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새로운 길’ 모색 사흘째, 김정은 표정 좋지 않아 ‘상황 엄중’
이른바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상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북한의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가 30일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0일자 노동신문은 전날 회의 내용을 약간은 전략적으로 모호하게 보도한 뒤 “전원회의는 계속된다”고 했다. 사실 사흘로 끝날지 나흘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김정일 시대에는 2010년 9월 28일 단 한 차례 개최됐고,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지난 4월까지 다섯 차례 모두 하루 일정이었다. 하지만 김일성 시대에도 대부분 하루 일정이었지만 1949년 12월에 나흘, 1950년 12월에 사흘, 1951년 11월과 이듬해 12월에 나흘씩, 1974년 2월에 사흘 개최됐다.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국가관리와 경제건설을 비롯하여 국가건설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을 전면적으로, 해부학적으로 분석했다는 표현이 나오는 것을 보면 어찌되었든 북한이 2020년을 대단히 엄중히 여기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일 테고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을 넘어 존망의 기점이 될 수도 있다고 인식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일부 국내 매체들이 “군수공업부문, 우리 무장력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는데 오늘 북한의 보도 내용의 기둥은 여전히 경제였다고 짚었다. 김정은 위원장이 “우리 혁명과 사회주의강국건설의 요구에 맞게 나라의 경제발전과 인민생활에서 결정적인 전환을 가져오기 위한 투쟁방향과 그 실천적 방도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기”했다고 전하면서 “나라의 경제사업체계와 질서를 합리적으로 정돈하고 강한 규률을 세울데 대하여서와 인민경제 주요공업부문들의 심중한 실태를 시급히 바로잡기 위한 과업들을 제기하시면서 나라의 자립경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실제적인 대책들을 강구할데 대하여 강조”했다고 보도한 데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새해 신년사도 자립경제, 대외자주, 국방자위를 3위일체로 삼으면서 발표 순서와 내용의 비중을 따져보면 결국 핵심은 경제개발 5개년전략을 마무리하는 자립경제이고 그 다음이 자주, 자위 순이라고 정리했다. 김동엽 교수는 “새로운 길이란 조선혁명발전(자력부흥, 자력번영)= 자력갱생을 바탕으로 한 경제총력집중노선(대내자립)+북미대화 틀을 벗어난 국제연대와 다자틀(대외자주)+핵무력의 질량적 강화와 선택적 재래식 억지력을 통한 강군화(국방자위)⇒ 사회주의부강조국 건설”이 신년사의 뼈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도 “약 45년 만에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며칠간 개최하는 것은 그만큼 현재의 대내외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동의했다. 당과 국가기관 간부들에게 “중중첩첩 겹쌓이는 가혹한 시련과 난관을” 어떻게 타개해나갈 것인지 방법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되게 됐다는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표정이 썩 밝지 않은 것도, 이틀째 회의에서 주로 경제에 대해 논의한 것도 바로 이 같은 상황의 엄중함을 반영한 것이다. 북한이 28일 공개한 전원회의장 사진의 시계가 오후 4시 36분을 가리키고 있고, 29일 공개한 사진의 시계도 오후 5시 5분을 가리키는 점을 볼 때 김 위원장이 아주 구체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고 ‘실제적인 대책들’을 제시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정 본부장은 봤다.
또 28일 전원회의에 김략겸 전략군사령관이 참석한 것으로 확인돼 29일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 강화 방침이 재확인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30일 전원회의에서는 주로 대남, 대미, 대중, 대러 정책 방향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하지만 북한이 30일 논의 결과를 올해 마지막날에 얼마나 구체적으로 공개할지 지켜보자고 주문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