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임주형
    2025-08-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861
  • 고졸·지역채용 확대… 공공기관 ‘열린고용’

    고졸·지역채용 확대… 공공기관 ‘열린고용’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김황식 국무총리,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127개 공공기관장, 소비자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열린고용 및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공공기관 워크숍’에서는 공공기관의 ‘공적 역할론’에 대한 주문이 잇따랐다. 이 대통령은 “남다른 각오가 필요하고 오늘 이 자리가 서로 결의를 다지고 각오를 다지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많이 알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사람은 위험한 사람이다. 행동을 해야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공공기관이 국민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과 열린고용, 서민생활 안정, 경기둔화 대응, 중소·협력업체 지원 등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공공기관이 경영효율화와 자산매각 등 원가절감을 통해 공공요금 안정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며 “농산물 가격과 주거비, 교육비 안정 등을 위해 현장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들은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기로 했다. 서부발전은 연료다변화와 경영효율화를 통해 전기료 인상요인을 흡수하겠다고 공언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새마을호, 무궁화호의 운임 인상을 억제하고 올리더라도 경영 개선을 통해 인상폭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주요 농산물 상시 비축, 사이버거래소 활성화 등을 대책으로 내놓았다. 한국장학재단은 교육비 부담을 덜어 주고자 학자금 대출금리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고졸자 채용 확대와 채용 이후 조직 내 안착을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지난해 인사규정을 개정해 고졸 채용자가 대학 진학 시 학비를 지원하고, 입사 3년 후부터 승진시험 응시기회를 부여했다. 한국석유관리원은 고졸자에게 6급 직위를 부여하고, 승진 및 급여지급 수준을 명확히 규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사내 중공업사관학교에서 고졸 채용자의 이론과 실무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입사 7년 후에는 승진 및 연봉에서 대졸 신입사원과의 차별을 없앴다. 경북 경주시로 이전한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신규채용 인원의 20% 이상을 지역인재로 할당했다. 동반성장에 눈길을 돌리고 있는 공공기관도 많다. 한국서부발전은 맞춤형 지원을 통해 유망 중소기업의 평균 매출액을 증대시키고, 발생 수익은 사회단체에 기부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자원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현지 사업 운영 노하우 및 네트워크 등에 대한 상담지원을 실시했다. 포스코는 중소기업의 자금유동성 확보를 돕기 위해 납품 후 3영업일 이내에 주 2회에 걸쳐 납품대금 전액을 현금결제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외부와의 의사소통도 강화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유튜브 등 6개 언어 SNS 채널을 통해 한국문화 및 관광 홍보에 나섰다. 공공기관은 이와 함께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경기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투자 예정액의 57%를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다. 27개 주요 기관이 1분기까지 14조 4000억원을, 상반기까지 30조 5000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대학생 전세주택을 지난해 800호에서 올해는 1만호로 늘릴 예정이다. 보금자리주택 착공 물량은 지난해보다 8000가구 증가한 7만 1000가구로 늘렸다. 한국석유공사는 최근 1호점을 개점한 알뜰주유소를 올해 700개, 2013년까지 980개로 늘릴 계획이다. 재정부는 상반기 중 공공기관의 일자리 창출 및 고졸자 채용 추진 실적 등을 점검하고, 경영실적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성수·임주형기자 sskim@seoul.co.kr
  • 복지사업도 예비타당성 조사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는 사업에 대해 사전에 실시하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일원화되거나 강화된다. 기획재정부는 26일 정부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운용 지침을 개정해 각 부처에 통보했다. 개정 운용 지침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나눠 수행하던 연구개발(R&D)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는 일관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KISTEP으로 일원화된다. 재정부는 이와 함께 복지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넣어 장기비용 추계, 효율적인 전달체계, 추진 대안 등을 제시하도록 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공공기관 올 고졸 2350명 채용

    정부가 올해 공공기관 고졸자 채용 규모를 2350명으로 확정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열린고용 및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공공기관 워크숍’에서 올해 공공기관의 고졸 채용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힐 예정이라고 재정부가 26일 밝혔다.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은 1만 4600여명이며, 이 중 16.1%인 2350여명을 고졸자로 채용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이 260명의 고졸자를 채용할 예정이며, 한국전력공사와 한국토지공사는 각각 234명과 200명을 선발한다. 박 장관이 공개한 신규 고졸 채용 비중은 당초 정부의 목표치인 20%에는 못 미친다. 재정부는 그러나 경영실적을 평가받는 주요 공공기관 122곳의 고졸 채용 비율은 22.6%에 달하며, 업무 특성상 고졸자를 많이 채용하기 어려운 국립대병원과 출연연구기관의 경우 행정지원 인력의 절반가량을 고졸자로 채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122개 기관이 2500여명의 고졸 인턴을 채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단시간 취업자 91만명 늘어

    361만 7000명→453만 4000명.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과 지난해 주당 36시간 미만 단시간 취업자 수의 변화다. 1년 새 무려 91만 7000명(25.4%)이나 늘었다. 역대 최대 규모이며, 증가율은 1986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의 18.7%가 단시간 취업자인 셈이다. 일자리의 ‘질’이 크게 나빠진 것일까.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단시간 취업자 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조사 기간에 공휴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고용통계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권고에 따라 매달 15일이 들어 있는 한 주 동안 조사하는데, 8~9월에는 광복절(8월 15일)과 추석연휴(9월 11~13일)로 근로시간 자체가 줄어 단시간 취업자로 분류된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 기간 연휴를 즐기기 위해 연·월차 휴가를 냈던 사람들이 꽤 있었던 것도 단시간 취업자 수가 늘어난 원인이다. 조사 기간인 8월 15~19일과 9월 12~16일에 36시간 미만 근무한 근로자는 각각 616만명과 1567만명에 달했다. 공휴일 효과를 제거하고 분석하면 지난해 주당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06만명으로 전년(303만명)보다 3만명(1.0%) 늘어나는 데 그쳤다. 또 주당 36시간 미만 취업자 중 추가취업을 희망한 사람은 2010년 41만 9000명에서 2011년 35만 8000명으로 오히려 6만명 이상 감소했다.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단시간 근무를 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는 뜻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일하는 엄마, 일없는 딸…50대 취업, 20대 추월

    일하는 엄마, 일없는 딸…50대 취업, 20대 추월

    가정주부 최모(58)씨는 지난해부터 중개 사이트를 통해 가사도우미와 베이비시터 일을 하고 있다. 대기업에서 퇴직한 남편이 개인사업을 하다 실패하고, 아들이 취업 대신 대학원 진학을 선택하자 ‘생활전선’에 뛰어든 것이다. 이미 보육교사 자격증을 딴 최씨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도 준비하고 있다. 적지 않은 나이에 일을 계속하려면 다양한 자격증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다. 김모(56·여)씨는 최근 한 병원의 물리치료사로 취직했다. 30대 때 잠시 하다 그만둔 일이었지만, 자영업을 하는 남편 수입이 불황으로 감소하자 가계에 조금이라도 보태기 위해 일자리를 찾았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20대 딸이 아직 합격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김씨가 취업전선에 뛰어든 원인이다. 일하는 50대 여성 숫자가 200만명을 처음 넘어서며 20대 여성 취업자 수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50대 여성 취업자는 전년보다 13만명(6.8%) 늘어난 205만 1000명으로 200만명을 돌파했다. 20대 여성 취업자 수 191만 8000명보다 13만 3000명 많고, 30대 여성 취업자(210만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50대 여성 취업자는 2003년 121만 5000명에서 해마다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4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10만명 이상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여성 취업자 중 5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3%로 집계돼 처음으로 20%대에 진입했다. 반면 20대 여성 취업자는 2006년 212만 8000명을 기점으로 매년 감소하다가 지난해에는 50대에도 밀렸다. 50대 여성 취업자 수가 20대보다 많아진 것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50대로 진입하면서 인구 수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50대 여성 인구는 2010년 말 현재 331만명으로, 2000년 217만명에 비해 5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20대 여성 인구는 2000년 386만명에서 2010년 316만명으로 10년 새 70만명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 위기와 유럽 재정 위기 등 잇단 경제 위기로 청년 취업이 어려워지고, 직장을 잃은 가장을 대신해 취업전선에 뛰어든 ‘어머니’가 증가한 것도 한 원인이다. 60세 이상 여성 취업자도 전년보다 5만 6000명(4.9%) 늘어난 119만 1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일자리의 ‘질’도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파악된다. 50대 취업여성 70% 가까이가 임시·일용직의 비정규 고용형태로 일하고 있으며, 주 40시간 이상 일하고 있음에도 100만원 이하의 임금을 받고 있는 비중이 과반수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여성 전체 취업자는 전년보다 17만 7000명(1.8%) 늘어난 1009만 1000명으로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돌파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대기업 내부거래땐 석달마다 공개해야”

    앞으로 대기업 계열 상장사는 50억원 이상 내부거래를 하면 3개월마다 외부에 공개해야 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집단의 일감 몰아주기 등 부당지원행위 감시 강화를 위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의 중요사항 공시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26일부터 시행된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액 5%·50억원 이상 거래 대상 이에 따라 총자산 5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55개 대규모 기업집단 1629개사는 상장 여부와 관계없이 매출액의 5% 이상 또는 50억원 이상의 계열사 간 거래내역을 공시해야 한다. 지금까지 상장사는 이사회 의결 대상(100억원 이상) 대규모 내부거래에 한해, 비상장사는 연 매출액의 10% 이상인 거래만 사전 또는 사후 공시해 왔다. 대기업 상장사의 계열사 간 상품·용역 거래내역 공시주기도 현행 연 1회에서 분기별(연 4회)로 확대된다. ●오늘부터 규정 적용 비상장사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연 1회 공시하면 된다. 상장사와 계열사 간 상품·용역 거래내역 공시는 올해 1분기 거래부터 적용되며, 지난해 거래내역은 종전 규정에 따라 5월 31일까지 공시해야 한다. 공정위는 조만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회사를 대상으로 ‘공시제도 설명회’를 열고 ‘공시업무 매뉴얼’을 보급할 예정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내부거래에 대한 공시 범위를 강화함으로써 시장감시기능이 활성화되고, 투명·책임경영에 대한 기업과 시장의 관심이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정위가 지난해 43개 대규모 기업집단을 조사한 결과, 그룹 내 내부거래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12%(144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LG ‘리니언시’ 최대수혜?… 1054억 과징금 면제

    LG ‘리니언시’ 최대수혜?… 1054억 과징금 면제

    기업들이 서로 짜고 가격과 물량 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담합(Cartel)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매우 엄격하게 제재하는 부당 행위 중 하나다. 많게는 수백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담합 사실을 스스로 신고하는 기업도 있다. ‘담합 자진신고자 감면제’(리니언시·leniency)에 따라 과징금을 면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담합을 주도했음에도 리니언시를 ‘활용’해 과징금을 한 푼도 내지 않는 ‘영리한 기업’이 늘고 있다. 24일 서울신문이 공정위의 2007~2011년 5년간의 의결서를 분석한 결과 10대 그룹 계열사가 담합을 하다 적발돼 과징금을 부과받은 경우는 총 94차례였다. 삼성이 21차례로 가장 많았고, LG와 SK가 각각 19차례와 17차례로 뒤를 이었다. 롯데는 15차례, GS는 8차례로 나타났다. 하지만 리니언시를 통해 과징금을 감면받은 기업은 공정위 의결서에 공개된 것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 자진신고 사실이 알려지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의결서에 명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대기업이 리니언시를 악용하고 있는 현실에 고심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개정 고시를 통해 리니언시 혜택을 입은 지 5년 안에 새로운 담합 행위를 저지르면 자진신고를 하더라도 감면 혜택을 주지 않기로 했다. 담합 주도 기업이 리니언시로 빠져나가거나 담합에 참가한 기업이 소수일 경우 업체 모두가 감면 혜택을 보는 등의 문제도 여전하다. 리니언시를 가장 ‘쏠쏠하게’ 이용한 그룹은 LG그룹이었다. LG그룹 계열사가 지난 5년간 1순위로 담합을 신고해 과징금을 전액 면제받은 경우는 8차례로 865억 5000만원을 감면받았다. 2순위나 3순위로 신고해 과징금을 일부 면제받은 경우도 4차례 있었다. 일부 감면 금액까지 합치면 총 1054억원의 과징금을 면제받았다. LG전자는 2010년 삼성전자 및 캐리어와 함께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시스템에어컨과 TV 조달 단가를 담합해 35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전액 면제받았다. 롯데그룹도 리니언시를 잘 활용한 편이었다. 4차례에 걸쳐 640억원의 과징금을 전액 면제받았다. 계열사인 호남석유화학은 2007~2008년 비닐의 원료가 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폴리프로필렌을 담합해 3차례에 걸쳐 62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모두 면제받았다. 10대 그룹 계열사 중 LG와 롯데를 제외하고는 과징금을 전액 면제받은 기업은 없었다. 삼성그룹은 리니언시 2순위 지위를 인정받아 과징금 50%를 면제받은 경우가 무려 9차례에 달했다. 담합 행위를 먼저 신고하지는 않지만 다른 기업의 신고 움직임이 포착되면 얼른 뒤따라 나선 경우가 많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삼성의 ‘정보력’이 그만큼 기민하고 뛰어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담합을 주도한 대기업이 리니언시를 통해 빠져나가는 제도에 대해서는 1분기 중 보완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기업담합피해 소비자 구제” “공정위, 집단소송 첫 지원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 집단소송을 처음으로 지원한다. 지난 12일 세탁기·평판TV·노트북 가격을 최대 20만원까지 올리기로 담합해 446억여원의 과징금을 문,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상대로 한 소비자 손해배상소송이 첫 사례다. ●녹소연 “새달 29일까지 소송인단 모집” 공정위는 녹색소비자연대전국연합회가 진행 중인 소비자손해배상소송의 피해자 모집 경비 등을 지원하겠다고 24일 밝혔다. 공정위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소송인단 모집 광고를 낼 때 쓸 소송 지원 비용으로 1억원을 확보했다. 담합 기업에 과징금을 부과해도 소비자 피해 구제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공정위가 소송 지원에 나서게 됐다. 담합한 기업들은 담합 자진신고자 감면제(리니언시)로 과징금을 감면받지만 손실을 본 소비자는 보상받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다. ●소송 비용 개인당 2만원 녹소연은 당초 2월 14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던 소송인단 모집을 다음 달 29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2008~2009년 두 가전사가 담합한 모델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영수증과 제품등록증 등 구매 내역서, 신분증 사본, 소송위임장 등을 녹소연에 제출해 소송에 참여할 수 있다. 소송 비용은 개인당 2만원이다. 녹소연은 소비자별 피해액을 산정하고 정신적 피해 위자료 50만원을 더해 전체 소송청구액을 결정할 방침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공정위, SSM 기업결합 첫 제동

    롯데쇼핑이 CS유통을 인수하며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확장한 것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점포 매각 등의 시정조치를 내렸다. 공정위가 SSM의 기업 결합에 제동을 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정위는 24일 롯데쇼핑이 CS유통을 인수해 운영하고 있는 대전 유성구 송강동의 굿모닝마트 송강점을 6개월 내 제3자에게 매각하도록 명령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대전 송강동의 경우 롯데슈퍼(롯데쇼핑이 운영하는 SSM)와 굿모닝마트의 시장 점유율이 94.9%에 달하고, 신규 진입 가능성이 낮아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할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또 향후 5년간 롯데쇼핑이 하모니마트(CS유통 임의 가맹점) 점주 의사에 반한 채 거래 계약을 변경하지 못하게 했으며 하모니마트 상호를 ‘롯데’가 포함된 상호로 바꾸는 것도 금지했다. 하모니마트 경기 시흥 조남점, 평택 평성점, 대전 원내동 대전원내점, 충남 서산 서산동문점 등 4곳에 대해서는 직영점으로 인수할 경우 30일 이내에 신고하도록 했다. 점포 수 315개(직영점 275개·가맹점 40개)로 SSM 시장 점유율 2위(10.9%)인 롯데슈퍼는 지난해 6월 CS유통 지분 85% 이상을 사들이는 주식매매 방식을 통해 CS유통(점포 수 211개·시장 점유율 2%)을 인수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시정조치로 대기업의 SSM 확대가 야기할 수 있는 독과점 폐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정위는 지난해 11월 이마트의 킴스클럽마트 인수는 시장 경쟁을 제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조건 없이 승인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대형유통업체 수수료 매년 공개

    정부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TV홈쇼핑의 판매 수수료 및 판촉사원 인건비를 해마다 공개한다. 대형 유통업체의 과도한 수수료 책정을 막아 물가를 잡겠다는 의도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대형 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 안정화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6월 처음으로 공개한 대형 유통업체의 수수료와 판촉사원 인건비를 매년 언론에 공개해 과도한 수수료 관행을 없애겠다는 내용이다. 공정위는 또 판매수수료 인하에 적극적인 대형 유통업체에 대해서는 평가를 통해 직권조사 면제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며, 수수료 인하가 중소 납품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됐는지도 점검할 예정이다. 공정위는 이미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한 대기업의 이행 실적 평가 때 수수료 관련 배점을 기존 7.6점에서 최대 16점으로 높였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박근혜가 밝힌 ‘출총제 보완’ 어떤 모습일까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밝힌 ‘출자총액제도(출총제) 폐지 보완’은 어떤 모습일까. 공정거래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20일 “출총제 부활이라는 아날로그 방식이 아니라 디지털식 방식의 보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부활을 통해 과거 방식으로 회귀하기보다는 현재 가능한 방식을 보다 업그레이드시킨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공정거래법 등 공정위 소관 법령의 강화와 상법 등 다른 부처 법령과의 연계 등이 가능하다. 공정위가 실시 중인 정보공개 범위도 넓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도 출총제 부활보다는 정교한 규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는 순환출자 금지의 확대다. 현재 순환출자는 두 기업 간의 순환출자만 금지되는 상호출자 제한 상태다. 임영재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두 기업 간의 출자뿐만 아니라 세 기업 간의 순환출자를 금지하는 형태로 법령 개정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순환출자 금지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은 노무현 정권에서 한때 논의됐으나 무위에 그쳤다.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를 막으려면 상법의 회사 기회 유용금지 조항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 4월 15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상법은 경영진이 회사의 이익이 될 사업기회를 특정인의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업무를 지배주주나 그 일가가 소유하는 계열사에 맡기는 경우에 해당한다. 대규모기업집단공개시스템(OPNI)을 통한 정보 공시도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OPNI에는 대기업집단의 영위업종과 계열사 수, 기업공개 현황 등이 공개된다. 총수 일가의 소유지분과 임원·비영리법인·계열회사 지분까지 포함해 실제 행사하는 의결 지분의 차이 등을 이용한 소유지배 괴리도와 의결권 승수 등이 기업집단별로 비교 공개됐으나 2009년부터 관련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공개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숫자는 총수 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현상을 보여 주는 지표다. 공정위는 올해부터 대기업집단의 복잡한 출자구조를 보여 주는 지분도를 공개할 방침이다. 출총제 실시 당시 총수 일가의 계열사별 지분 현황을 명기·공개한 매트릭스와 유사한 구조다. 당시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불거지면서 매트릭스 공개가 지속되지 못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기업이) 커지는 것은 커지게 하되 구체적 병리 현상을 다듬어야 한다.”며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상법 규제를 정교하게 집어넣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 교수는 “기업분할명령제, 계열분리청구제 등이 대안인데 그러면 기업 입장에서 오히려 출총제 부활을 바랄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공정거래법상 과징금 상향, 순환출자 금지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나라당 비대위 산하 정책쇄신분과위는 출총제 폐지에 따른 부작용을 보완하는 내용의 대대적인 재벌개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대기업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폐해 방지 ▲하도급 제도 전면 혁신 ▲프랜차이즈 불공정 근절 ▲덤핑입찰 방지 ▲연기금의 주주권 실질화 등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경하·임주형기자 lark3@seoul.co.kr [용어 클릭] ●출자총액제도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가 순자산액의 일정 비율을 초과해 국내 회사에 출자할 수 없도록 한 제도로 1986년 12월 도입됐다.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기업 활동을 막는다는 논란에 폐지와 부활, 규제 대상 완화 등을 거쳐 2009년 3월 폐지됐다.
  • 저가항공사 비수기땐 요금 KAL의 3분의1

    비수기 국내 저가 항공사의 요금이 대한항공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수기에는 저가항공과 대한항공의 요금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비수기인 지난해 12월 5일 제주에어와 진에어의 김포~제주 구간 항공 편도요금(초특가 운임·유류할증료 및 공항이용료 제외)은 1만 8900원으로 조사됐다. 부산에어와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은 1만 9900원이었다. 초특가 요금은 예약 취소 시 환급을 하지 않고 이른 오전 또는 한가한 시간 이용 고객에게 제공하는 이벤트성 운임이다. 그러나 대한항공의 요금은 10~20%의 할인율을 적용해도 5만 8000~6만 6000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비싼 소고기값 주범은 백화점·기업형슈퍼

    비싼 소고기값 주범은 백화점·기업형슈퍼

    ‘이상한’ 소고기 값의 ‘주범’은 백화점과 기업형슈퍼마켓(SSM)이었다. 소값 폭락에도 백화점과 SSM은 소고기 값을 최고 12%까지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체의 폭리 탓에 소비자는 종전과 별 차이 없이 소고기를 사먹어야 했고, 농가가 소 한 마리를 팔아 가져가는 돈은 해마다 줄고 있었다. ●백화점, 정육점 보다 80% 비싸게 팔아 19일 한국소비자연맹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실시한 ‘한우고기 유통가격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달 한우(지육 100g) 최우수등급(1++등급)의 도매가격은 1607원으로 구제역이 발생하기 전인 2010년 10월 2079원에 비해 22.7% 하락했다. 그러나 유통업체의 평균 소매가격(5개 주요 부위 100g)은 9074원에서 8526원으로 6% 떨어지는 데 그쳤다. 백화점과 SSM은 오히려 가격을 0.9%와 12.0%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할인매장과 슈퍼마켓, 정육점은 7.5~10.8% 가격을 낮추긴 했지만, 도매가격 하락률만큼은 아니었다. 같은 기간 1+등급의 도매가격도 1841원에서 1450원으로 21.2% 하락했지만, 소매가격은 12.2%(8119원→7129원) 낮아지는 데 그쳤다. 백화점의 경우 1+등급 가격을 3.4% 올렸다. 1등급 역시 도매가격이 20.4%나 하락했음에도 소매가격은 15.6% 떨어지는 데 그쳤다. 백화점은 정육점에 비해 80%나 비싸게 팔았다.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1++등급과 1+등급, 1등급 등 상위 3개 등급의 평균가격은 100g당 1만 351원으로 정육점(5661원)의 거의 갑절이었다. 대형할인매장과 SSM은 각각 7486원과 7265원으로 정육점보다 1.28~1.32배 비싸게 팔았다. 백화점 중에서는 롯데(1만 1058원)의 가격이 신세계(1만 58원)나 현대(9657원)보다 높았고, 대형할인매장은 홈플러스(9167원)가 가장 비쌌다. 홈플러스의 가격은 경쟁업체인 이마트(6971원)나 하나로클럽(6885원)보다 30% 이상 비싼 것이다. ●최근 6개월새 값 낮춘 음식점 9.2%뿐 음식점 역시 가격을 낮추는 데는 인색했다. 소비자연맹이 시중 음식점 130곳을 설문조사한 결과, 최근 6개월간 가격을 인하한 곳은 12곳(9.2%)에 불과했다. 전문식당은 정육식당보다 등심은 평균 1.75배, 채끝은 1.55배, 갈비는 1.44배 비싸게 파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의 한 식당은 등심(1++등급) 100g을 무려 5만 417원에 팔고 있었고, 갈비 가격도 4만 7667원이었다. 소매가격에서 농가가 가져가는 비중은 2009년 62.5%에서 2010년 59.1%, 지난해 57.7%로 해마다 낮아졌다. 반면 유통업체의 수익은 2009년 37.5%에서 지난해 42.3%로 늘었다. 특히 소매 유통업체의 수익이 전체의 38.5%에 이르렀다. 소비자가 한우 10만원어치를 사면 3만 8500원은 소매 유통업체 주머니로 갔다는 뜻이다. 강정화 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소고기 값을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유통단계를 줄이는 것보다 소매단계 마진을 줄이는 게 더 시급하다.”며 “소고기 품질은 도축단계에서 판정돼 백화점에서 사든 정육점에서 사든 상관없는 만큼 현명한 구매 선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30년만기 국채

    정부가 국가 채무 관리와 장기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처음으로 30년 만기 국고채를 발행한다. 또 개인들의 국고채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입찰 금액 단위를 현행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낮춘다. 기획재정부는 18일 ‘2012년 국고채 발행 방안’을 발표하고 오는 9월부터 매월 4000억원가량의 30년 만기 국고채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국고채는 3년물과 5년물, 10년물, 20년물 4종류로 구성돼 있으며 3년물과 5년물 비중이 각각 26.0%와 31.1%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장기채로 분류되는 10년물과 20년물은 각각 27.9%와 15.0%를 차지하고 있다. 박재식 재정부 국고국장은 “국고채 평균 잔존 만기가 지난해 말 기준 5.56년으로 짧아 중장기적인 차환 리스크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안정적 재정 및 국가 채무 운용이 제약되고 있다.”며 30년물 국고채 발행 배경을 밝혔다. 현재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은 30년물 이상 초장기채를 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보다 재정·금융 여건이 취약한 태국도 최근 50년물 발행에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한국수력원자력이 30년 만기 회사채를 발행한 적이 있다. 재정부는 또 소액 개인 투자자가 국고채 입찰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입찰 금액 단위를 현행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하향 조정할 계획이다. 개인도 물가 연동 국고채 발행 대상에 포함시키고 발행 한도의 일정 비율을 우선 배정할 예정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남북 GNI격차 19.3배

    2010년 남한과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 격차가 19.3배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또 남한과 대외교역이 줄어들고 중국 의존도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통계청이 발간한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북한은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며 2010년 1인당 국민총소득이 1074달러에 그쳤다. 남한이 2만 759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19.3배의 격차를 보인 것이다. 2009년 18.4배(남한 1만 7193달러·북한 932달러)에 비해 차이가 더 벌어졌다. 북한의 2010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4조 5970억원으로 남한(1042조 1110억원)의 42분의1 수준이었다. 무역총액은 42억 달러로 남한(8916억 달러)의 0.5%밖에 되지 않았다. 2010년 중국과의 교역 비중은 56.9%로 의존도가 심화됐다. 2008년 49.5%, 2009년 52.6% 등 해마다 올라가는 추세다. 그러나 남한과는 관계가 경색되면서 교역 비중이 2009년 33.0%, 2010년 31.4%로 감소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IMF실사단 재정부 방문

    국제통화기금(IMF) 실사단이 기획재정부를 비공식적으로 방문해 우리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치가 최근 고조되고 있는 이란 사태를 감안한 것인지 질의했다. IMF가 올해 한국 경제 전망치를 발표할 때 우리 정부보다 비관적인 수치를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 실사단이 지난 16일 재정부를 찾아 한국 정부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 재정 현황, 경제상황별 단계별 계획인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 등에 대한 설명과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대기업 경쟁입찰 30대 그룹으로 확대

    대기업 경쟁입찰 30대 그룹으로 확대

    대기업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가 관행화돼 있던 시스템통합(SI)·광고·건설·물류 분야에 도입된 경쟁입찰 방식이 30대 그룹으로 확대된다. 삼성과 현대차, LG, SK 등 4대 그룹은 SI와 광고, 건설, 물류 분야에서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자제하고, 독립 중소기업이 사업을 맡을 수 있도록 경쟁입찰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16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김순택 삼성그룹 부회장, 김용환 현대차 부회장, 강유식 LG 부회장, 김영태 SK㈜ 대표이사 사장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대·중소기업 공생발전 계획안’을 전달받았다. 간담회는 40분가량 진행됐다. 김 위원장은 “대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곳이 많은 반면 중소기업은 갈수록 사정이 빠듯해지는 등 극명한 대비를 이루고 있다.”며 “경쟁입찰을 통해 독립 중소기업에 똑같은 기회를 준다는 것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생하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계열사 간 내부 거래도 거래 비용 절감이나 수직 계열화에 따른 효율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내부 거래가 너무 많으면 독립 중소기업이 설 땅이 없어지는 문제를 무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 “4대 그룹이 중요한 결단을 내린 만큼 30대 그룹에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며 “모범 사례를 샘플로 만들어 다른 대기업에 알리고 실정에 맞게 활용토록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등 4대 그룹이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자제하고 경쟁입찰 확대를 결의한 것은 공정위가 그간 꾸준히 압박을 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정위는 지난해 11월 삼성과 현대차 등 대기업 계열사 20곳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여 내부 거래 비중이 71%에 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광고 분야의 경우 제일기획(삼성)·이노션(현대차)·마케팅앤컴퍼니(SK)·HS애드(LG) 등 4개 기업이 2010년 총 1조 3194억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이 가운데 69%(9066억원)가 계열사 간 내부 거래로 발생했다. SI 분야에서도 삼성SDS·현대오토에버·SK C&C·LG CNS의 내부 거래 비중이 64%로 나타났고 물류 분야는 83%에 달했다. 공정위는 43개 대기업 집단 소속 계열사 1083개사의 공시 자료 등을 분석해 내부 거래 비중이 12.04%에 달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비상장사의 내부 거래 비중은 22.59%로 상장사(8.82%)보다 월등히 높았고, 총수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내부 거래가 많았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비료 담합’… 남해화학·동부하이텍 등 농민돈 年1000억 ‘꿀꺽’

    ‘비료 담합’… 남해화학·동부하이텍 등 농민돈 年1000억 ‘꿀꺽’

    농협이 지분을 갖고 있는 남해화학과 대기업 계열사 등이 비료 입찰에서 가격을 밀약한 사실이 들통나 과징금 828억여원을 물게 됐다. 이들 업체가 16년 동안 챙긴 부당이득은 1조 6000억원 규모로, 그만큼 농민들이 비싼 값을 치렀다는 얘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남해화학㈜과 ㈜동부하이텍, 삼성정밀화학 등 13개 화학비료 제조업체가 1995~2010년 농협중앙회 및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의 입찰에서 가격 및 물량을 담합한 사실을 적발, 시정명령과 함께 총 828억 2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15일 밝혔다. 남해화학이 502억 600만원, 동부하이텍 및 동부한농 169억 9400만원, 삼성정밀화학 48억 1400만원, 케이지케미칼 41억 6000만원 등이다. 특히 남해화학은 농협이 1988년 비료 판매가 자유화되자 비료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인수한 기업으로, 현재 농협이 56%의 지분을 갖고 있다. 계열사가 모기업인 농협을 대상으로 가격 담합에 나섰고, 농민을 속였다는 얘기다. 공정위 관계자는 “농협은 공정위 조사 때까지 남해화학의 담합사실은 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동부하이텍과 동부한농(동부하이텍에서 2010년 6월 분사)은 동부그룹 계열사이고, 삼성정밀화학은 삼성그룹 계열사다. 공정위 관계자는 “농협이 사실상 비료를 독점 구매하는 시장 구조 탓에 가격 담합이 오랜 기간 적발되지 않고 지속된 것 같다.”며 “이번 조치로 농가의 비료가격 부담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들 업체는 지난 2008년 비료값 폭등으로 농민들이 대규모 집회와 시위를 벌였을 때도 콩과 요소, 이삭거름 비료 등에 대한 가격 담합을 계속했고 안정적인 수익을 냈다. 업계 대다수 회사가 밀약에 가입했기 때문에 적발이 어려웠고 피해가 컸다. 공정위가 담합 조사에 나선 후인 지난해 농협의 비료 입찰에서는 낙찰가가 전년보다 21%나 낮아졌고, 농민들의 비료 부담액도 1022억원이나 감소했다. 예를 들어 남해화학과 동부하이텍은 2003년 말 농협중앙회의 화학비료 구매입찰이 실시됐을 때 벼농사 밑거름 등으로 쓰이는 비료 43만 6000t(1300억원가량)을 남해가 66%, 동부가 34% 나눠 입찰하기로 합의하고 가격을 써내는 수법을 사용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한·중FTA 국내농업 피해 한·미FTA의 3~4배 달해”

    한국과 중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 국내 농업의 피해가 한·미 FTA의 3~4배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기관의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중국과 FTA 협상을 할 때는 관세에 민감한 농산물을 관세 철폐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우선 협상 후 양허 문제 등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2일 국내 경제 연구기관들에 따르면 한·중 FTA 체결에 따른 농업 피해는 한·미 FTA와 비교해 3∼4배 수준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중 FTA 체결 시 국내 농수산업 생산이 2005년보다 14.26%까지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쌀을 제외한 전 품목의 관세를 10년에 걸쳐 철폐하고 위생검역(SPS)을 통한 수입 차단도 점진적으로 없앤다고 가정하면 2020년 기준 농업 생산액은 최대 20%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농업 피해액이 최대 3조 36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으로, 정부가 집계한 한·미 FTA에 따른 농업 피해액 8150억원의 4.1배에 달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한·중 FTA 체결로 전 품목 관세가 50% 인하된다고 가정하면 농업 부문에서 쌀 2조 447억원 등 총 2조 7722억원의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미 FTA에 따른 피해액의 3.4배에 달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한·중 FTA 체결 시 중국산 농산물 수입이 104.8~209.2%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는 대중 수출 증가율(48.3~100%)을 크게 초과하는 규모다. 정부 관계자도 중국의 가까운 거리와 값싼 농산물을 감안하면 한·중 FTA가 한·미 FTA보다 농업에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대기업 운영업종 103개 증가…기업공개 비율은 큰 폭 후퇴

    대기업 운영업종 103개 증가…기업공개 비율은 큰 폭 후퇴

    지난해 대기업집단이 운영하는 업종과 계열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집단의 기업공개 비율은 큰 폭으로 낮아졌다. 대기업집단이 외부 감시를 피해 비상장사 중심으로 시장 지배력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11일 공정거래위원회 대규모기업집단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4월 기준) 총자산 5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47개 기업집단(공기업 제외)이 운영하는 업종은 874개로 전년 771개(45개 집단)보다 103개 증가했다. 대기업집단마다 평균 18.6개의 업종을 운영하는 셈으로, 지난해 17.1개보다 1.5개나 늘어났다. 대기업집단의 운영 업종은 2003~2007년 평균 13개 내외였으나, 2008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했다. 2007년 13.8개에서 이듬해 17.3개로 3.5개나 늘어난 데 이어, 2009년에는 18개로 확대됐다. 2010년에는 17.1개로 약간 줄었지만,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늘어났다. 운영업종이 가장 많은 대기업집단은 SK로 전년보다 2개 증가한 42개 업종이다. GS(36개)·삼성(35개)·현대차(35개)·코오롱(34개) 등도 운영업종이 많았다. LG는 2010년에는 25개에 그쳤으나 1년 만에 8개가 늘어 33개로 확대됐다. 공정위가 집계하는 운영 업종은 표준산업분류상의 중분류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는 같은 업종으로 삼성SDI·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에이스디지텍 등이 하나의 업종으로 집계된다. 즉 대기업집단이 실제 취급하는 품목은 훨씬 많다.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수는 2010년 1222개사(45개 집단)에서 지난해 1512개사(47개 집단)로 1년 새 23.7% 증가했다. 그룹마다 평균 5개씩 늘었다. 현대차는 지난해 21개사를 늘려 ‘문어발식’ 몸집 불리기를 했고, 롯데(18개사)·포스코(13개사)·삼성(11개사) 등도 증가 폭이 컸다. 반면 대기업집단의 기업공개 비율은 2005~2008년에는 19%대를 유지했으나, 2009년(18.0%)과 2010년(17.1%) 급감했다. 지난해에는 15.4%까지 떨어졌다. 대기업집단의 운영업종과 계열사 수 증가는 일감 몰아주기 등 각종 폐해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공정위가 지난해 대기업집단 계열사 간 상품·용역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높고 규모가 작은 비상장사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이배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연구원은 “대기업에 경제력이 집중되면 중소기업 성장이 제약되고 공정한 경쟁을 유도할 수 없다.”며 “대기업집단이 안정적인 수익을 위해 내부거래를 강화하는 등의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