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도하 아시안게임] 4관왕 야심만만
|도하(카타르) 임일영특파원|“3관왕 넘어 4관왕까지, 대회 MVP는 보너스” 도하아시안게임 자유형 200m 아시아기록을 경신하며 수영 첫 금메달을 딴 박태환(17·경기고)이 당초 목표였던 3관왕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함께 4관왕에 대한 욕심까지 드러냈다.4일 시상식이 끝난 뒤 박태환은 “자유형 400m와 1500m를 보탠 3관왕은 자신있다.”면서 “컨디션이 상승세에 있는 만큼 100m에서도 좋은 레이스를 펼칠 수 있을 것”이라며 도전적인 자세를 보였다.
첫 고비였던 200m를 금빛물살로 채우며 다관왕 행진을 순조롭게 시작한 박태환은 과연 자신이 장담한 대로 3관왕은 물론 한국수영의 첫 아시안게임 4관왕까지 일궈낼 수 있을까. 일본 수영의 영웅 기타지마 고스케는 부산아시안게임 수영 3관왕으로 최우수선수(MVP)에 올랐었다.
●중·장거리는 아시아 지존
박태환의 다관왕 행진은 6일 새벽(이하 한국시간) 자유형 400m에서 가시화될 전망이다. 그의 ‘특기번호’는 ‘1500’과 ‘400’이다. 자유형 중·장거리를 주종목으로 쑥쑥 커 왔다. 비록 실격패의 쓴맛을 보긴 했지만 첫 국제무대인 2004년 아테네올림픽 출전 프로그램도 400m에 맞춰져 있었다.
최근 2년간 이 두 종목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그의 ‘텃밭’이었다. 지난해 국내에서 한국기록을 세 차례나 경신한 뒤, 연말 동아시아대회에서도 자신의 한국기록을 또 갈아치우며 세계기록에 성큼성큼 다가섰다.
지난 8월 범아시아태평양대회에서는 세계랭킹 1위의 클레트 켈러(미국)와 당시 10위의 라이벌 장린(중국)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둬 한국수영에 정규코스 첫 국제대회 금메달을 선사,‘수영의 탈아시아’를 이룰 거목으로 자리매김했다. 기록은 톱랭커 켈러에 불과 0.45초 뒤진 것. 또 호적수 장린과는 2초 가까이 앞선 기록이고 보면 400m 금메달은 ‘따 놓은 당상’이고, 재론의 여지는 없는 셈이다.
노민상(50) 수영대표팀 총감독은 “고비였던 200m를 무난히 넘겼으니 이제 태환이의 주종목인 중·장거리에 맞는 페이스로 리셋할 것”이라면서 “현재의 몸상태라면 또 한 개의 아시아신기록은 물론, 세계기록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100m, 새로운 도전
박태환이 7일 새벽 나서는 자유형 100m는 자신의 수영 인생에서 새로운 도전이나 다름없다.
최근 그가 국제무대 100m에 나선 건 단 한 차례도 없다. 국내에서도 올해 가진 국가대표 공인기록평가회에서 스프린터로서의 자질을 시험해 봤을 뿐이다. 그런데도 ‘박태환 100m’에 거는 기대는 왜일까. 전문가들은 “현재 박태환이 신체리듬을 최고조로 끌어올린 데다 ‘월드스타’로 부상한 뒤에는 노련미까지 붙어 충분히 금메달을 노릴 만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더 중요한 건 ‘연습벌레’라고 불릴 만큼 집요하고 철저하게 수영에 매달리는 근성이다.
지난 쿤밍 전지훈련을 통해 그는 중·장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초반 페이스를 가다듬기 위해 구슬땀을 흘렸다. 또 다른 약점인 턴을 보완하기 위해 하루에도 수백 차례의 연습을 반복, 발바닥에 크고 작은 물집이 수십개나 잡힐 정도였다.
기록으로 봐도 ‘금빛 가능성’은 충분하다. 박태환의 100m 보유 기록은 50초39. 다카미쓰 고지마(일본·49초92), 후앙 샤오후아(중국·50초22), 호소카와 다이스케(일본·50초38)에 이어 아시아 네번째지만 초반 피치를 위한 그동안의 노력이 현실화될 경우 아시아 최고의 스프린터로, 또 한국수영의 ‘올라운드 플레이어’로도 자리매김할 수 있다.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