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지내세요] 전 대표팀 감독 경원대 교수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한 외국계 보험회사의 신입사원 130여명이 지난 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강의에 몰입해 있었다. 연단에 선 백발의 강사는 ‘팀워크와 프로정신’을 주제로 2시간동안 쉼없이 얘기 보따리를 풀어놓았다. 이 낯익은 얼굴은 1970∼80년대 농구코트의 카리스마로 명성을 떨친 방열(64) 경원대 사회체육대학원장이었다.
●강단에 선 코트의 카리스마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코트를 호령하던 모습이 선했지만, 사회 초년병들이 하품 한번 할 틈을 안 주고 휘어잡는 것을 보니 영락없는 베테랑 강사. 지난 92년 경원대 교수로 강단에 선 뒤, 벌써 14년째이니 그럴 법도 했다.
“농구 데뷔전때 림이 안 보이더니, 첫 강의 때도 학생들이 하나도 안 들어오더라.”며 방열 교수는 기억을 더듬었다. 처음엔 교양과목만을 가르쳤던 그는 학교측과 교육부를 집요하게 설득해 95년 사회체육학과 인가를 받아냈고, 내친김에 2003년 사회체육대학원을 만들었다. 어디서든 새 판을 벌이는 버릇은 계속된 셈. 감독을 맡았던 조흥은행(여자)과 현대, 기아차 모두 신생팀이었다.“차려 놓은 밥상에 숟가락만 얹으면 재미없잖아. 내 손으로 장도 보고 요리도 해야지.”란 설명을 듣고 나니 그의 숙명이란 생각이 들었다.
6년 동안의 화려했던 국가대표 생활을 뒤로하고 67년 은퇴한 그는 교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미국 유학을 준비했다. 명문 노스캐롤라이나대로부터 전액장학금을 조건으로 입학허가를 받고 기다리던 그는 신생팀 조흥은행의 ‘러브콜’을 받았고, 고심 끝에 방향을 틀었다. 덕분에 한국농구는 ‘큰 지도자’를 얻었지만 ‘교수 방열’의 꿈은 25년이나 미뤄졌다.
지도자 시절 가장 깊은 인상을 준 이는 ‘농구광’으로 소문난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26살의 나이로 조흥은행 사령탑을 맡은 뒤 71년 아시아여자농구선수권 우승을 비롯, 국내외에서 ‘우승제조기’로 명성을 떨치던 그는 78년 창단팀 현대 감독을 맡으며 ‘왕회장’과 인연을 맺었다. 하루는 고려대-현대의 연습경기를 보러온 정 회장이 “방 감독, 슛 잘하는 얘들 뽑지 말고, 안 들어간 공 건져올리는 녀석들을 스카우트해봐.”라고 툭 던졌다. 슈터만 눈여겨보는 일반인들과는 안목이 달랐다. 리바운드의 중요성을 간파한 셈.86년 기아로 옮길 때의 모습은 지금도 선하다. 서운할 법도 했건만 왕회장은 “힘들면 언제든 돌아오라.”며 손을 꼭 잡아줬던 것.
●인생의 4쿼터를 준비한다
대학에서 1주일에 8시간씩 강의를 하고 방학 때면 해외 코치클리닉과 외부특강 등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방 교수. 그러면서도 요즘 ‘인생의 4쿼터’를 준비하느라 하루가 짧기만 하단다. 그의 마지막 꿈은 풀뿌리 농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농구인들의 재교육을 담당하는 ‘농구아카데미’를 설립하는 일.2007년 퇴임 이후 박차를 가할 생각으로 준비하고 있다.
‘농구아카데미’에서는 청소년들이 작은 공간에서도 농구를 즐길 수 있도록 방 교수가 특허출원한 4대4 경기용 ‘O2존 코트’(15mX15.65m)를 보급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심판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문 과정을 개설할 계획이다. 농구에 대한 그의 열정이 고스란히 담긴 ‘농구아카데미’가 한국농구 발전의 ‘인큐베이터’가 되길 기대해 본다.
글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사진 안주영기자 j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