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종이 호랑이서 ‘승률 1위’ 맹수로
‘타이거스’는 한국과 일본 프로야구에서 인기구단의 대명사다. 한국의 KIA(전신인 해태 포함)와 일본의 한신은 나란히 9차례 우승한 것은 물론 ‘골수 팬’들을 거느리고 있다. 미국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는 조금 다르다. 전설적인 안타제조기 타이 콥이 활약했던 초창기에 리그 3연패(1907∼9년)를 거뒀고, 월드시리즈를 4차례(35·45·68·84년) 제패했지만 90년대 들어 줄곧 바닥을 기었다.특히 지난 5년간 평균 100패를 기록할 만큼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했다. 하지만 디트로이트는 올시즌 확 달라졌다.19일 현재 62승31패(승률 .667), 메이저리그 30개 구단 가운데 최고 승률로 아메리칸리그 중부지구 1위다. 지난해 71승91패와 견주면 상전벽해다. 특출난 스타가 없는 디트로이트가 돌풍을 이어가는 원동력은 무엇일까?교과서적인 대답이지만 안정된 벤치와 투타의 밸런스가 들어맞았다. 데이브 돔브로스키 단장은 지난 겨울 세인트루이스의 스카우트로 ‘야인 생활’을 하던 짐 릴랜드 감독을 잡았다. 릴랜드는 97년 플로리다를 우승시키는 등 신생팀 혹은 약팀을 정상권으로 이끄는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셋업의 달인’으로 불린다. 릴랜드가 지휘봉을 쥔 후 디트로이트 선수들은 눈빛부터 바뀌었다. 멘토 역할을 맡은 베테랑 케니 로저스(11승3패, 방어율 4.10)를 비롯해 제로미 본더맨(9승4패,3.59), 네이트 로버트슨(8승6패,3.61), 저스틴 벌랜더(11승4패,2.83) 등 ‘젊은 피’들이 포진한 선발진은 지난해 우승팀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연상시킬 만큼 안정적이다.메이저리그 유일의 3점대 방어율(3.58). 타선에서는 부상에 시달리던 역전의 용사들이 부활했다.지난해 부상으로 시즌을 접은 매글리오 오도네스(타율 .305 16홈런 63타점)를 비롯, 카를로스 기엔(.299 12홈런 54타점)과 이반 로드리게스(타율 .314)가 타선의 무게를 보탰다. 지난해 깜짝 우승을 일군 지구 라이벌 시카고 화이트삭스처럼 타이거스가 22년 만에 월드시리즈 우승까지 달음질칠지 팬들은 벌써부터 설렌다.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