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헌법 상처내기’ 위험수위
제54주년 제헌절인 17일에도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개헌론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일각에서는 현행 헌법에 대한 ‘상처내기’가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나라당은 제헌절 논평을 통해 현 단계에서의 개헌반대 입장을 분명하게한 반면,민주당은 명확한 입장을 유보했다.특히 민주당 정치개혁특위가 개헌공청회를 24일 강행키로 하는 등 개헌론은 ‘진행형’이다.자민련도 내각제개헌논의 개시를 촉구했다.
‘제왕적 대통령제’의 문제점을 해소한다는 명분에서 촉발된 개헌론은 그실현 여부를 떠나 대선정국의 불안정성을 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한나라당도 대선 이후를 전제로,현행 헌법의 개정 필요성 자체는 인정했다.
현재 개헌논의는 민주당에서 가장 활발하다.정균환(鄭均桓) 총무와 이인제(李仁濟) 전 고문,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 등이 개헌필요성을 제기해왔다.한광옥(韓光玉) 최고위원도 16일 개헌론에 가세했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 총재는 내각제가 지론이지만 민주당내 개헌세력이 거론하는 ‘분권적 대통령제’의 일환으로 이원집정부제도 수용할 수 있다며 적극적이다.한국미래연합 박근혜(朴槿惠),민국당 김윤환(金潤煥) 대표도 개헌 논의에 긍정적이다.
그러나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민주당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는 대선전 개헌에 분명히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전고문,김종필 총재,박근혜대표 등 ‘반창(反昌)-반노(反盧)’성향의 인사들이 주도하는 개헌론은 대선구도의 급변이 없으면 흐지부지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민주당 개헌공청회가 19일에서 24일로 연기되는 등 진통을 겪은 것도 개헌론의 약세를 보여준다.
8·8재보선에서 민주당이 완패,노 후보가 위기를 맞거나,‘정치권 9월 지각변동설’이 현실화돼 무소속 이한동(李漢東),정몽준(鄭夢準) 의원 등 제3세력 연합군의 이합집산 시에는 개헌론이 기폭제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회창,노무현 후보의 지지율이 정세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할 경우,수세에 몰린 후보측이 개헌론에 전격가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물론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여론의 흐름이다.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하에서 노태우(盧泰愚)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시대를 지내면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가 나타나 국가리더십의 위기를 초래하기도 했다.개헌 당위론의 근거다.이는 최소한 몇몇 후보의 개헌론 대선공약화의 토대가 될 것 같다.
이춘규기자 ta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