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뜨는 新직업] (10) 운동치료사
“어깨를 좀더 올려 봐요. 좀더 부드럽게….”5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에 있는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최근 어깨수술을 받은 한 체육대학 재학생이 재활 훈련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이 학생은 이 병원의 ‘운동치료사’인 김정원(40) 스포츠의학센터 실장의 지시에 따라 조그만 공을 던지고 받기를 반복했다. 김 실장은 “잘못된 사소한 습관이 큰 부상을 가져 왔다.”면서 “바른 자세로 어깨를 사용하도록 고유감각을 활성화하는 운동이 필요하다.”며 이 학생의 조그만 움직임도 놓칠세라 눈을 떼지 못했다.
●도복 벗고 흰색 가운을 걸치다
운동치료사는 아직 일반인들에겐 생소한 직업지만 지난해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이 함께 펴낸 ‘미래의 직업세계 2005’에서 ‘웰빙 열풍’을 주도할 유망 직업으로 꼽혔다.
그가 운동치료사의 길로 들어선 것은 경희대 태권도학과 재학시절 다리 부상 후유증으로 선수 생활을 접으면서부터다.7살 때 도복을 입은 뒤 줄곧 태권도인으로 살아온 그는 “당시에는 지금 제가 하는 것과 같은 체계적인 운동치료가 없었다.”면서 “요즘이라면 그때 나도 선수 생활을 더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졸업한 뒤 LG프로농구단의 트레이너로 일하던 그는 우연히 미국 트레이너의 체계적인 치료법을 보고 이론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마름을 느꼈다. 결국 2002년 회사에 사표를 낸 뒤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웨스트체스트대학으로 유학을 갔다.6개월 과정을 수료한 뒤 LG농구단에 잠시 복귀했다가 스포츠 재활센터를 직접 운영했지만, 지난해 3월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재활센터 개원과 함께 자리를 옮겼다.
●‘맞춤형 운동’ 콕 집어 준다
운동치료사의 보람은 의사와 비슷하다. 환자가 성공적인 재활로 현장에 복귀할 때 짜릿한 쾌감을 느낀다.
“습관적으로 어깨가 빠지는 환자가 있었는데 생업에 하루빨리 복귀해야 했죠. 수술 뒤 9개월에서 1년은 지나야 정상 생활이 가능했지만 의사들과 의견을 조율한 뒤 재활 훈련을 거듭, 넉 달 만에 현업에 복귀했습니다.”
운동치료사는 부상 선수나 일반인들이 수술 뒤 빠른 시간에 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을 만들어 치료를 돕는다. 재활이라면 프로 선수들을 떠올리기 쉽지만 레포츠 인구가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요즘,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단어가 됐다. 꼭 부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비만이나 당뇨, 고혈압, 지방간 등 성인병을 앓는 사람들에게 체계적인 운동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는 “부상자를 재활시키는 것보다는 성인병 환자들을 운동시키는 편이 훨씬 쉬운 편”이라고 귀띔했다.
●일정기간 병원서 인턴과정 거쳐야
운동치료사는 부상 상태에 대해 의사와 전문적인 대화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학 지식은 물론 정형외과 및 병리학, 약학 지식을 갖춰야 한다. 그 밖에 물리치료, 응급처치, 운동치료, 영양학은 물론 수술 과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수술의 특성을 모르면 환자에게 맞춤형 처방을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심리학 지식도 필요하다. 선수나 환자에게 복귀에 대한 의지를 심어주는 역할까지 해야 한다. 치료만을 전담하는 의사가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운동치료사가 되려면 사회체육 관련 학과나 의과대학의 예방의학 및 재활의학과를 다니며 스포츠심리, 인체생리학, 운동생리학, 트레이닝 방법 등을 이수하고 일정 기간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 공인 자격증은 없지만,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한국체육과학연구원에서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을 딸 수 있다. 문화부가 주관하는 생활체육지도자 강습이나 한국스포츠산업개발원, 대한임상운동사협회, 한국운동처방협회 등 민간단체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을 받은 사람도 이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
●노령화 사회, 웰빙열풍 속 확실히 뜬다
지나치다 싶을 만큼 달아오른 웰빙 열풍과 함께 노령화 사회로 진입할 수록 운동치료사의 미래는 밝다. 아직 싹을 틔우는 단계일 뿐, 앞으로 전문 운동치료센터 및 전공학과(건강관리학·스포츠과학·스포츠의학) 등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졸업한 뒤에는 종합병원이나 스포츠센터, 재활센터에서 일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노인이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시설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갖춰야 할 전문지식이 많은 만큼 초봉도 3000만원 정도로 박하지 않다. 전문 운동치료사로 나선 지 5년째인 김 실장의 연봉은 4500만∼5000만원 수준이다.
글 사진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