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토리노동계올림픽] “친부모님 보셨죠”… 도슨의 ‘설원 아리랑’
1978년 어느 겨울날, 강보에 싸인 사내아이가 부산의 한 파출소 계단에 버려졌다. 고아원으로 보내진 이 아이는 4살 때 한국 땅을 떠나게 된다. 미국 콜로라도주 베일에서 스키 강사로 일하던 마이크-데보라 도슨 부부에게 입양된 것.●양부모 사랑에 입양고통 잊어토비 도슨(28·한국명 김수철)에게 스키는 운명처럼 다가왔다. 장시간의 비행을 거쳐 베일에 도착한 첫 날, 양아버지 마이크는 눈으로 뒤덮인 낯선 풍경에 어리둥절해 하는 꼬마를 슬로프로 데리고 나갔다. 혹시나 다칠까봐 벨트를 아이의 가슴에 묶고 자신의 손에 꼭 쥔 채 눈밭에서 마음껏 뒹굴게 했다. 이들 부부의 애정은 각별했다.토비가 새로운 환경에 빨리 적응하도록 1년 뒤 서울에서 동생 K.C. 도슨(한국명 김권)을 또 입양했다.4살때 스키에 입문한 그는 12살때 모굴로 전향했다. 슬로프를 질주할 땐 잊을 수 있었지만 문득문득 떠오르는 정체성에 대한 혼란은 여느 입양아와 같았다. 하지만 도슨 부부는 아들에게 출신배경을 솔직하게 얘기해 주고, 기회가 닿을 때마다 한국 음식과 문화를 체험하도록 했다. 양부모의 지극한 관심과 사랑 덕에 도슨도 자신을 버린 한국을 포용할 수 있었다. 한국말도 조금 배웠고, 입양가족을 위한 상담원으로 활동하면서 같은 고민을 안은 아이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애썼다.정신적 안정을 찾으면서 도슨의 스키 실력도 눈에 띄게 늘었다.02∼03시즌엔 세계랭킹 2위에 올랐고, 지난달 열린 05∼06시즌 프리스타일 월드컵스키에선 올림픽 챔피언인 얀네 라텔라(핀란드)를 꺾고 정상에 섰다.16일 토리노 북부 소재 둘스 조벤소에서 열린 토리노 동계올림픽 프리스타일스키 남자 모굴에서 도슨은 26.30점을 획득, 데일 베그-스미스(호주·26.77점)와 미코 론카이넨(핀란드·26.62점)에 이어 동메달을 거머쥐었다.1차시기에선 긴장한 탓에 6위에 머물렀지만,2차시기에서 720도 공중 회전묘기 등 고난도 연기로 높은 평점을 얻어 생애 첫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건 것. 도슨은 “이제야 양부모가 내게 투자해 온 값을 한 것 같다.”며 활짝 웃으면서도 “친부모를 찾는 일은 천천히, 신중하게 계속하겠다.”라고 털어놓았다. 그는 “그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친부모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전화도 많이 받았다.”면서 혼란스러웠던 과거를 감추지 않았다.●다음달 1일 방한 예정하지만 도슨의 ‘뿌리 찾기’는 의외로 쉽게 풀릴 수도 있다.2004년 2월 국내에서 열린 모굴선수권대회에 출전한 데 이어 새달 1일 지산리조트에서 개최되는 국제스키연맹(FIS) 월드컵대회에 출전, 어디에선가 지켜 보고 있을 친부모에게 당당하게 자란 자신의 모습을 보여줄 생각이다.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