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하루새 600조원 ‘증발’
|워싱턴 이도운·도쿄 이춘규특파원|중국 상하이발(發) 주가 폭락이 미국의 뉴욕증시를 강타한 뒤 전세계 금융시장을 혼란 속으로 몰아넣었다. 미국의 금융 전문가들은 세계 금융시장의 혼란이 몇주간 계속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백악관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는 27일(현지시간) 장중 한때 546포인트나 빠지는 대폭락을 기록하면서 결국 416.02포인트,3.29% 하락한 1만 2216.24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가 장중 546포인트 떨어진 것은 2001년 9·11테러 이후 가장 큰 폭이다. 다우지수의 이날 마감 포인트는 2003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어 28일 개장된 한국과 일본, 홍콩, 호주, 싱가포르, 필리핀 등 아시아 시장에서도 주가는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일본 닛케이 평균지수는 한때 700포인트 이상 곤두박질치는 등 대폭락 장세를 연출했다. 낙폭이 장중에 700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2001년 9·11테러 이후 처음이다. 당시 종가의 하락폭은 682.85였다. 이날 종가 하락폭은 515.80포인트였다. 이에 따라 엔화도 이틀 전 1달러당 120엔대 후반에서 이날 한때 118엔대 초반까지 이틀 연속 가치가 급상승, 회복 중인 일본 경제의 악재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전날 대폭락하며 세계 증시에 파장을 불러일으켰던 상하이 증시는 28일 3.94% 오르며 진정기미를 보였고, 뉴욕증시도 개장 직후 소폭 반등과 하락을 오갔다. 영국 FTSE지수등 유럽증시도 하락폭을 줄여나갔다.
금융전문 통신인 블룸버그는 미 증시의 ‘검은 화요일’로 인해 시가총액 기준으로 하루만에 약 6000억달러(약 600조원)가 증발했다면서, 미 증시가 지난 한해 동안 불린 시장 규모가 일시에 사라진 셈이라고 분석했다.1조 7000억달러의 자금을 운용하는 바클레이즈 글로벌 인베스터스 관계자는 블룸버그 회견에서 “정말 무서운 투매”라고 경악하면서 ▲중국 당국이 증시 불법거래를 단속하겠다고 발표해 상하이 증시가 하루에 무려 8.8%나 빠진 상황에서 ▲이란 사태가 악화되는 등 악재들이 겹쳐 심리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특히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지난 26일 “6년간 지속된 미국 경제의 확장기가 마감되고 있다는 조짐들이 보인다.”면서 “미국이 이르면 연말쯤 침체에 빠져들지 모른다.”는 경고까지 터져나와 투자자들을 더욱 위축시켰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27일 증시 파동을 분석하면서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위상이 새삼 실감된 사건”이라고 보도했다. 증시 하락의 타격은 신흥시장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 터키의 경우 4.5%, 러시아는 3.3%, 브라질은 6.6%가 폭락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이번 파동이 하루 이틀에 끝날 것 같지 않다.”면서 “상황에 따라서는 몇주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을 전했다.
da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