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제공조’ 중심에 선 한국
文대통령, 코로나19 대응경험 공유 및 기업인 이동허용 제안
내일 밤9시 화상연결… 세계경제 부정 영향 최소화 방안 논의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26일 밤 9시, 코로나19에 따른 전 세계적 방역·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G20 정상들은 초유의 ‘특별화상정상회의’에서 코로나19를 극복하고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불안 심리를 잠재우기 위한 공동선언문을 도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이 최초로 제안한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는 것은 물론, 위기 극복을 위한 연대의 장이 마련되는 셈이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5일 브리핑에서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보건·방역 분야 협력을 비롯해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경제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G20 국가 간 정책공조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회의는 G20 정상들을 화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열린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 한·프랑스 정상 간 통화에서 특별화상정상회의 개최를 처음으로 제안한 바 있다. 이후 정부는 올해 G20 정상회의 의장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측과 관련 협의를 진행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사회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번 G20 특별화상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됐다.문 대통령은 알파벳 순서에 따라 15번째로 예정된 정상발언에서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방역·보건 조치 성과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제공 ▲독자적인 자가진단 앱 개발 및 시행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기업,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그동안 각국 정상과의 통화에서 강조했던 기업인 입국제한 면제조치 등 필수적인 경제 교류의 필요성을 거듭 밝힐 예정이다. 세계 경제의 신속한 회복을 위해서는 국가 간 경제교류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국의 국경관리 조치가 기업인 등 필수적인 인적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에는 20개 회원국 외에 스페인, 싱가포르, 요르단, 스위스, 베트남, UAE, 세네갈 등 7개국 정상이 초청국 자격으로 동참하며 세계보건기구(WHO)도 함께 한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