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의 세계’ 교실엔 그늘…
|하마마쓰(일본 시즈오카현) 이춘규특파원|시멘트 블록과 슬레이트로 만든 엉성하기 짝이 없는 조회 공간과 체육시설, 좁아터진 교실, 낡아빠진 책상. 종이에 그려져 벽에 붙여진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국기 등등.
일본 중부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주택가의 허름한 2층 상가건물에 위치한 남미 외국인 학교 ‘기쁨의 세계’를 지난 21일 찾았다.100개에 이르는 일본의 남미계 외국인 학교 가운데 정식 인가를 받은 단 한 곳이라는 말을 듣고 찾아갔으나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허름한 상가 2층에 앙상한 블록·슬레이트
마쓰모토 마사미(42·여) 교장은 만나자마자 하소연부터 늘어놓는다.“할아버지의 나라가 야속하다. 중남미 출신 이민자 자녀들이 편안하게 배울 곳이 너무 적다.” 학생들은 남미에 이민간 일본인들의 2,3세들이다. 이들은 1990년대 스즈키나 혼다 등 이곳 연고지 기업들에서 일하기 위해 조국을 찾은 부모들과 함께 왔다. 현재 등록자만 3만 5000명. 미등록자도 1만명 정도다.
유치원부터 초중고 과정까지 배우는 학생들의 국적은 브라질 61명, 페루 43명, 아르헨티나 6명이다. 일본인 유치원생 1명도 외국어 공부에 열심이었다. 교사는 페루인 3명, 브라질인 5명 등 9명이며 일본어는 자원봉사 강사가 가르치고 있었다.
이들 학생은 원래 일본 공립학교에 다녔지만,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일본어 습득에 애를 먹었고, 이지메(왕따)도 많이 당해 거리를 방황하기 일쑤였다.
마쓰모토 교장은 “일본 어린이가 수업시간에 오락실이나 거리를 돌아다니면 이를 발견한 어른이 학교에 데려가도록 법률로 규정돼 있지만 외국 어린이는 그럴 의무가 없어 방치돼 사고,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페루 학부모들이 3년 전 힘을 모아 이 학교를 설립했다. 수업료, 급식비 등으로 한달에 4만 6000엔을 받았지만 학생 수가 적어 적자 투성이였다.
●“노동력 필요” 그나마 최근엔 ‘달래기´ 지원금
학비를 못 내 2년간 60여명이 그만 둘 정도여서 학비를 깎아주기도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지난해 폐교를 검토하자 혼다, 스즈키 등이 “남미계 노동력이 없으면 안 된다.”며 2000만엔을 기부해 숨통이 겨우 트였다. 같은해 12월 학교 인가를 받으면서 하마마쓰시가 연간 145만엔, 시즈오카현에서 300만엔을 보조하기 시작해 가뭄 끝에 단비가 됐다.
마쓰모토 교장은 “아이들에게 장래의 희망을 보여주고 싶다. 일본 사회에서 공생하며 이곳에서의 삶에 자신감을 갖게 해야 한다.”며 “이민 선진국처럼 일본 정부의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tae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