 가운데 5.6%인 7만1,312명으로 1만명 기준 유질환율은 563.3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678.3명으로 259.8명인 여자에 비해 2.6배 가량 높다.
유질환율을 질병별로 보면 순환기계 질환(고혈압,고지혈증)이 219.7명으로가장 높고,간장질환 196.9명,당뇨질환 120.0명,신장질환 36.2명,빈혈증 25.7명,폐결핵 14.5명,기타흉부질환 10.6명이다.
이를 교육직,경찰직,철도직,체신직,일반직,사립교원,군기관 등 집단별로 분석해보면 군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폐결핵에서만 유질환율이 11.12명으로 7.77명인 경찰공무원에 뒤졌을 뿐 나머지 6개 질병에서는 유질환율이 가장 낮아 가장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철도공무원은 유질환율이 폐결핵 19.75명,순환기계 질환 283.47명,간장질환 270.30명,당뇨질환 154.28명 등으로 4개 질병에서 가장 높았다.
공립교원을 포함한 교육직은 빈혈과 신장질환이 각각 44.52명,45.13명,기타흉부질환이 13.35명으로 3개 질병에서 유질환율이 최고였다.이들 질병에서의 사립교원 유질환율은 각각 31.63명,36.60명,8.83명으로 차이를 보였다.
한편 도시자영업자,농민들로 구성된 지역가입자의 유질환율은 805.5명으로공무원·교원보다 훨씬 높았다.질병별로는 고혈압성 질환 252.10명,당뇨질환 195.08명,간장질환 193.84명,고지혈증 111.77명,신장질환 67.36명,폐결핵및 기타흉부질환 62.37명,빈혈증 41.99명의 분포를 보였다.직장가입자의 유질환율은 610명 수준이었다.
임태순기자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