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임일영
    2025-08-2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660
  • 고달픈 낀세대 ‘베이비부머’

    고달픈 낀세대 ‘베이비부머’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는 고달프다. 올해부터 은퇴가 본격화되지만 늙은 부모를 봉양하는 부담은 물론, 경제적 자립을 이루지 못한 자녀를 뒷바라지하는 짐까지 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이 ‘사회조사(2008·2009년)’ 결과를 토대로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의 64.2%는 원하는 단계까지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10명 중 8명(79.2%)이 경제적 형편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배우지 못한 설움 때문일까. 베이비붐 세대의 99.1%는 자녀의 대학 교육비를 당연히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90.0%는 자녀의 결혼비용도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부모 중 한 명이라도 생존해 있는 경우는 68.5%였다. 이들 중 약 70%는 여전히 자식들(베이비부머)의 생활비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한 비율은 전체의 30.8%에 불과했다. 15세 이상 가구주 부모의 46.6%가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하는 것을 고려하면 베이비붐 세대의 짐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부모 생활비의 제공자는 ‘모든 자녀(33.6%)’, ‘장남 또는 맏며느리(18.8%)’ 순이었다. 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도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전반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응답이 65.2%로 15세 이상 인구 평균(60.4%)보다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외환위기,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경험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던 세대”라면서 “하지만 여전히 이들에게는 부모 부양과 자녀 지원의 부담이 병존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2009년 조사에서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베이비붐 세대는 80.0%로 주된 방법은 국민연금(38.5%)과 예금·적금(24.3%)이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재정부 “출구전략은 유동성 축소부터”

    정부는 본격적인 출구전략으로 인식되는 금리인상 시기와 관련, 유동성 축소를 우선 추진한 뒤 물가 등을 고려해 신중히 다뤄야 한다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중소기업 신용보증 조치 등 비전통적·예외적 위기대응 조치를 가급적 상반기까지 정상화한다는 입장이다. 일부 국가의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은 아직 본격적인 출구 전략 움직임이 없다는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획재정부는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2009년 국정감사 조치사항 ‘경제·재정분야’ 보고서를 통해 현 정부가 생각하는 출구전략의 계획과 입장을 자세히 밝혔다. 재정부는 출구전략에 대한 개념을 위기 대응 과정에서 추진한 정책들을 경기 회복과 함께 정상화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확대된 유동성이 인플레나 자산버블을 유도하지 않도록 단속하고 경기 대응 차원에서 인하했던 정책금리 수준을 정상화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재정부의 출구전략 이행 방안을 들여다 보면 사실상 올 상반기에 금리만 빼고 재정·금융·통화 부문을 경제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리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반영돼 있다. 출구를 향한 문턱 가까이로 가겠다는 것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작년 공기업 부채 200조 돌파

    공기업 부채가 지난해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섰다. 부채비율도 150%대로 치솟았다. 8일 국내 공기업 22곳의 지난해 결산실적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부채는 211조 7000억원으로 전년(175조 6000억원)보다 20.6%(36조 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자본은 138조 8000억원으로 전년(132조 7000억원) 대비 4.6% 증가에 그쳤다. 부채 증가율이 자본 증가율보다 4.5배 높을 정도로 빠른 속도를 보인 셈이다. 부채비율은 2008년 132%에서 지난해 152%로 20%포인트 상승했다. 자산은 350조 5000억원으로 전년(308조 3000억원)보다 13.7%(42조 2000억원) 늘었다. 공기업별로 지난해 부채가 줄어든 기관은 가스공사, 인천공항 등 7곳이었고 나머지 15곳은 늘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콘텐츠·미디어·3D산업 일자리 늘린다

    콘텐츠·미디어·3D산업 일자리 늘린다

    ‘아이폰 쇼크’로 불리는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응이 시작됐다. 정부는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고 ‘콘텐츠·미디어·3D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콘텐츠와 미디어산업에 2014년까지 11조 2000억원(정부예산 1조 5000억원 등)을 투입해 8만명(연평균 1만 6000명)의 고용을 늘릴 계획이다. ●5대 유망서비스 분야 집중 육성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고용비중은 지난해 68.5%에 이른다.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3위(2007년)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고용 없는 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성장가능성이 큰 ▲콘텐츠·미디어 ▲보건·의료 ▲사회서비스 ▲관광·레저 ▲교육·연구개발(R&D) 등 5대 유망서비스분야를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이날 콘텐츠·미디어 일자리 대책을 시작으로 나머지 분야별 대책도 6월까지 확정키로 했다. 정부가 가장 먼저 콘텐츠·미디어·3D 산업의 일자리 대책을 내놓은 것은 고용흡수력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폰·앱스토어·아바타(3D 영화)로 대변되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뒤처지면 곤란하다는 판단도 작용했다.허경욱 기획재정부 1차관은 “(5개 분야 중) 이쪽부터 시작한 건 청년실업 때문”이라면서 “‘디지털 네이티브’란 표현처럼 디지털문화와 함께 자란 세대이고 이쪽 일을 갖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아이폰 쇼크’ 등 시의성에도 주목했다.”고 덧붙였다. ●스마트폰 남은 데이터량 이월 추진 대기업이 콘텐츠 제작사와 함께 콘텐츠를 만들고 정부가 제작비를 대는 ‘콘텐츠 생태계 프로젝트’에 3년간 5000억원이 투입된다. 대기업이 60%를 부담하고 정부와 제작사가 20%씩 부담한다. 콘텐츠 제작사의 해외 진출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펀드도 만든다. 정부가 40~50%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해외 및 국내 민간자본의 투자를 받을 계획이다. 제2의 인터넷 붐을 조성하기 위해 모바일 금융결제, 게임 등급분류제도 등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스마트폰 정액 요금제 가입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쓰지 못할 경우 다음 달로 넘겨 쓸 수 있는 요금제도 추진한다. 하나의 데이터요금 상품에 가입하면 스마트폰·노트북 등 단말기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통합요금제도 도입된다. 2015년까지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 3D TV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1000억원 규모의 3D 산업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R&D 투자비용의 20~30%에 소득세·법인세 세액공제를 해줄 예정이다. 2D 영화의 3D 변환작업 등 급증하는 인력수요에 대응하도록 연간 6000명의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거시정책 기조 유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당분간 현재의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윤 장관은 7일 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세계 경제를 보면 유럽 재정 문제 등 경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면서 “당분간 정부는 현재의 거시정책 기조를 견지하면서 회복 흐름이 고용과 투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신성장 동력과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의 시기를 놓고 논란이 이는 가운데 시기상조란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윤 장관은 “2월 지표를 보면 기저효과 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회복 기반이 이어지는 모습”이라면서 “내수 측면에서 소비와 설비투자가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로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한우값 584만원… 사상 최고

    한우의 산지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통계청은 7일 ‘1·4분기 가축동향’에서 한우 수컷(600㎏ 기준)의 월 평균 산지가격이 지난 1월 584만 60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종전 최고가는 지난해 12월의 578만 9000원이다. 2월에는 구제역으로 전국의 가축시장이 열리지 않아 가격 형성이 이뤄지지 않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와 소 이력 추적제 시행으로 한우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 데다 정육점형 식당이 늘면서 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1분기 한우·육우의 사육 마릿수는 270만 6000마리로 지난해 4·4분기보다 7만 1000마리(2.7%)가 증가했다. 젖소는 44만 9000마리로 전 분기보다 4000마리(0.9%), 돼지는 976만 8000마리로 전 분기보다 18만 3000마리(1.9%)가 늘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청국장 아줌마’ 송명희씨 올해의 신지식 농업인에

    ‘청국장 아줌마’ 송명희씨 올해의 신지식 농업인에

    냄새 안 나는 청국장을 개발한 ‘청국장 아줌마’가 올해의 신지식 농업인으로 선정됐다. 10년 전 서울에서 강원 횡성군 안흥면으로 귀농해 ‘안흥콩터’를 운영하는 송명희(53)씨가 7일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올해의 신지식인(농산물 가공분야)으로 선정됐다. 송씨는 “앞으로 학교급식에 냄새 없는 청국장을 납품해 아이들도 전통 발효식품인 청국장을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박희춘(52·전남 무안), 조영수(52·충북 영동), 이은재(55·경기 화성), 최영기(53·전남 보성), 김광희(52·강원 양양), 김현의(53·경남 의령), 구교철(41·경북 성주), 양혜숙(51·제주), 이종범(50·충북 청원), 안재영(52·강원 영월), 이재성(62·제주 서귀포), 김용덕(52·경기 용인)씨가 올해 신지식 농업인으로 뽑혔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나랏빚 359조…1년새 50조 늘어

    나랏빚 359조…1년새 50조 늘어

    지난해 국가채무가 359조 6000억원으로 2008년보다 50조 6000억원 늘어났다. 국내총생산(GDP) 대비로는 33.8%로 전년(30.1%)보다 3.7%포인트 상승했다. 관리대상수지 적자는 43조 2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4.1%를 기록했다. 관리대상수지란 정부의 모든 수입과 지출을 계산한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고용보험, 사학연금, 산재보험 등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외한 지표다. 일반적으로 국가 채무를 추정할 때 쓰는 항목이다. 정부는 6일 국무회의에서 2009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했다. 감사원의 결산검사를 거쳐 5월 말까지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해 지방정부(잠정치)를 포함한 국가채무는 전년보다 50조 6000억원이 늘어났다. 통계청 추계인구(4874만 6693명)로 나눠 보면 1인당 나랏빚은 737만원 꼴이다. 2008년 국가채무는 308조 3000억원으로 1인당 나랏빚은 634만 원꼴이었다. 1년 새 100만원 이상 부채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 추경 때 전망보다는 6조 4000억원이 감소했다. 소폭이기는 하지만 국가 재정건전성이 호전된 셈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하반기에 경기가 회복되면서 국고채 발행이 2조원 줄었고, 국내 외화유동성이 안정되면서 외평채 발행도 5조 3000억원이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정부의 채무는 지난해 346조 1000억원으로 2008년에 비해 48조 2000억원이 늘어났다. GDP 대비 32.6%다. 중앙정부의 국가채무 역시 2009년 추경 때 잡았던 수치보다는 9조 2000억원이 감소했다. 국가채무 중 세금 등 국민이 떠안아야 하는 적자성 채무는 155조 2000억원(44.9%), 자산이나 융자금 등 대응자산이 있는 금융성 채무는 190조 9000억원(55.1%)이었다. 2008년보다 적자성 채무의 비중은 4.1%포인트 늘어났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2050년 한국인 13% 80세이상

    2050년 한국인 13% 80세이상

    2050년이면 80세 이상 한국인이 인구 100명 중 13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85세 이상의 초고령 노인 인구가 전체의 7%가량 되고, 국민연금 수급 연령인 65세 이상은 전체의 34%에 달할 전망이다. ●연금받는 65세이상 34% 차지 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나라별 인구 추계에 따르면 한국의 2050년 총인구는 4433만 6997명으로 예측됐다. 이 중 80세 이상은 559만 1064명으로 전체의 12.6%가량이다. 즉 2050년에는 80세 이상 인구가 2000년(47만 6965명)의 11배가 되는 셈이다. 2000년 총인구는 4700만명으로 80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1%에 불과했다. 85세 이상 초고령자도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에 85세 이상 인구는 무려 308만 6085명으로 전체 인구의 7%에 이른다. 2000년의 17만 3206명에서 50년 만에 18배가 된다. 특히 국민연금 수급 연령층인 65세 이상 인구는 2050년에는 1527만 590명으로 전체 인구의 34.4%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50년 한국의 20~49세 인구는 1343만 9440명으로 전체 인구의 30%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2000년의 2367만 259명보다 1000만명 이상 줄어들게 된다. 저출산 구조가 굳어지면서 노년층을 ‘먹여 살릴’ 인구가 급감해 2050년이면 감당하지 못할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다. ●0~19세 인구 현재의 절반도 안돼 경제활동 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따른 부작용은 물론 연금정책을 근본적으로 손보지 않는 이상 국가재정에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더 심각한 것은 국가의 미래인 유아·청소년층도 급감한다는 점이다. 0~19세 인구는 2000년 1375만 3661명에서 2050년에는 645만 238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작년 해양사고 50% 급증

    작년 해양사고 50% 급증

    최근 천안함 실종자와 유류품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금양 98호마저 사고를 당한 가운데 지난해 해양사고가 전년에 비해 50.6%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이던 해양사고가 지난해 반등한 것이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해양안전심판원에 접수된 해양사고(국적선 기준)는 723건이었다. 2008년 480건보다 243건(50.6%)이 늘어났다. 사고 선박은 915척으로 2008년보다 43.9%(279척) 늘었다. 2008년보다 주요 항만에 출입·항을 기록한 배는 5.5%, 어선 조업척수는 3.6% 감소했다. 하지만 기상특보가 2008년 552회에서 2009년에는 708회로 28.3% 증가하는 등 운항 여건이 악화된 탓으로 풀이된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 관계자는 “어선은 기관이나 키에 조그만 손실이라도 생기면 사고로 연결되기 쉽다.”면서 “일반 상선은 기상특보에 영향을 덜 받는데 어선은 기상상황에 민감한 것도 지난해 어선사고가 늘어난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非) 어선 사고는 소폭 줄었지만 어선 사고가 눈에 띄게 늘었다. 유조선, 여객선 등의 비어선 사고는 2008년보다 5.5%(11척) 감소했다. 하지만 어선 사고는 66.7%(290척)가 늘어나 725척이 당했다. 지난해 인명피해는 243명으로 평년과 비슷했다. 다만 인명피해 중 사망·실종은 총 107명으로 2008년(113명)보다 조금 줄었다. 사고 원인으로는 운항 과실에 의한 사고가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특히 인적·물적 피해가 큰 충돌·전복·침몰·좌초 등의 사고에서는 경계 소홀 등 운항과실이 사고원인의 90%를 차지했다. 기관 사고의 경우에도 90% 정도가 기관의 정비 불량 탓이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정책진단] 농협법 4월국회 통과할까

    [정책진단] 농협법 4월국회 통과할까

    신용(금융부문)과 경제(유통부문) 사업을 지주회사 형태로 분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정부의 농협법 개정안이 4월 임시국회에서 통과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여야는 농림수산식품위 법안심사소위 일정에 합의했다. 2월 임시국회에 제출된 이후 논의 한 번 못해 본 농협법 개정안이 비로소 ‘링’ 위에 올려진 셈이다. ●“정부-농협, 쟁점 대부분 풀려” 지난달까지만 해도 전망은 어두웠다. 6월 지방선거와 맞물린 데다 쟁점에 대한 이견이 커서 4월에도 국회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왔다. 4월을 넘길 경우 18대 국회 후반기로 접어드는 5월30일부터는 상임위를 새로 구성하기 때문에 기약 없이 표류할 가능성마저 제기됐다. 하지만 정부와 농식품위의 복수 관계자는 “바깥에 알려진 것과 달리 쟁점에 대한 이견이 상당 부분 좁혀져 4월 국회에서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이낙연(민주당)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과 여야 간사가 만나 오는 13~14일 법안심사소위를 열기로 합의했다. 농식품위 관계자는 “농협법에 대해서는 여야 간 이해관계가 다를 게 없다.”면서 “후반기 원 구성 이후로 넘겨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농식품위만 통과된다면 정무위 등에서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계진(한나라당) 법안심사소위 위원장은 지난달 상임위에서 “현재 거의 모든 쟁점이 해소된 상태”라면서 “그동안 물밑에서 농협중앙회와 조합, 농민단체, 정부 간에 긴밀한 협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농식품위 관계자는 “조합의 공제사업을 보험으로 전환하는 문제만 빼고 나머지는 합의됐다.”면서 “농식품부와 금융위가 최종 조율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도 “이전에 정부와 농협이 100m 정도 떨어져 있었다면 지금은 한가운데에서 많이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물론 정부와 농협은 ‘진도’를 알리기 꺼린다. 협상이 남은 상태에서 섣불리 자신들의 패를 보일 수 없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등의 반발도 살펴야 한다. 다만 4월 통과 의지는 확고하다. 김경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국회 일정 때문에 4월을 넘어서게 되면 입법이 어려워진다.”면서 “농협도 가능한 한 빨리 처리되기를 원하고 있어 국회 통과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쟁점별 진도 어디까지 나갔나 최대 쟁점은 농협 공제사업의 보험사 전환과 부족자본금 지원 문제다. 농협 공제는 지금까지 일반 보험대리점과 같은 방식으로 사업을 했는데 정부안대로 조합을 금융기관 보험대리점으로 간주하면 방카슈랑스 룰(은행·증권사가 보험상품을 팔 때 특정회사의 상품을 25% 이하로 판매하고 전담직원은 2명 이내로 하며, 점포 외 모집행위를 금지한다는 규칙)을 적용받게 된다. 농협중앙회는 농협은행은 금융기관 보험대리점으로 인정하되 조합은 일반 보험대리점으로 남겨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앙회가 대의원(조합장)들을 설득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중앙회의 사업구조 개편으로 지역조합에 피해가 간다면 농협법 개정의 근본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명분도 있다. 이와 관련, 이계진 위원장은 “조합이 일방적으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업계의 반발이 예고되는 대목이다.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부족자본금 지원 문제도 남아 있다. 농협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맞추려면 9조 6000억원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3조 6000억원은 자구노력을 통해 조달할 테니 6조원을 정부가 조건 없이 출연할 것을 법안에 명시해 달라고 요구한다. 하지만 정부는 반환을 전제로 한 출자 형식이어야 하고, 규모는 자산실사 이후에 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장태평 농식품부 장관은 “6조원을 출연 방식으로 지원해 달라는 요구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사업 분리로 떠안는 세금에 대해 특례를 주는 문제는 절충의 여지가 있다. 농협에서는 사업분리 과정에서 취득세와 등록세 등으로 1조 2000억원, 사업 분리 후 해마다 4000억원에 이르는 세금을 추가 부담하는 만큼 감면 혜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농식품부도 공감한다. 다만 농협이 요구하듯 농협법 개정과 동시에 세법을 고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견해다. 이에 대해 농협 관계자는 “LH공사가 세금폭탄 맞는 것을 보면서 ‘당연히 해주겠지’란 생각은 곤란하다는 걸 깨달았다.”면서도 “(조특법 개정) 의지를 조금 보여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액션’이 있다면 농협도 물러설 여지가 있는 셈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공기업 채용 숨통

    정부가 일부 공기업에 경영 자율권을 주거나 정원을 늘려주면서 공공기관 신규 채용에 다소 숨통이 트였다. 그러나 정원 감축 목표를 채워야 하는 곳들은 신입사원 모집계획이 없어 공공기관 채용에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4일 핵심 공기업과 금융 공공기관 등 25개 기관에 따르면 올해 신입사원을 이미 채용했거나 채용할 예정인 곳은 기업은행, 가스공사, 수자원공사 등 14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한 한국전력, 수출입은행 등 7곳도 적게나마 채용에 나설 예정이어서 지난해보다 공기업 채용이 다소 늘어날 전망이다. 2008년과 2009년에는 25곳 중 12곳이 각각 공채를 걸렀고 7곳은 2년 내내 뽑지 않았다. 정원 증원은 ▲경영 자율권을 얻은 가스공사, 기업은행, 지역난방공사, 인천공항 등 4곳 ▲원자력발전 등 신규사업 관련 증원 요청을 한 한국수력원자력 등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7곳 ▲ 4대강 사업을 맡은 수자원공사 등에 대해 허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증원 규모는 가스공사 280여명, 수자원공사 250여명, 지역난방공사가 200여명 등이다. 기업은행은 현재 200명 규모의 공채를 진행 중이며, 최근 2년간 한 명도 뽑지 않았던 인천공항도 20명 규모의 신입사원 선발을 하고 있다. 반면 25개 기관 중 조폐공사, 한국공항, 석탄공사 등 4곳은 올해도 공채 계획이 없다. 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선진화 계획에 따라 129개 기관에서 정원의 12.7%(2만 2000명)를 줄이면서 2012년까지 현원도 정원 내로 맞추도록 단계적으로 줄여야 하는 탓에 신규 채용이 사실상 어렵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정책진단] 중앙회장 권한 축소… 비리소지 차단

    “전국 각지에 있는 농협이 힘이 센지, 내가 힘이 센지 모르겠다.”(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 ,“농협 간부라는 사람들이 농민은 다 죽어가는데 정치한다고 왔다갔다하고 이권에나 개입하고 있다.”(2008년 이명박 대통령) ●직선회장 3명 모두 비리 연루 1988년 농협중앙회장 직선제 시행 이후 선출된 세 명의 전직 중앙회장 모두 비리 혐의로 사법 처리됐다.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비리나 방만 경영의 사례가 불거졌다. 문민정부 이후 역대 정권마다 농협개혁을 외친 까닭이다. 양상은 비슷했다. 중앙회장의 비리가 드러나고, 대통령이 질타하면, 중앙회는 반성하는 모양새를 취하고, 부처는 개혁안을 준비했다. 하지만 시작만 요란했지 마무리가 안 됐다. 지역조합 1183개, 조합원 244만명의 ‘공룡 조직’ 농협의 위상을 역설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2008년 말 이명박 대통령은 “농민을 위해 일해야 할 농협이 금융사업에서 몇조원씩 벌어 사고나 친다.”고 비난했다. 이른바 3단계(지배구조 개선-사업구조 개선-경제사업 활성화) 개혁의 시작이다. ●지배구조·사업구조·경제사업 활성화 개혁의 첫 라운드는 지난해 6월 공포된 농협법 개정안으로 일단락됐다. 뼈대는 중앙회장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등 지배구조 개편이다. 4년 임기를 유지하되 연임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선출도 총회에서 직접 뽑던 방식에서 대의원들의 간선제로 바꿨다. 선거에 들어가는 불필요한 비용과 논란을 없애기 위해서다. 중앙회 임원에 대한 인사추천권은 회장 손을 떠났다. 대신 이사회에 인사추천위원회를 신설해 각종 인사를 결정하도록 했다. 2단계는 현재 진행중인 ‘신(신용)·경(경제) 분리’, 즉 사업구조 개편이다. 전선이 다층적인 탓에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 내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와 금융위원회의 의견이 엇갈렸다. 농식품부와 농협 역시 첨예하게 맞섰다. 농협 내부에서도 중앙회와 조합의 이해가 엇갈렸다. 농민단체들도 다른 목소리를 냈다. 밥그릇을 걱정하는 보험업계도 저지에 나섰다. 진통 끝에 지난해 10월 농식품부가 입법예고안을 내놓았다. 농협보험을 설립하되 방카슈랑스 룰 적용을 10년 유예하기로 했다. 회원조합에는 금융대리점이 아닌 일반 보험대리점 지위를 부여해 방카슈랑스 룰 적용을 배제했다. ●방카슈랑스룰 유예기간 대립 하지만 보험업계가 “지나친 특혜”라며 들고 일어섰다. 부처간 이견이 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차관회의(12월3일)는 농협보험 부분을 빼놓고 법안을 처리했다. 농협보험 설립이 백지화됐다는 관측이 나돌았다. 그러나 12월15일 국무회의에서 방카슈랑스 룰을 5년 유예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대신 농협은행은 물론 회원조합에도 금융기관 보험대리점 지위를 부여하기로 했다. 또 입법예고일 현재 판매 중인 공제상품에 상응하는 상품만 팔 수 있도록 했다. 농협이 공제사업에서 보험업으로 전환하면서 새로 진출할 수 있게 된 자동차보험, 변액보험 등은 앞으로 허가를 받아야 하고, 퇴직연금보험은 5년이 지나고서 팔 수 있도록 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정책진단] 이낙연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

    이낙연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은 4일 서울신문과의 전화에서 “부족자본금 지원 방식과 지역조합 보험대리점의 지위를 제외한 쟁점들은 가닥이 잡혀 법안심사에 좋은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13~14일 법안심사소위 일정이 합의됐는데 4월 임시국회 통과 전망이 밝아진 것인가. -농협과 정부 사이에 협의가 진전됐기 때문에 법안 심사에 좋은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4월 국회에서 통과될지 전망을 말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정부와 농협만 있는 게 아니고 다른 부처와 (보험)업계 등이 얽혀 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쟁점사안 가운데 가장 풀기 어려운 것은. -부족자본금을 어떻게, 얼마나 지원할 것인지가 핵심이다. 지역조합을 전속대리점으로 할지, 아니면 금융대리점으로 할지의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세법 상의 특례 등 다른 이견들은 조율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두 쟁점의 이견이 워낙 크기 때문에 다른 사안들이 조율됐다고 해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힘들다. →일부에서는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미루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는데. -지방선거와는 관계없다. 농협법이 특별히 여야의 유·불리를 따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농협에서는 (농협법 개정작업을)신중하게 하기를 바라겠지만, 개혁을 바라는 일반 국민은 빨리 진행하길 원한다. 단지 법안에 대한 의견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내에서도 의견차가 있고 민주당, 민노당도 마찬가지다. →4월 국회에서 처리가 안 되면 자칫 하반기 원구성 이후 처음부터 논의를 다시 해야 한다는 우려도 있는데. -만일 그때까지 합의가 안 되면 어쩔 수 없다. 이제까지 우리 위원회에서 표결로, 다수결로 처리한 적이 없다. 합의가 최우선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요즘은 ‘10월의 신부’가 대세

    요즘은 ‘10월의 신부’가 대세

    ‘5월의 신부’는 옛말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결혼을 가장 많이 하는 달은 10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5~2009년) 평균 혼인 건수는 발생기준으로 10월이 3만 8397건으로 가장 많았다. 11월이 3만 7933건, ‘결혼의 달’ 5월이 3만 5677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한여름과 한겨울은 대체로 기피 대상이었다. 7월(1만 3820건), 8월(1만 4177건)과 2월(1만 9680건) 순으로 혼인 건수가 적었다.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10월의 혼인 건수가 7월의 2.7배에 달하는 등 월별 선호도는 분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패턴은 대체로 봄과 겨울에 몰리는 ‘U’자형을 그린다.”면서 “특히 그 해를 안 넘기려는 심리가 강해 10월과 11월에 더 몰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혼인 신고건수 기준으로는 12월(4만 273건), 11월(3만 5514건) 순으로 많았다. 이혼은 3월이 1만 1100건으로 가장 많고 9월에 9392건으로 가장 적었다. 다만 월별 편차는 혼인에 비해 크지 않았다. 지난 5년간 출생아 수는 총 228만 7465명으로 월평균 3만 8124명이었다. 1월이 평균 4만 3192명으로 가장 많았고 3월(4만 1258명), 10월(3만 9633명) 순이었다. 반면 12월(3만 4335명), 6월(3만 4894명), 7월(3만 6462명) 순으로 출생아 수가 적었다. 월평균 사망자 수는 2만 396명이었다. 겨울철인 1월(2만 2071명), 12월(2만 1568명)이 가장 많았다. 반면 6월(1만 9045명), 9월(1만 9190명), 7월(1만 9291명) 순으로 적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모닝브리핑] 중앙부처 정원 늘릴때 3년이내 일몰제 도입

    기획재정부는 중앙부처 등의 정원을 늘릴 때 일몰제 도입을 골자로 한 총액인건비 제도 개선지침을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총액인건비 제도는 각 기관이 해당 연도의 인건비 총액 범위에서 연가보상비 축소 등을 통해 인건비를 줄이고 여유 재원을 인력 증원이나 보수 운영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정부는 올해부터 자율적인 정원 증원은 계약직에 한정하기로 했다. 또 운영정원 증원이나 기구 신설에 대해서는 존속기간을 3년 이내로 하는 일몰제를 도입토록 했다. 조직·정원 운영에 관한 세부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성과목표를 제시하고 달성 여부에 대해 자체 평가를 실시하도록 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한국 실업률, 선진국보다 왜 낮을까요?

    통계청이 내놓는 고용통계가 ‘체감기온’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그동안 끊임없이 되풀이됐다. 실업률이 대표적이다. 선진국과 비교할 때 궁금증은 더하다. 우리나라의 1월 실업률이 4.8%인데 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8.7%, 선진 7개국(G7)은 8.3%, 유럽연합(EU)은 9.5%였다. 최근 국회 일자리특위에 제출된 통계청의 ‘고용통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은 이유는 산업구조의 차이와 인구·사회학적 구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우선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선진국보다 농림어업 및 자영업 비중이 월등히 높다.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은 전체의 7%, 자영업자는 24.3%에 달한다. 반면 미국은 농림어업 취업자가 1.5%, 자영업자는 7.0%에 불과하다. 일본 역시 각각 3.9%, 9.5%에 머물고 있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농한기에 다른 일자리를 찾기보다는 대기하는 경향이 강하며 자영업자도 취업자에서 이탈할 때 다른 일을 적극적으로 찾기보다는 비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 중 육아·가사·고령 혹은 취업준비 등으로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로 편입되는 경향이 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도 실업률이 선진국보다 낮게 나오는데 한몫을 하고 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7.2%에 달하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05년 9.1%, 2008년 10.3%, 2009년 10.7% 등 고령층 인구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다. 이와 함께 여성은 가사·육아 부담으로 경력이 단절되거나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년층은 기업의 경력자 선호와 구인·구직 간 부조화 등으로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는 숫자가 늘고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장바구니 물가 주춤

    장바구니 물가 주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에 머물렀다. 시장의 예상을 밑도는 안정적인 수준이다. 통계청은 1일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5.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상승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전년 같은 달보다 3.1%나 솟구쳐 불안감을 드리웠다. 2009년 4월 이후 9개월 만에 3%대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월에 2.7%로 떨어진 데 이어 한 달 만에 2%대 초반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로는 0.3% 올랐다. 지난해 11월 0.2% 상승한 이후 5개월째 상승세다. 하지만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 연속 전월대비 0.4% 올랐던 것을 고려하면 상승세가 꺾인 셈이다. 양동희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조사대상 489개 품목 중 211개 품목이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공업제품과 서비스 부문에서 과거보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졌고, 특히 서비스 부문은 상당히 안정된 수준에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연초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물가 조정이 일단락됐고 농산물 가격도 봄상품 출하가 시작되는 이달부터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본다.”면서 “이달에도 2%대의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0.6% 올랐다. 생선·채소·과실 등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3월보다 8.7%, 2월보다는 4.6% 올랐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150여개국에 특혜관세 부여 추진

    정부가 최빈국(最貧國) 등을 중심으로 150여개국에 대해 일반특혜관세(GSP) 혜택을 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GSP란 개발도상국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없애거나 세율을 낮추는 것을 말한다. 2000년 일본을 끝으로 GSP를 ‘받는 나라’의 처지에서 벗어난 우리나라가 10년 만에 ‘주는 나라’로 전환하는 것이다.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일 “우리가 수출 주도 경제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선진국에게서 받은 GSP 혜택이 큰 도움이 됐다.”면서 “주요 20개국(G20)의 회원이 되고 의장국까지 맡은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역할을 강화한다는 의미에서 개도국에 GSP 혜택을 주기로 했다.”고 말했다.GSP 제도는 1971년 유럽공동체(EC) 6개국에서 처음 도입했으며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 27개국 및 일본 등 37개국이 공여국으로서 이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87년 GSP 수혜 수출이 70억 1000만달러로 총수출의 15%에 이를 만큼 큰 이득을 봤다. 88년 EU, 89년 미국, 2000년 일본으로부터 GSP 수혜국에서 졸업했다. 현재 러시아로부터 GSP 수혜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경제적 의미보다는 정치적 성격이 짙다.정부는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10월쯤 GSP 대상 국가를 정할 방침이다. 시행령 개정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12월쯤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수혜국가는 150개국에 이를 전망이다. 유엔이 정한 49개 최빈국과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 지원 아래 개도국 간 무역 촉진을 위해 설립된 ‘개도국 간 특혜관세 혜택 부여원칙(GSTP)’ 회원국 44개국 등이 포함된다.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中 핫머니전쟁 파편 한국에?

    中 핫머니전쟁 파편 한국에?

    지난해 3월 이후 중국으로 유입된 핫머니는 사상 최고치인 약 3000억달러가 넘어섰다. 지난해 9월 이후 핫머니는 매달 평균 300억달러 이상씩 밀려들고 있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이 3월22일 외환검사회의에서 주요 핫머니 유입 통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방침을 밝힌 것도 이 때문이다. 31일 국제금융센터의 ‘중국, 핫머니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SAFE는 13개 주요 성(省)과 시(市)를 대상으로 상품·서비스 무역, 외국인 직접투자, 국제수지 거래 등을 주요 핫머니 유입통로로 지목하고 적발된 개인과 기업에 대해서는 관련법을 엄격하게 적용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지난해 11월 국외거주자의 중국 내 송금을 제한한 데 이어 금융위기 이후 두 번째로 실시하는 핫머니 규제다. 4월 안에 미국의 개도국에 대한 환율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위안화 절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불가론’을 폈던 인민은행 총재를 비롯한 중국 경제각료들이 위안화 절상 가능성을 암시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핫머니들이 기승을 부리는 형국이다. ●작년 9월이후 매달 300억弗씩 中 유입 지난해 3월부터 12개월 연속 주택가격이 상승했을 뿐 아니라 위안화 절상에 대한 기대심리가 퍼지면서 핫머니 유입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70개 주요도시의 주택가격이 빠른 경제회복과 유동성 급증에 힘입어 12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 2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10.7%나 뛰었다. 민간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위안화는 전년 동기 대비 22.4%나 상승했다. 원자바오 총리 등 최고위층이 잇따라 위안화 절상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지만, 시장에서는 기대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2월 2309억달러에 불과하던 외화대출이 12개월 연속 증가해 금년 2월 3986억달러를 기록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中진출 외국기업 거래조사 심해질 듯 앞으로도 규제는 지속될 전망이어서 중국에 진출하는 국내기업의 경영환경 악화 및 부동산시장 위축 등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당장 일차적인 영향은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받는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수석연구원은 “우리 기업들의 경상거래나 이전거래에 대한 조사, 은행이나 기업들에 대한 단기외채 규제가 심해질 것”이라면서 “중국 역시 올해 재정적자 규모가 최대치여서 세수확보를 위해서는 한국을 포함한 외국기업들이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당국이 암달러 시장과 인터넷을 통한 불법 환전에 대해 대대적 단속을 시작했다. 일반적인 상품·서비스 거래뿐만 아니라 개인과 법인을 포함한 외국인 직접투자(FDI), 국제수지교역과 역외자금 유입 등도 조사 대상이다. 우리기업들의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급속 유출땐 우리 금융시장 ‘홍역’ 또 이런 규제로 핫머니가 급격히 빠져나가면 자칫 우리 금융시장도 홍역을 앓을 수 있다. 이 수석연구원은 “핫머니가 중국에서 급격히 유출된다면 우리 금융시장도 급격한 외화 유출·입을 겪는 등 불똥이 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