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도하 아시안게임]대회예막…한국 3회연속 2위 북한 16위 머물러
|도하(카타르) 임일영특파원|‘광저우에서 다시 만납시다.’
보름간 40억 아시아인의 마음을 뜨겁게 달군 카타르 도하 아시안게임의 성화가 16일 꺼졌다. 이날 새벽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열린 폐막식에서 카타르 국왕 후계자인 셰이크 하마드 알타니 대회조직위원장이 2010년 개최지인 중국 광저우의 장광닝 시장에게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깃발을 넘기면서 이번 대회는 막을 내렸다.
1974년 테헤란 대회 이후 32년 만에 중동에서 개최된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금 58개, 은 53개, 동 82개를 획득, 일본(금 50, 은 71, 동 77)을 따돌리고 3회 연속 종합 2위를 지켜냈다. 고 김형칠 선수가 승마 종합마술 경기 도중 운명을 달리한 사고와 개최국 카타르의 노골적인 텃세로 한국은 어려움에 부딪혔지만 막판까지 이어진 일본과의 순위 경재에서 결국 승리했다.
이미 탈(脫)아시아를 선언한 중국은 금 165, 은 88, 동 63개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7회 연속 종합우승을 차지했다.‘톱10’복귀를 노렸던 북한은 금 6, 은 9, 동 16개로 16위에 머물렀다.
수영과 사이클에서 나란히 3관왕에 오른 박태환(17·경기고)과 장선재(22·대한지적공사)는 이번 대회 한국의 최고 수확이다. 특히 박태환은 2개의 아시아신기록을 세우며 최윤희 이후 24년 만에 3관왕을 거머쥐며 이번 대회 최고의 스타로 떠올랐다.
그러나 남자배구와 하키를 제외한 구기종목의 동반 몰락은 국민들의 입맛을 쓰게 했다. 특히 프로에서 수억원대 연봉을 받는 야구와 남자축구, 농구의 무기력한 모습은 향후 아시안게임 및 올림픽의 선수단 구성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남겼다.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