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영 64%가 복무 부적응 탓
#1 A씨는 선임병의 구타와 가혹행위로 국군병원 정신과에 입원했다. 군의관은 A씨를 조기 퇴원시켰고, 소속부대 지휘관과 군의관은 외진을 허가하지 않았다. 전역 뒤인 2007년 A씨가 투신자살을 하자, 그의 아버지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했다.
#2 2005년 입대해 행정보급병으로 근무한 B씨는 잠 잘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식사를 거르는 일이 빈번했다. 상관으로부터 “이 ××, 군 생활하기 싫어?”,“영창 가고 싶냐?”는 등 폭언을 들었다.B씨는 아침체조 중 발작으로 쓰러졌다. 이후 제대로 말을 하지 못하는 ‘함구증’ 증세를 보였고 지능지수가 68로 떨어졌으며, 우울성 장애 진단을 받았다.
인권위는 17일 군복무 부적응이 예상되는 입영 대상자를 사전에 찾아내고 복무 중인 병사에 대해서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라고 국방부 장관과 병무청장에게 권고했다. 병무청과 훈련소 등에 임상심리전문가를 두고, 일선 부대에 ‘기본권 전문상담관’을 확대하도록 했다.‘비전캠프(육군에서 군복무 부적응자 및 자살우려자 등을 대상으로 사단급에서 실시하는 심리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지원 및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에 따르면 2001년 출범 이후 2006년까지 군 인권침해와 관련해 진정된 372건 중 사인규명을 요구하는 진정사건이 107건이었고, 이중 41건이 군복무 부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군본부에 따르면 2002∼2006년새 연 평균 1085건의 군무이탈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중 64.2%인 697건의 원인이 복무 부적응으로 조사됐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