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남산족/임태순 논설위원
도심 한가운데 있는 남산은 서울의 허파이자 보석과 같은 공간이다. 울창한 수목은 매연과 일에 찌든 도시인의 심신을 풀어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남산은 하루종일 바쁘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찾는 사람이 끊이지 않는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을 가리지 않는다. 이른 아침부터 인근 주민들이 부지런히 올라와 곤히 자고 있는 남산을 깨운다. 서로의 안부를 물은뒤 배드민턴을 치고 체육기구로 몸을 단련한다. 점심, 저녁시간이면 남산 주변의 직장인들이 올라와 산책로를 따라 조깅을 하거나 트레킹을 한다. 웰빙흐름에 맞춰 자연스레 ‘남산족’이 생겨난 것이다.
남산은 교통을 통제하면서 오히려 되살아나고 시민들과 가까워졌다. 지난 2005년부터 순환로는 자동차통행이 금지되고 청정연료를 사용하는 순환버스만이 다닐 수 있게 됐다. 덕분에 남산의 접근권이 더 좋아졌다. 남산도서관, 남산로, 대한극장, 장충동, 국립극장, 순환로를 도는 녹색순환버스는 아침 9시부터 밤 12시까지 남산족을 실어나른다. 국립극장, 남산도서관 등은 교통사각지대에서 벗어나 시민들과 더욱 친근하게 됐다. 남산족이 인근 주민에서 시민 전체로 확산된 것이다.
남산은 많은 훈장을 갖고 있다.6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수도 서울의 심장을 지켜온 풍수학상의 안산(案山)의 역할을 해온 만큼 그럴 만도 하다. 동상이 10개, 기념비는 11개나 된다. 동상의 주인공은 김유신, 김구, 안중근, 정약용, 이시영, 유관순, 이황, 사명대사, 김용환, 이준 열사 등 역사를 빛낸 위인들이다. 기념비로는 소월시비, 조지훈시비, 외솔 최현배선생비 등 있음직한 것도 있지만 자연보호 현장비, 반공청년 운동비, 제일강산 태평비 등 공원분위기와는 맞지 않는 것도 있다.
남산이 더 바빠질 것 같다. 얼마전 남산 인근의 호텔들이 주변의 명소와 연계한 피크닉 패키지 등 관광상품을 만들어 판촉에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남산에 필요한 것은 휴식과 자연보전일 것이다. 피곤에 지친 남산에 건축물, 마케팅 등 덧칠할 것이 아니라 힘들게 껴안고 있는 것을 떼어내 부담감을 덜어 주어야 한다. 남산족들이 제2의 남산 제모습찾기 운동이라도 벌여야 할 때이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