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임주형
    2025-08-16
    검색기록 지우기
  • 과학
    2025-08-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861
  • 노인복지시설 공사 입찰담합 태영·벽산건설 14억 과징금

    공정거래위원회는 15일 경기도 부천시가 발주한 노인복지시설 건립공사 입찰 과정에서 짬짜미한 태영건설과 벽산건설에 과징금 14억 6800만원을 부과했다. 이 공사는 경기 부천시가 조달청에 의뢰해 2007년 6월 발주한 공사로, 총 공사액은 226억 8000만원이다. 공정위 조사 결과 벽산건설은 태영건설의 낙찰을 위해 형식적으로 입찰에 참여하면서 입찰가격 등을 사전에 합의했다. 태영건설 입찰금액은 215억 4300만원, 벽산건설은 215억 3400만원으로 900만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태영건설은 가격점수에서 벽산건설에 뒤졌으나, 설계점수를 벽산건설보다 높게 받아 최종 낙찰됐다. 낙찰자는 가격점수와 설계점수를 모두 고려해 결정됐다. 과징금은 태영건설 11억 7500만원, 벽산건설 2억 9300만원이다. 공정위는 벽산건설이 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점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다소 낮게 정했다고 설명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LTE속도 못 따라잡는 통화품질

    LTE속도 못 따라잡는 통화품질

    #사례 1 경기도에 사는 A씨는 지난 4월 휴대전화를 새로 개설했지만 송수신이 불량하고 전원이 자주 꺼졌다. A씨는 휴대전화를 교환했지만, 집에서 송수신은 여전히 불가능했다. 이동통신사에 문의했더니 벽에 구멍을 뚫고 중계기를 설치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사례 2 서울에 사는 B씨는 지난해 11월 LTE(롱텀 에볼루션) 서비스가 제공되는 스마트폰을 구입했다. 그러나 3세대(3G)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고 송수신 상태도 좋지 않았다. B씨는 단말기 제조사 등으로부터 2~3차례 점검과 수리를 받았지만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가 3000만명에 육박하고 있지만 소비자 불만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웬만한 PC 못지않은 게 요즘 휴대전화의 성능이지만, 기본적인 서비스인 통화 품질 개선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휴대전화 통화 품질과 관련한 피해구제 신고 건수는 2009년 42건에서 2010년 99건, 지난해 416건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올해도 6월 현재 182건이 접수돼 지난해 같은 기간(143건)보다 27.3%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전체 휴대전화 피해 신고(1004건) 중 통화 품질과 관련한 구제 신청은 18.1%에 이른다. LTE 서비스와 관련한 통화 품질 신고도 서비스 첫해인 지난해 8건에서 올해는 6월 현재 49건이 접수됐다. 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주민등록지·요금 청구지·직장 소재지 등 주 생활지에서 통화 품질 불량이 발생할 경우 가입 14일 이내에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계약 15일 이후 6개월 이내에는 계약 해지 또는 해지 신청 직전 1개월 기본료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 소비자원은 “통화 품질 불량이 발생하면 단말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 모두에 문의해 하자를 확인받아야 한다.”며 “LTE 서비스에 가입할 경우 주 생활지가 서비스 제공지역인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이동전화서비스 가입자 수는 5299만명이며, 스마트폰 이용자는 2833만명에 이른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애그플레이션의 공습] 金보다 옥수수

    [애그플레이션의 공습] 金보다 옥수수

    최근의 국제 곡물 가격 상승은 ‘공급 충격’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가 더 크다.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한 2008년에는 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곡물 가격이 요동친 반면 지금은 이상기후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주요 원인이다. 밀을 광물과 교환하는 국가가 등장했는가 하면 옥수수의 투자수익률이 금을 앞지르는 기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 1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올해 곡물 생산량 전망치는 계속 하락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는 최근 발표한 수확량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옥수수 생산량을 108억 부셸(1부셸은 약 25.4㎏)로 예측했다. 7월 전망치(130억 부셸)보다 17%나 하향 조정했다. 대두 수확량도 26억 9000만 부셸(1부셸은 약 27.2㎏)로 한 달 전보다 12% 낮췄다. 56년 만에 닥친 최악의 가뭄으로 흉작이 들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밀, 옥수수 등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도 이렇듯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USDA의 발표와 무관치 않다. ●밀 100t, 철광석과 교환 미국뿐 아니라 다른 주요 곡창지대의 생산량도 줄어들 전망이다. USDA는 최근 가뭄을 겪은 러시아의 밀 생산량 전망치를 기존 4900만t에서 4300만t으로 하향조정했고 남미와 우크라이나도 작황이 부진하다. 세계 3대 밀 수출국인 러시아가 2010년에 이어 또다시 곡물 수출 규제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USDA는 2012~2013년 세계 곡물 재고율을 19.3%로 전망, 2007~2008년(17.4%) 이후 가장 낮게 잡았다. 그러자 파키스탄은 최근 이란에 밀 100만t을 넘기는 대신 비료와 철광석을 받는 ‘물물교환’에 합의했다. 도이체방크의 분석 결과 2008년 이후 투자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은 옥수수(144%)로 금(143%)을 앞질렀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두부 업계가 대두 가격 폭등에 맞서 파업을 경고했고, 멕시코에서는 옥수수로 만든 주식인 ‘토르티야’ 사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FAO “식량위기 없을 것” 14일 ‘물가 회의’를 여는 우리 정부는 수입 밀과 사료용 대두·옥수수 등에 대한 할당관세(0%)를 지속적으로 운용하고, 곡물 수입업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2008년 애그플레이션 당시 밀가루 가격은 89.6% 폭등했고, 축산농가의 경영비 부담은 1조 4000억원이나 늘었다. 지나친 우려는 기우라는 의견도 있다. 이날 여수엑스포 폐막식 참석 차 방한한 조제 그라지아누 다시우바 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은 “식량위기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국가 간 협력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탁물가 상승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식품업계는 “그동안 MB(이명박) 정부의 압박으로 국제 곡물값 상승 등에 따른 원가 인상분을 출고가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항변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역대 식량 파동 1960년대 ‘녹색혁명’ 이후 국제 곡물값은 기상 악화에 따른 두 차례 파동(1972년, 1996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여 왔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수요 급증, 경작지 감소, 투기자본 유입 등 복합적 요인이 불거지면서 2007~2008년 식량 파동이 일어났다. 필리핀·멕시코·방글라데시 등 식량 부족국에서 물가 폭등을 견디다 못해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0년에도 식량 파동이 일었으나 2008년보다는 덜 심각했다. 올해의 곡물값 상승은 공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더 심각한 위협으로 평가된다. 농작물(agriculture)에서 비롯된 물가상승(inflation)이라는 점에서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라고 불린다.
  • [애그플레이션의 공습] ‘과실 北進’… 평창서 사과!

    ‘제주 감귤’, ‘청도 복숭아’, ‘대구 사과’, ‘경산 포도’ 등은 머지않아 옛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구 온난화로 한반도가 뜨거워지면서 농작물 지도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통계청과 농촌진흥청은 13일 “아열대 현상 심화로 농작물 재배 한계선이 계속 북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 특산물 개념이 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국내 대표적인 아열대 작물인 감귤만 하더라도 과거에는 제주도에서만 생산됐으나 지금은 전남, 경남 등 내륙에서도 재배된다. 지난해 감귤 재배에 나선 경남은 재배면적이 10㏊를 넘어섰다. 복숭아는 온난화 덕분에 동해(凍害) 발생이 줄어 재배면적이 넓어졌다. 청도군 등 경북지역에서만 충족시키던 복숭아 최적 생육조건(연평균 11~15℃)이 충북, 강원 등지에서도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충북은 복숭아 재배 면적이 1990년 1184㏊에서 올해 3743㏊로 20여년 사이 세 배 이상 늘었다. 남한 최북단 지역인 경기 파주시의 재배면적도 1992~2007년 15년 사이 1.2㏊에서 15㏊로 급증했다. 포도도 재배지가 북상했다. 포도의 주산지인 경북은 지난해 8306㏊로, 가장 넓었던 1998년(1만 3703㏊)보다 39.4% 급감했다. 물론 여기에는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으로 값싼 칠레산 포도가 대거 들어왔다는 점도 작용했다. 그 와중에도 강원 영월군은 1992년 7.2㏊에서 2007년 67.9㏊로 재배 면적이 늘면서 강원 제1의 포도 산지로 자리 잡았다. 사과 주산지인 경북은 재배면적이 1992년 3만 6355㏊로 역대 최고치에 올랐다가 지난해 1만 9024㏊로 거의 반토막 났다. 강원 지역의 재배면적(434㏊)이 최근 5년 새 네 배가량 급증한 것과 대조된다. 추위에 잘 견디지 못해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된 쌀보리는 주산지가 전남에서 전북으로 북상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애그플레이션 벌써 식탁 덮쳤다

    애그플레이션 벌써 식탁 덮쳤다

    국제 곡물값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애그플레이션)이 국내 식탁을 덮치고 있다. 예상보다 심각한 미국발 가뭄 흉작과 이 틈을 탄 국내 업체들의 가격 인상, 그동안 억눌러 왔던 가격상승 요인 등이 맞물리면서 생필품 물가가 줄줄이 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인 ‘식량 파동’이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데다 본격적인 애그플레이션의 여파는 아직 상륙 전이라는 점에서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당초 상륙 시기를 연말이나 내년 초로 예상했던 정부는 14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한다. 주요 20개국(G20)도 이달 안에 긴급 회의를 열어 대책 마련에 착수한다. 13일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에 따르면 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t당 325달러에 거래를 마쳐 6월 1일에 비해 44.4%나 올랐다. 같은 기간 대두와 옥수수도 각각 27.1%, 45.6% 급등했다. 이에 콩과 밀을 주 원료로 하는 국내 제품 가격도 덩달아 뛰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200개 판매처를 대상으로 이달 첫 주의 주요 생필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찌개용 국산 콩 두부는 3174원(6일 기준)으로 7월 1일에 비해 8.3% 올랐다. 국산 콩 무농약 콩나물도 같은 기간 10.0% 올랐다. 즉석밥인 햇반은 7.6% 올랐다. CJ제일제당의 햇반값 인상은 10년 만이다. 시금치(1㎏) 가격이 이상고온으로 평년보다 19.2%나 올랐고 동원참치 가격도 올라 밥상물가가 위협받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연말이나 내년 초쯤 우리나라가 애그플레이션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봤으나 예상보다 빨리 그 여파에 노출됐다.”면서 “레임덕을 틈탄 국내 식품업체들의 잇단 가격 인상도 한몫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삼양식품은 지난 주말 6종류의 라면 가격을 50~60원(5.0~8.6%)씩 올렸다. 농심은 새우깡 권장소비자가격을 900원에서 1000원으로 올렸다. 성명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곡물실장은 “미국의 심각한 가뭄 여파가 연말쯤 본격 상륙할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우려했다. 전경하·임주형기자 lark3@seoul.co.kr
  • 꿈쩍 않는 수입면도기·전동칫솔값

    꿈쩍 않는 수입면도기·전동칫솔값

    수입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의 소비자가격이 수입가보다 평균 2.6배 이상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독일 제품은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도 불구하고 가격 변동이 전혀 없었다. ●수입가의 평균 2.6배 ‘뻥튀기’ 한국소비자원은 12일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으로 전기면도기 54종과 전동칫솔 14종의 평균 수입가격 및 소비자가격, 유통구조 등을 조사해 발표했다. 수입업체는 전기면도기를 평균 6만 841원에 들여온 뒤 중간 상인이나 소매업체에 10만 2386원에 넘기고, 이들은 다시 소비자에게 16만 1947원에 파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가격(부가가치세 제외)이 수입가보다 평균 2.66배나 비싼 것이다. 전동칫솔의 소비자가격은 수입가의 평균 2.71배로 나타났다. 수입가격은 3만 8068원이지만 소비자가격은 10만 3258원에 이르렀다. 세계적 소형 가전제품 업체인 독일 브라운사의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은 지난해 7월 한·EU FTA 발효에 따른 관세 철폐(8%→0%)에도 가격이 전혀 내려가지 않았다. 전기면도기 ‘760CC’는 1년 전이나 지금이나 34만 2400원이다. 전동칫솔인 ‘오랄비 D20.525’와 ‘오랄비 OC20’도 각각 13만 5000원과 19만 9000원으로 요지부동이다. 올해 2분기 EU산 전기면도기의 평균 수입가격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5% 낮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수입·유통업체 마진 높다” 나광식 소비자원 가격조사팀장은 “칫솔이나 면도기 같은 소비재의 경우 수입가와의 차이가 대부분 유통마진과 관세 등인 점을 고려할 때 3배에 육박하는 가격 차이는 이들 수입·유통 업체가 지나치게 높은 마진을 챙기고 있다는 얘기”라며 “다른 소형 수입 가전제품과 비교해도 (마진율이) 높은 수준인 만큼 관세 철폐 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을 다시 책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스포츠 헝그리 정신 올림픽선 안 통한다

    스포츠 헝그리 정신 올림픽선 안 통한다

    올림픽에서는 ‘헝그리 정신’이 잘 통하지 않는다는 이론이 이번 런던올림픽에서도 입증됐다. 11일(현지시간) 현재 런던올림픽 종합순위(금메달 수 기준) 10위권 안에 든 국가 가운데 7개국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위권 이내 국가들이다. 금메달 수 1위인 미국의 지난해 GDP는 15조 648억 달러(국제통화기금 집계)로 세계 1위다. 금메달 수 2위인 중국은 GDP에서도 세계 2위(6조 9884억 달러)다. ●런던 톱10 중 7개국, GDP 10위권 개최국 영국을 비롯해 러시아·독일·프랑스·이탈리아도 각각 GDP와 메달의 상관관계를 입증했다. GDP와 금메달 수에서 모두 세계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올림픽 성적 예측모델을 연구한 매건 버시 미국 버클리대학 교수와 앤드루 버너드 다트머스대학 교수는 “올림픽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1인당 GDP”라고 분석했다. 올림픽 성적과 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흥미로운 이론도 있다. 미국 하버드대의 주장에 따르면 메달 1개를 더 따려면 1인당 국민소득이 260달러 늘어나야 하고, 금메달 1개를 추가하려면 소득이 4750달러 더 향상돼야 한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도 GDP 상위 10개국(2007년 기준) 중 브라질을 제외한 9개국이 올림픽 순위 20강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GDP 15위 한국, 런던 5위권 ‘출중’ 물론 예외는 있다. 런던올림픽 톱10에 든 헝가리가 대표적이다. 헝가리의 GDP는 1478억 달러로 세계 57위에 불과하다. 헝가리는 사회주의 정부 시절 스포츠가 나라 위신을 높인다며 선수들에게 막대한 부와 명예를 안겨줬다. GDP와 관계없이 스포츠 강국으로 군림하는 이유다. 우리나라도 GDP 규모에 비해 올림픽 성적이 좋은 편이다. 우리나라의 GDP는 1조 1638억 달러로 세계 15위지만, 아테네올림픽(9위)과 베이징(7위)에 이어 런던올림픽 5위를 넘보고 있다. GDP 순위가 100위권(약 400억 달러)으로 추정되는 북한도 런던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 GDP 3위인 일본과 6위인 브라질, 10위인 인도는 상대적으로 메달 수가 경제 규모를 따라잡지 못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정부·업계 설탕관세 공방

    설탕 관세를 대폭 낮추는 세법 개정이 1년 만에 재추진되면서 정부와 제당업계 간 공방이 일고 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관세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제당업계는 국내 산업기반이 무너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10일 제당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올해 세법 개정안을 통해 설탕 기본관세율을 현행 30%에서 5%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설탕 관세를 내리면 저가 수입 설탕이 들어와 국내 설탕 가격이 하락하고, 설탕을 원료로 하는 생필품 가격도 인하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설탕시장은 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 등 3사가 사실상 독과점하고 있어 가격 경쟁이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그러나 제당업계는 면사와 주정박, 견사 등 다른 품목의 기본관세율은 1% 포인트가량만 낮추면서 유독 설탕은 25% 포인트나 대폭 인하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맞선다. 게다가 지난해에도 설탕 관세율을 35%에서 5%로 내리려다 국회 반대로 30%로 낮췄는데 또 인하하는 것은 일관성 결여라는 반박이다. CJ제일제당 측은 “설탕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소비자물가지수 가중치)은 0.04%에 불과하다.”면서 “베네수엘라가 2003년 설탕 관세를 전면 철폐한 뒤 제당산업이 붕괴된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폭염으로 생태계 몸살] 가축도… 돼지 이어 한우도 첫 피해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이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20일부터 닭·오리·돼지 등 불볕더위 여파로 폐사한 가축이 101만 5340마리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지난 7일 41만여 마리에서 8일 83만여 마리로 늘어난 데 이어, 다시 20만 마리 가까이 피해가 증가한 것이다. 닭이 96만 7156마리로 가장 많았고 오리(4만 1660마리), 메추리(6000마리)가 뒤를 이었다. 몸집이 큰 돼지(518마리)와 소(6마리)도 쓰러지고 있다. 소는 지난 8일 피해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닭이 1억 5000만 마리나 사육되다 보니 양계축사의 평균 밀도가 높아 닭의 피해가 크다.”고 설명했다. 폭염으로 피해를 입은 축산 농가는 총 465곳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전북(37만 4092마리), 경기(22만 3787마리), 충남(13만 8920마리) 등 내륙지역에서 피해가 컸다. 전북 부안의 31㏊ 갯벌에서는 바지락이 폐사하는 등 수산물 피해도 신고됐다. 앞서 지난 8일 전남 해남에서는 어린 모(10㏊)가 말라죽는 농산물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여수 돌산읍 지역에서는 돌돔 치어 7만여 마리가 폐사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영세 자영업 3년 생존 비율 36.6% 불과

    영세 자영업 3년 생존 비율 36.6% 불과

    영세 자영업자가 가게를 열고 3년간 살아남는 경우가 40%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여관업은 평균 5.2년 생존하지만, 셔츠 등 의류 소매업을 하면 평균 2.1년 후 폐업 또는 업종 전환을 하거나 타인에게 가게를 양도한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영세사업자 실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04년 생긴 영세사업체 353만 1585개 중 3년간 생존한 비율은 36.6%에 불과하다. 4년은 29.5%, 5년은 24.2%만이 살아남았다. 평균 생존기간은 2.5년이다. 2005~2007년에 생긴 영세사업체(218만 7340개)도 50.5%만이 2년 이상 생존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5년 이전 생긴 영세사업체 중 평균 생존기간이 가장 긴 업종은 여관(5.2년)이다. 여관은 3년간 살아남는 비율도 74.3%로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치과의원이 평균 4.9년(3년 생존율 71.3%) 생존해 뒤를 이었고, 기타 관광숙박시설·한의원·일반의원·가정용 세탁업은 각각 4.5년으로 나타났다. 노래연습장(4.4년) 등도 생존기간이 긴 편이었다. 반면 스포츠 교육기관은 평균 생존기간이 2.0년으로 가장 짧았다. 3년간 살아남는 비율도 24.8%에 그쳤다. 셔츠·기타의복 소매업(2.1년)과 정장 소매업(2.2년) 등 의류판매업도 평균 생존기간이 짧았다. 이재형 KDI 전문위원은 “생존율이 높고 평균 생존기간이 긴 업종은 전문성이 필요하거나 초기 투자비용이 비싸다는 특징이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별 평균 생존기간은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이 1.8년으로 가장 짧았고, 금융업 및 보험업(보험설계사 등)도 2.1년에 그쳤다. 두 업종은 1년 생존율도 각각 46.0%와 45.5%에 그쳤다. 신규 사업자 절반 이상이 1년을 채 못 버티고 퇴출된다는 얘기다. 이 전문위원은 “평균 생존기간이 1~2년인 업종의 영세사업체는 영업이익률은 낮지만 사업체당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의 절대액수는 높았다.”면서 “평균 생존기간이 짧은 업종이라고 해서 성과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업종의 성장이 빠른 탓에 사업체 진입과 퇴출이 모두 활발하게 이뤄진다는 것이다. 이 전문위원은 그러나 “영세사업체 종사자 중 임시직과 일일종사자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등 1990년대 후반부터 고용의 질이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샤넬가방값 또 오른다고?

    샤넬가방값 또 오른다고?

    내년부터 샤넬 등 ‘명품 가방’에 부과되는 세금이 늘어나 가격이 오른다. 정부가 수입 신고 가격이나 출고 가격이 200만원을 넘는 고가 가방에 개별소비세를 부과하기로 해서다. 세율은 200만원 초과분의 20%다. 여기에 개별소비세액의 30% 수준인 교육세 등이 추가된다. 정부가 고가 가방에 개별소비세를 매기는 것은 다른 고가품과 과세 형평성을 맞추려는 조치다. 현행 개별소비세법은 보석, 귀금속, 고급 시계, 사진기, 융단, 모피 등의 고가품에 개별소비세를 부과하고 있다. 고가 가방도 법적으로 사치품으로 규정된 셈이다. 정부는 고가 의류도 과세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막판에 뺐다. 옷은 형태에 따라 가격 차이가 존재하는 만큼, 일괄적인 과세 기준을 적용하기가 애매해서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옷뿐 아니라 호화예식 등 사치품에 대한 개별소비세 과세를 확대하라.”고 요구하고 있어 개소세 부과 대상이 더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는 소비세 부과로 인해 가방 가격이 평균 3~7%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예를 들어 수입·출고 가격이 약 400만원인 명품 가방은 소매가격이 800만원 선이다. 여기에 붙는 세금은 개별소비세 40만원(200만원×20%)과 교육세 12만원(40만원×30%) 등 총 52만원이다. 따라서 가격이 6.5% 오르게 된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김과장, 재형저축 분기별 300만원씩 가능

    김과장, 재형저축 분기별 300만원씩 가능

    장기주택마련저축(장마) 가입을 생각했던 사람이라면 서둘러야 한다. 올 연말까지 가입해야 이자·배당소득이 비과세되기 때문이다. 2009년 이전 가입자에 한해 납입액 40%를 소득공제해 주는 혜택은 올해 종료된다. ‘장마’의 세(稅)테크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셈이다. 대신 근로자재산형성저축(재형저축)과 장기펀드에 눈 돌릴 만하다. 재형저축이 18년 만에 부활하고 장기펀드에는 소득공제 혜택이 새롭게 주어진다. 그동안 무심히 넘겼던 현금영수증도 꼭 챙겨야 한다. 직불카드와 마찬가지로 30%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은 축소된다. 8일 발표된 세법 개정안을 재테크 측면에서 들여다보면 재형저축의 부활이 가장 눈에 띈다. 1976년 도입된 재형저축은 일반 예금상품보다 금리가 높고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져 ‘근로자 재산목록 1호’로 불렸다. 하지만 재원이 바닥나면서 1995년 폐지됐다. 새 재형저축은 금리 우대는 없고 이자·배당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주민세 포함 15.4%)을 면제해 준다. 총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 소득 금액 3000만원 이하 사업자가 대상이다.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개인 사업자에게도 가입을 허용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근로자의 경우 85%가량이 가입할 수 있다. 만기는 10년 이상이고 최장 15년간 비과세가 적용된다. 분기별로 300만원까지 저금할 수 있다. 연간 1200만원씩 최고 1억 80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연 4% 금리(복리)라면 이자 6691만원에 대한 세금 1030만원(6691만원×15.4%)을 아낄 수 있다. 소득공제는 자산의 4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장기 적립식 펀드에 적용된다. 가입 대상은 재형저축과 같다. 만기 10년 이상 펀드에 넣을 경우 10년간 넣은 돈의 40%(연 240만원 한도)가 소득공제된다. 지금의 소득세율(6~38%)을 적용하면 적게는 14만 4000원에서 많게는 91만 2000원까지 세금을 절약할 수 있다. 단, 재형저축과 장기펀드 모두 10년 안에 돈을 찾으면 그때까지 받았던 혜택을 ‘뱉어내야’ 한다. 대중교통비는 가급적 직불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좋다. 신용·직불카드와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한도가 대중교통비 100만원을 포함해 40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 조합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소득공제 금액이 달라진다. 예컨대 총급여 5000만원인 근로자가 교통비를 포함해 신용카드로 1900만원을 쓰고 현금영수증이나 직불카드로 100만원을 썼다면 소득공제 금액은 142만 5000원이다. 현재 20%인 신용카드 공제율이 내년부터는 15%로 줄어 올해(150만원)보다 혜택이 줄게 된다. 반면 신용카드로 1600만원을 쓰고 직불카드와 현금영수증 사용액이 400만원이면 총사용액은 2000만원으로 같지만 소득공제 금액은 187만 5000원으로 늘어난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1400만원으로 줄고 현금영수증과 직불카드가 600만원으로 늘어나면 공제 금액은 217만 5000원으로 더 뛴다. 어린이집 및 유치원 급식비, 방과 후 수업료, 학교 수업 교재비도 소득공제 항목에 새롭게 추가됐다. 민간 은행의 역모기지(주택연금) 상품도 주택금융공사 상품과 동일하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간 200만원까지 이자 비용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을 준다. 사별이나 이혼 뒤 혼자 자녀(20세 이하)를 키우는 경우, 연간 100만원까지 ‘한부모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단, 부녀자공제(배우자 또는 부양가족이 있는 여성에 한해 연 50만원 소득공제)나 경로우대공제(70세 이상 연 100만원)와 중복해 받을 수는 없다. 하이브리드차량의 개별소비세(5~8%)를 최대 130만원(교육세 포함)까지 면제해주는 제도는 2015년까지 3년 연장됐다. 1000㏄ 미만 경차에 대한 유류세 환급(휘발유·경유 ℓ당 250원, LPG 161원)도 2014년 말까지 2년 연장된다. 에어컨(월 소비전력량 370㎾h 이상), 냉장고(월 40㎾h 이상), 세탁기(1회 소비전력량 720Wh 이상), TV(정격 소비전력 300W 이상) 등 대용량 가전제품 가운데 에너지효율 1등급 이상 제품은 개별소비세(출고가의 5%)를 2015년까지 계속 면제해준다. 하지만 가전업계는 “대용량 제품 가운데 1등급은 거의 없다.”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전경하·임주형기자 lark3@seoul.co.kr
  • 세부담 中企 2400억 줄고 대기업 1조6500억 늘어

    정부는 중소·중견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은 연장하거나 확대한 반면, 대기업에는 증세 기조를 보였다. 기획재정부 분석 결과, 중소기업(서민·중산층 포함)은 2400억원가량 세부담이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고소득자 포함)은 1조 65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재계는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 위축을 불러오거나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중견기업의 가업승계에 따른 공제(최대 300억원) 기준이 전년도 매출액 1500억원 이하에서 2000억원 이하로 확대된다.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경영한 기업이라는 요건, 가업상속 재산의 70% 해당하는 금액을 최대 300억원까지 공제하는 한도는 기존과 같다. 지난달 청와대에서 열린 민관합동 내수활성화 토론회에서 건의된 내용으로, 중견 장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조치다. 중견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이 우대된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세법상 일반기업으로 분류되고, 25%인 R&D비용 세액공제율은 점차 낮아져 3~6%까지 축소된다. 그러나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 공제구간이 신설돼, 최근 3년간 매출액이 평균 3000억원 미만인 기업은 8%의 공제율을 적용받는다. 창업중소기업에 대해 4년간 소득세·법인세의 50% 감면해주는 혜택은 5년간 50% 감면으로 확대되고, 적용기간도 2015년 말로 3년 연장했다.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방지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은 기존 3%에서 7%로 늘어난다. 반면 대기업은 전반적으로 세부담이 늘어난다. 법인세 과표기준 1000억원 초과 대기업에 대한 최저한세율(각종 비과세·감면을 받더라도 최소한 내야 하는 세율)이 14%에서 15%로 올랐다. 개정 최저한세율을 적용받는 대기업은 21곳이며, 1000억원의 세수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설비투자에 대한 공제혜택을 신규 고용창출 인원에 따라 부여하는 ‘고용창출 투자세액공제’의 기본공제율이 축소된다. 현행 4%(수도권 내 3%)인 기본공제율이 3%(수도권 내 2%)로 낮아지는데, 대기업 입장에서는 증세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소기업 기본공제율은 현행 4%가 유지된다. 재계는 세제개편안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대기업에 대한 최저한세율 상향은 기업의 실질적 세부담을 늘려 R&D 세액공제 일몰연장 등에 대한 효과를 반감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 현실에 비해 엄격한 가업상속공제 요건을 완화하고, 주요국에서는 없는 최대주주 주식에 대한 할증평가 제도를 폐지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상속세제 개선을 통해 경쟁력 있는 장수기업 육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 10대그룹 관계자는 “유로존 재정위기로 촉발된 경제 위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그 여파로 일부 극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기업이 수지타산을 맞추기도 쉽지 않다는 객관적 상황을 정부가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두걸·임주형기자 douzirl@seoul.co.kr
  • 즉시연금보험 내년부터 비과세 제한

    부자들의 인기 재테크 수단이었던 즉시연금보험의 비과세 혜택이 내년부터 제한된다. 국내 비거주자에 대한 증여세 부과 기준도 강화된다. 현재 장기 저축성보험은 10년 이상 계약 기간을 유지하면 중간에 돈을 찾아도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자산가들이 저축성보험으로 분류되는 즉시연금보험에 거액을 예치한 뒤 매달 비과세로 연금을 타는 쏠쏠한 ‘세테크’를 하고 있다. 즉시연금은 지난해 수입 보험료가 2조 3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내년부터 가입하는 사람은 보험 차익(보험금-납입보험료)에 이자소득세(15.4%)가 부과된다. 단, 인출액이 연간 200만원 이하이거나 사망 및 해외 이주 등으로 인출이 불가피한 경우는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중간에 계약자를 바꾸는 경우도 과세된다. 현재는 부모가 보험료를 대부분 납부하다가 1~2년을 남겨놓고 자식으로 계약자를 변경해도 보험 차익이 전액 비과세됐다. 앞으로는 비과세 10년 기간이 계약자별로 계산된다. 국내 비거주자가 거주자로부터 외국 금융계좌 등 해외 자산을 물려받으면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지금은 국내 소재 재산만 증여세 부과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해외 금융계좌는 물론 국내 소재 재산을 50% 이상 보유한 해외 현지 법인 주식도 증여세 대상이 된다. 증여받은 비거주자가 세금을 안 내면 자산을 물려준 국내 거주자에게 연대 납세의무를 부과하고 재산 압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물가 상승 시 늘어나는 물가 연동 국고채의 원금 증가분에도 2015년부터는 이자소득세가 부과된다. 물가채는 다른 채권에 비해 표면금리가 낮지만 물가가 오르면 상승분을 반영해 원금이 늘어나는 이점이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물가 상승에 따른 원금 증가분은 이자로 보는 게 타당하다.”며 “미국과 캐나다 등도 원금 증가분에 대한 이자소득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금액은 4000만원에서 내년에 3000만원으로 낮아진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영세 자영업자 세부담 줄어든다

    영세 자영업자 세부담 줄어든다

    은퇴한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들이 음식점 등 대거 창업 전선으로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이들 영세 자영업자의 세금 부담이 내년부터 줄어들 전망이다. 집이 없는 근로자의 월세 소득공제율은 40%에서 50%로 올라간다. 어떤 경우에도 압류할 수 없는 급여 기준은 월 12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올라간다. 퇴직금을 목돈으로 4000만원 넘게 받으면 연금으로 받는 것보다 세금을 더 내야 한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은 20%에서 15%로 줄어드는 대신 현금영수증 소득공제율이 20%에서 30%로 늘어난다. 기획재정부는 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박재완 장관 주재로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확정했다. 재정부는 입법예고를 거쳐 오는 9월 정기국회에 정부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번 세법 개정으로 총 5년에 걸쳐 1조 6600억원의 세수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재정부는 베이비붐 세대의 창업이 늘어나는 등 자영업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간이과세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8년 만에 조정, 세금을 깎아주는 방안을 내놨다. 연 매출 4800만원 이하 간이과세자의 부가세율은 현재 1.5~4%다. 내년에는 0.5~3%가 된다. 총급여 5000만원 이하 무주택 가구주가 국민주택규모(85㎡) 이하 주택에 월세로 살 경우 소득공제 혜택을 지금보다 10% 포인트 더 받게 된다. 2만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추산된다. 4000만원이 넘는 퇴직금을 한꺼번에 받으면 3~7%의 세금을 내야 한다. 연금으로 나눠 받으면 3%의 소득세가 부과된다. 전경하·임주형기자 lark3@seoul.co.kr
  • 하루만에 가축 42만마리 폐사

    계속되는 폭염으로 가축 피해가 급증하고, 농작물도 피해를 입기 시작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20일 이후 닭과 오리, 돼지 등 가축 83만 633마리가 불볕더위로 폐사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7일 발표한 41만 8585마리에서 하루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닭이 78만 6512마리로 전체 피해 가축의 94.7%를 차지했다. 오리는 4만 780마리, 돼지는 336마리가 폐사했다. 7일까지는 피해 신고가 없었던 소(5마리)와 메추리(3000마리)도 폐사한 사실이 접수됐다. 이날 현재 집계된 피해 농가는 288곳이다. 전남 해남의 논 10ha에서는 벼가 말라 죽었다. 농식품부는 이앙 시기가 늦었던 어린 모가 고사했다고 설명했다. 폐사한 가축 중 가축재해보험에 가입된 경우는 26만 5579마리로 전체의 32%가량이다. 재해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지난해부터 폭염이 국가가 지원하는 자연재해에 포함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피해 금액 3억원까지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3억원 이상이면 농식품부가 지원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태풍과 호우 위주로 운영하던 ‘재해대책상황실’을 확대하고, 축산팀과 양식팀을 보강했다. 농촌진흥청은 현장기술지원단 인원을 늘려 축사단열, 지붕 물 뿌리기, 차광막 설치, 강제 환풍 등을 지도하고 있다. 경남도는 환풍기와 에어쿨(날개 없는 선풍기) 등 축사시설 보급에 2억 2300만원을 투입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계약해지 거부·질병 감염 등 산후조리원 피해 30% 급증

    [사례 1] 김모(32)씨는 지난 4월 서울 강서구의 한 산후조리원에 부인과 아기를 보냈다가 시설 내에 폐렴이 돌고 있다는 소문이 돌자 즉시 퇴소시켰다. 당시 아기는 약간 콧물을 흘렸고 병원 진료를 받은 결과 이미 폐렴에 걸린 상태였다. [사례 2] 이모(34)씨 아기는 2010년 3월 목욕을 하다 산후조리원 직원의 실수로 왼쪽 얼굴에 3cm가량 상처를 입었다. 이씨는 산후조리원과 2년 가까이 다투다 올해 초가 돼서야 200만원의 배상을 받을 수 있었다. 산후조리원에서 피해를 입었다며 상담을 신고하는 사례가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계약해지 요구를 일방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물론, 산모와 신생아가 다치거나 질병에 감염됐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고 있다. 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산후조리원 관련 상담 건수는 404건에 달한다. 지난해 상반기 310건에 비해 30.3% 증가했으며, 2010년 상반기(233건)와 비교해선 73.4% 늘었다. 올해 접수된 상담 중 ‘계약 해지 거부’는 216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현행 산후조리원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은 입소 예정일 31일 이전 또는 계약 후 24시간 이내면 소비자에 귀책사유가 있더라도 계약금 전액을 환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입소예정일 10~30일 이전 계약 해지 시에도 계약금의 30~60%를 돌려줘야 하며, 입소 후에도 이용 기간 요금과 일정 수수료를 공제한 뒤 잔액은 환급해야 한다. 질병 감염이나 상해 등 안전사고 신고는 61건(15.1%)이 접수됐다. 신생아가 폐렴·장염 등에 걸리거나 목욕 중 다쳐 신고를 한 경우가 많았다. 서울의 한 산후조리원에서는 지난 5월 신생아들이 집단 폐렴에 걸려 보건복지부가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소비자원은 계약해제 외에는 별도의 분쟁해결기준이 없어 질병이나 안전사고가 발생해도 소비자가 적절한 배상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내수 살리자” 중국인 비자발급 완화

    “내수 살리자” 중국인 비자발급 완화

    정부가 내수를 살리기 위해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한다. 의료 관광객에 대한 편의 제공을 확대하고, 경제자유구역 복합리조트에 외국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심사제’도 조기에 도입한다. 민간 주택담보노후연금(역모기지) 상품에도 재산세 감면 등 세제 지원이 확대된다. 사전심사제 도입으로 인해 카지노가 무분별하게 설립되고, 해외자본이 이익만 챙겨 철수하는 ‘제2의 론스타’ 사태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7일 국무총리실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7개 부처가 참석한 가운데 ‘제2차 경제활력 대책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내수활성화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중국 관광객 비자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오는 13일부터 우리나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1회 개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에게 1년 유효 복수 비자를 발급할 계획이다. 지난 1일부터 우리나라 및 OECD 국가를 2회 이상 방문한 중국인에게 3년 유효 복수 비자를 발급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한 것이다. 또 의료관광 유치 기관이 초청한 관광객의 비자발급 기간은 현행 3~6일에서 1~2일로 단축된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22만명으로 일본인(329만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경제자유구역 내 복합리조트는 투자규모가 5억 달러 이상이고 호텔업을 포함해 3종 이상의 관광사업을 운영할 경우 사전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다만 ‘먹튀 논란’을 일으킨 론스타 사태를 우려해 다음 달 중 경제자유구역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후속조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우리 국적의 크루즈 안에 외국인 전용 카지노 설치를 허가할 때 그간 참조했던 ‘전년도 외국인 수송실적’은 보지 않기로 했다. 따라서 선상(船上) 외국인 카지노 설치가 쉬워진다. 민간 역모기지 상품에 대해서도 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에 준하는 세제 혜택을 지원한다. 재산세를 25% 감면해 주고, 저당권 설정 시 부과하는 국민주택채권 매입 의무는 면제해 준다. 레저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서바이벌 게임장 지원을 늘리고, 총포류 단속법에서 모의 총포 규정도 개정한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조성하는 설비투자펀드는 오는 20일부터 자금이 공급된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 우루과이산 소고기도 들어온다

    지난해 1월 김황식 국무총리가 우루과이를 방문할 당시 호세 무히카 대통령은 오찬 메뉴로 자국산 소고기를 내놓고 소고기 시장 개방을 압박했다. 그 소고기가 이르면 10월 국내 시장에 11년 만에 다시 들어올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6일 ‘우루과이산 소고기 수입위생조건’ 제정안을 관보에 행정예고했다. 행정예고는 수출국의 가축질병 발생 상황과 축산물 처리장 위생상태 등을 따져 수입 여부를 결정하는 수입위험분석 8단계 중 7단계에 해당한다. 농식품부는 3주의 행정 예고기간 동안 농가나 관련 단체의 이견이 없으면 현지 수출작업장 조사를 하고 문제가 없으면 수입위생 조건을 고시하게 된다. 우루과이는 1998년부터 우리나라에 소고기를 수출했으나 워낙 소량이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다. 그나마 2001년 광우병 발생으로 수출이 중단됐었다. 행정예고된 수입위생 조건은 우루과이에서 구제역이나 광우병 등이 발생할 경우 우루과이가 소고기 수출을 중단하고 한국 정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돼 있다. 수출을 재개할 때도 우리 정부와 미리 협의하도록 했다. 이는 우리나라에 소고기를 수출하는 국가 중 미국을 제외한 호주·뉴질랜드·멕시코·캐나다·칠레 등과 같은 조건이다. 미국은 광우병(BSE·소해면상뇌증)이 추가 발생할 경우 조사 결과를 우리 정부에 알리고 이로 인해 세계동물보건기구(OIE)가 미국의 광우병 지위 분류에 부정적 변경을 인정할 경우에만 소고기와 소고기 제품을 중단할 수 있도록 돼 있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호주산 소고기로 이미 타격을 입은 한우업계는 가격이 싼 우루과이산 소고기까지 들어올 경우 더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장기선 전국한우협회 사무국장은 “우루과이산은 미국·호주산보다 품질은 떨어지지만 값이 싸다.”고 밝혔다. 황엽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은 “외국산이 한우로 둔갑, 우리 농가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원산지 표기 단속을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소고기 시장에서 수입산의 시장 점유율은 57.2%다. 전경하·임주형기자 lark3@seoul.co.kr
  • [오늘의 눈] 2% 부족한 커피값 공개… 공정위에 낚였다?/임주형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2% 부족한 커피값 공개… 공정위에 낚였다?/임주형 경제부 기자

    “실무진이 왜 커피 값이 올랐는지를 들여다보고 있지 않겠습니까.”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 5월 기자들과 만나 한 말이다. 스타벅스코리아가 아메리카노와 카페라테, 캐러멜마키아토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300원씩 기습 인상한 직후였다. 당시 김 위원장의 발언은 끊이지 않는 커피전문점 가격 논란으로 인해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주요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아메리카노 기본 사이즈의 값은 2500~4500원. 김밥천국의 참치김밥(약 2500원)보다 비싸고 순두부찌개(4000원)와 맞먹는 값이다. 미국산 원두 10g(한 잔 분량)의 수입 원가가 123원(세전)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고 나면 많은 사람이 분개하는 게 바로 전문점들의 커피 가격이다. 이런 국민적 의구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지난 5일 한국소비자원이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에 게재한 것은 같은 브랜드의 커피전문점에서 같은 사이즈를 주문해도 용량이 천차만별이고, 일부 브랜드 커피는 매장이나 홈페이지에 공시된 정량보다 크게 적다는 사실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곡을 찌르지 못했다. “왜 커피가 김밥이나 순두부찌개만큼 비싸야 하는가.”라는 궁금증은 끝내 풀어주지 못한 것이다. 아메리카노 기본 사이즈는 이디야커피가 2500원으로 가장 싸고, 카페베네가 4500원(일부 지점)으로 가장 비싸다는 정보를 알려줬지만, 이는 일반인도 인터넷을 통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내용이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정확한 원가 산출이 불가능하며, 기업의 영업비밀이라 공개 시 법에 저촉된다는 입장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조사를 시작하기 전 원가 분석도 고려했지만, 원두 가격뿐 아니라 상품개발 비용과 매장 인테리어 비용 등 감안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았다.”며 “결국 업체의 자료만 받아서 분석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공정위 관계자도 “원두만 하더라도 수입한 시기와 원산국에 따라 가격이 제각각”이라며 “컨슈머리포트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게 기본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가격 적정성을 따져보려는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특히 공정위가 올해 소비자 보호 업무에 방점을 두고 있고,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공공기관인 소비자원이 조사에 나섰던 만큼 아쉬움은 더 크다. 지난해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총 232억잔. 커피전문점들은 불황에도 28%의 매출이 늘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본 커피전문점들은 가격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기보다는 종업원에게 물을 정확히 따르라고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herme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