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이영준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텔레@STA79M마사지이력조사군포흥신소마사지이력조사군포흥신소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462
  • 정의선 “미래 모빌리티 개발 철학은 ‘인간 중심’”

    정의선 “미래 모빌리티 개발 철학은 ‘인간 중심’”

    “모빌리티 혁신이 인간 위한 게 아니면 무슨 소용”현대차그룹, ‘인간 중심 스마트시티 자문단’ 구성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미래 모빌리티 개발 철학은 ‘인간 중심’”이라고 밝혔다. 정 수석부회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MIF) 2019’ 기조연설에서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혁신적 모빌리티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도시와 모빌리티는 인간을 위해 개발되고 발전해 왔다. 그렇기에 현대차그룹은 넓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인간 중심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있다”면서 “도시와 모빌리티, 인간을 위한 통찰력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인간 중심 스마트시티 자문단’을 구성하고 인류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도전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측은 “자문단은 인간 중심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면 미래 도시가 어떻게 설계돼야 하는지를 각계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하며 답을 찾는 기구”라면서 “심리, 도시 및 건축, 디자인 및 공학, 교통 및 환경, 정치 등 각 분야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고 소개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또 “2050년 미래 도시의 정책과 구조 변화를 연구하는 ‘미래도시 프로젝트’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50 미래도시 프로젝트’는 각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 변화, 발전하게 될 미래 도시를 예측하는 공동 프로젝트다. 현대차 관계자는 “새로운 사업기회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개발 방향성을 제시할 지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정 수석부회장은 기조연설에서 “대학원에 다닌 1995년 이후 샌프란시스코의 가장 큰 변화는 모빌리티가 공유로 바뀌는 전환점을 제시했다는 점이지만, 차량 소유 개념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고 새로운 서비스가 기존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마이크로 스쿠터 등 역시 땅 위를 다니는 또 다른 모빌리티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정된 도로상황을 극복하기는 어렵다”면서 “새로운 모빌리티를 수용할 수 있는 도시계획이 함께 실현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포스코 포럼, 임원 250명 참석… 최정우 “소재 간 협업 통해 신사업 확보해야”

    포스코 포럼, 임원 250명 참석… 최정우 “소재 간 협업 통해 신사업 확보해야”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소재 간 협업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지난 5일부터 3일간 인천 송도 인재창조원에서 ‘100년 기업을 향해… 기업, 시민이 되다’라는 주제로 열린 포스코포럼에서 “국내외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고 있고, 경영 환경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포럼에는 그룹사 전 임원 250여명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생산 혁신과 고객에 대한 가치 혁신에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외부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가장 중요한 힘은 조직이 전략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고 모든 조직원이 이를 믿고 스스로 결정해 움직여 나가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현대모비스 ‘5대 전략’ 무장 중국시장 공략

    현대모비스 ‘5대 전략’ 무장 중국시장 공략

    자동차 부품 및 미래차 기술 업체인 현대모비스가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7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국제 수입박람회에서 조직 신설, 현지 조달 체계 구축 등을 담은 ‘2020년 5대 중국 현지 특화전략’을 발표했다. 본사의 개입을 최대한 줄이고 중국 현지 조직의 기능을 강화해 급변하는 중국 시장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취지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중국 완성차 업체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품질 향상에 나서면서 글로벌 종합 부품사에도 새로운 기회가 오고 있다는 판단 아래 이런 전략을 마련했다. 5대 전략은 ▲핵심 기술 현지 개발 ▲원가 경쟁력 강화 ▲현지 조달 체계 구축 ▲영업전략 세분화 ▲기술 홍보 강화 등이다. 핵심 부품 경쟁력을 확보하면 영업과 홍보가 강화되고, 이는 실질적인 수주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현대모비스의 구상이다. 현대모비스는 중국 현지 수주 금액이 2015년 1억 5000만 달러(약 1700억원)에서 지난해 7억 3000만 달러(약 8400억원)를 넘었고 올해 8억 달러(약 9200억원)를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현대모비스의 올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 핵심 부품 수주 목표액인 21억 달러(약 2조 4000억원)의 40%에 달한다. 현대모비스는 세계 15만개 업체의 바이어가 찾은 이번 국제 수입박람회에 처음으로 참가해 핵심 부품 26종을 전시했다. 담도굉 현대모비스 중국사업담당 부사장은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이 정체되면서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현지 맞춤형 핵심 부품 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조현준, 멕시코 대통령과 대규모 복지사업 논의

    조현준, 멕시코 대통령과 대규모 복지사업 논의

    조현준 효성 회장이 6일(현지시간) 멕시코시티 대통령궁에서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과 만나 대규모 복지 사업 등과 관련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7일 효성에 따르면 조 회장은 오브라도르 대통령에게 대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준 데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와 함께 향후 멕시코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앞서 효성의 계열사인 효성TNS는 멕시코의 대형 복지정책 ‘농촌(Rural) 현금자동입출금기(ATM) 프로젝트’에 필요한 ATM 8000대(2030억원 규모) 전량을 수주했다. 조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효성이 수익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차원을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멕시코 빈곤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 복지 전달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효성이 세계 최고의 ATM 기술력을 갖춘 만큼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자. 성공하면 다시 한번 만나자”고 화답했다. 조 회장은 면담 후 멕시코시티 복지센터를 방문해 효성TNS의 ATM을 점검하고 사용자들로부터 의견을 들었다. 이어 멕시코 정부의 핵심 각료들과도 만나 효성이 보유한 전력·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소개하고 멕시코 전력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효성이 멕시코에서 2개의 에어백 제조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한 뒤 지속적인 품질 개선을 통해 사업을 성장시키겠다는 뜻도 전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현대차, AR 내비+차량 화면 결제시스템 개발

    현대차, AR 내비+차량 화면 결제시스템 개발

    주유·주차료 결제 때 화면 터치로 OK 카카오톡 메시지 음성 전송도 가능해져현대자동차그룹은 차량 화면 결제 시스템과 증강현실(AR) 기반 내비게이션이 통합된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달 말 출시되는 제네시스 ‘GV80’에 처음으로 탑재된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차량 내 결제’는 주유소나 주차장에서 요금을 결제할 때 내비게이션 화면만 터치하면 해당 비용을 낼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결제 서비스 전용 스마트폰 앱에 차량과 결제 카드를 등록하면 결제 시 내비게이션 화면에 결제 안내창이 뜨고, 이를 터치하면 결제가 이뤄진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SK에너지·파킹클라우드 등 주유·주차 업체, 현대·신한·삼성·롯데·비씨·하나카드 등 6개 신용카드사와 제휴를 맺었다. 앞으로 패스트푸드점, 커피 전문점, 전기차 충전소로 제휴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R 내비게이션’은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실시간 도로 영상 위에 주행 경로를 표시해 안내하는 기능이다. 실제 도로 영상을 기반으로 방향을 안내하기 때문에 복잡한 교차로나 도로 진입·진출로에서 길을 찾는 것이 한층 수월해진다. ‘필기 인식’은 사람이 직접 쓴 글자와 숫자를 인식하는 기술로 목적지 검색 시 화면 키보드를 조작하지 않고 터치패드에 직접 글을 써서 찾을 수 있다. 이 밖에 음성인식 범위도 크게 확대된다. 지금까지는 전화 걸기, 실시간 경로 안내, 공조 시스템 작동 등만이 음성으로 가능했다. 여기에 운전 중 음성으로 카카오톡 메시지를 듣거나 보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창문과 트렁크를 열고 닫는 것도 음성명령만으로 할 수 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벤츠 ‘E클래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벤츠 ‘E클래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수입차 판매 1위인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국내 처음으로 등장했다. E클래스는 지난 7월 수입차 단일 모델로는 최초로 국내에서 판매 대수 10만대를 돌파한 인기 모델이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7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 ‘더 뉴 E 300e 익스클루시브’를 공식 출시했다. 더 뉴 E 300e에는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90㎾ 전기모터, 13.5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됐다. 1회 충전 시 전기의 힘만으로 최대 31㎞까지 주행할 수 있다. 전기 주행 모드로 낼 수 있는 최대속력은 시속 130㎞를 훌쩍 넘는다. 전기모터를 완전 충전하는 데는 1시간 45분이 걸린다.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211마력, 최대토크 35.7㎏·m, 전기모터는 최고출력 122마력, 최대토크 44.9㎏·m의 성능을 발휘한다. 복합연비는 전기 기준 2.5㎞/kWh, 가솔린 기준 10.3㎞/ℓ다. 가격은 7890만원.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아시아나 새 주인, 애경·현대산업 경쟁

    아시아나 새 주인, 애경·현대산업 경쟁

    양측 가격 2조 이상 써 내… 1~2주 내 윤곽 애경, 항공사 보유 장점… 한투증권 가세 현대산업개발 현금 자산 1.7조 최대 강점 KCGI는 대기업 확보 못해 인수 못할 듯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새 주인’ 후보가 가려졌다. 속내를 숨기고 있다가 막판에 뛰어든 깜짝 후보는 없었다. 본입찰 결과의 윤곽은 1~2주 뒤에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매각 주체인 금호산업과 매각 주관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은 7일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본입찰을 진행했다. 예상대로 지난 9월 예비입찰에 참여한 HDC현대산업개발·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 애경그룹·스톤브릿지캐피탈 컨소시엄, KCGI·뱅커스트릿 컨소시엄이 그대로 본입찰에 참여했다. 이 3개사는 구주·신주 매입 가격과 향후 투자 및 경영계획 등을 담은 서류를 제출했다. 금호산업은 앞으로 1~2주간 제한요건 충족 여부, 국토교통부의 인수 적격성 심사 등을 거쳐 이달 중으로 우선인수협상 대상자를 선정해 발표한다. 이어 다음달까지 주식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연내에 매각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번 매각은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회사를 ‘통매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절차는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구주 6868만 8063주(지분율 31.0%)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신주(보통주식)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초미의 관심사인 입찰가는 HDC현대산업개발과 애경그룹 측이 모두 2조원 이상을 써낸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 추산한 1조 5000억~2조원의 범위를 뛰어넘는 금액이다. 반드시 인수하겠다는 두 기업의 강한 의지가 ‘베팅액’을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로써 HDC현대산업개발과 애경그룹 간의 양강 구도가 굳어지는 분위기다.HDC현대산업개발은 현금성 자산만 1조 7000억원에 달할 정도로 재무구조가 탄탄하다는 것이 최대 강점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자기자본이 9조원이 넘는 증권업계 1위 회사다. 애경그룹은 본입찰 직후 “항공사 간 인수합병(M&A)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외 사례가 많다”며 제주항공을 보유한 애경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본입찰 직전 한국투자증권을 컨소시엄에 참여시키며 약점으로 지적된 자금력도 보완했다. 전략적투자자(SI)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KCGI는 막판에 한 중견기업을 SI로 확보하고 입찰에 참여했지만, 대기업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면서 인수 경쟁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국제선 노선 70여개를 보유한 국내 2위의 대형항공사(FSC)다. 9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떠안아야 하고, 노후 항공기 개선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는 점은 인수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LG화학, 대전 기술센터 오산에 이전 신축

    LG화학, 대전 기술센터 오산에 이전 신축

    LG화학은 총 1100억원을 투자해 대전 기술연구원 부지에 있던 테크(기술)센터를 이전해 경기 오산에 신축했다고 7일 밝혔다. LG화학 테크센터는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기술적 솔루션 지원과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으로 1995년 설립됐다. 이번에 신축된 오산 테크센터는 축구장 6개 크기인 약 4만 3000㎡에 5층 건물로 지어졌다. 센터에는 주요 연구동을 비롯해 60여개 특성화 실험·전시실이 갖춰졌다. 주요 제품별 전담 조직을 포함해 20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상주한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품은 벤츠 E클래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품은 벤츠 E클래스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90㎾ 전기모터 조합가솔린 엔진 최고출력 211마력, 최대토크 35.7㎏·m전기모터 최고출력 122마력, 최대토크 44.9㎏·m전기모드 주행거리 31㎞, 최대속력 130㎞/h 수입차 판매 1위인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E클래스가 가솔린·디젤 엔진 모델이 아닌 친환경차로 국내에 출시되는 건 처음이다. E클래스는 지난 7월 수입차 단일 모델로는 최초로 국내에서 판매 대수 10만대를 돌파한 인기 모델이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7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 ‘더 뉴 E 300e 익스클루시브’를 공식 출시했다. 더 뉴 E 300e에는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90㎾ 전기모터, 13.5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됐다. 1회 충전 시 전기의 힘만으로 최대 31㎞까지 주행할 수 있다. 전기 주행 모드로 낼 수 있는 최대속력은 시속 130㎞를 훌쩍 넘는다. 전기모터를 완전 충전하는 데는 1시간 45분이 걸린다.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211마력, 최대토크 35.7㎏·m, 전기모터는 최고출력 122마력, 최대토크 44.9㎏·m의 성능을 발휘한다. 변속기는 하이브리드 모델 전용으로 설계된 자동 9단 변속기가 장착됐다. 복합연비는 전기 기준 2.5㎞/kWh, 가솔린 기준 10.3㎞/ℓ다.주행 모드는 한층 더 정교해졌다. 운전자의 취향과 주행 조건에 따라 ‘Hybrid’(하이브리드), ‘E-Mode’(전기 모드), ‘E-Save’(전기 절약), ‘Charge’(충전) 등 4가지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모드에서는 회생제동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연료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E-Mode’는 전기 모터로만 주행하는 순수 전기 주행 모드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가솔린 엔진을 사용한다. ‘E-Save’는 가솔린 엔진으로만 주행하는 모드로 배터리의 충전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Charge’는 주행 또는 정차 중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모드로, 전기 모터는 사용할 수 없다.편의 사양 중에는 최대 3대의 휴대전화를 블루투스로 연결해 전화와 미디어 기능을 연동할 수 있는 ‘듀얼 전화 모드’ 기능이 눈길을 끈다. ‘메르세데스 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원격에서 시동을 걸거나, 공조장치를 미리 작동시킬 수 있다. 벤츠코리아는 ‘더 뉴 E 300e 익스클루시브’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8년 혹은 주행거리 16만㎞까지 보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판매 가격은 부가세를 포함해 7890만원이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페라리 첫 양산형 하이브리드카 ‘SF90 스트라달레’ 공개

    페라리 첫 양산형 하이브리드카 ‘SF90 스트라달레’ 공개

    780마력 8기통 터보 엔진과 220마력 전기모터 결합최고출력 1000마력… 판매가격은 4억원대 후반 예상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의 첫 양산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SF90 스트라달레’가 국내에서 첫선을 보였다. 페라리 공식 수입·판매원인 FMK는 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SF90 스트라달레’를 공개했다. 페라리의 레이싱팀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창립 90주년을 맞은 것을 기념해 ‘SF90’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SF90 스트라달레는 페라리의 8기통 모델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성능을 지닌 최상위 모델이다. 780마력의 8기통 터보 엔진과 220마력의 전기모터가 결합해 최고출력은 1000마력에 달한다. 최대토크는 81.6㎏·m다. 변속기는 신형 8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장착됐다. 1회 충전 시 순수 전기의 힘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25㎞다. 연비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SF90 스트라달레는 또 페라리 최초의 사륜구동 스포츠카이기도 하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에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2.5초, 시속 200㎞ 도달하는 최단 시간은 6.7초에 불과하다. SF90 스트라달레의 가격은 4억원대 후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페라리는 극강의 퍼포먼스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스탠다드 모델보다 30㎏ 가볍고, 성능이 강화된 스포츠 모델 ‘아세토 피오라노’ 버전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디터 넥텔 페라리 극동 및 중동지역 총괄 지사장은 “SF90 스트라달레는 페라리의 새로운 도약을 보여준다”면서 “최상의 퍼포먼스와 드라이빙의 즐거움, 그리고 진보적인 디자인을 모두 갖춘 이상적인 익스트림카를 원하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선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라이드온] 힘 좋고 잘생긴 BMW ‘X 패밀리’

    [라이드온] 힘 좋고 잘생긴 BMW ‘X 패밀리’

    섹시한 쿠페형 SUV ‘뉴 X4 20d’ 뚱뚱하지만 날쌘 ‘뉴 X5 M50d’ BMW의 숫자 시리즈가 세단이라면 ‘X 패밀리’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계열이다. 하지만 차량의 형태나 성능 등 모든 면에서 흔한 SUV로 분류되는 것을 거부한다. 대표적으로 중형인 ‘X4’는 스포츠액티비티쿠페(SAC), 준대형인 ‘X5’는 스포츠액티비티차(SAV)로 불리길 원한다. X4는 2014년 첫선을 보인 이후 전 세계에 약 20만대가 판매됐다. 4년 만인 지난해 2세대 뉴 X4로 진화했다. X5는 1999년 처음 등장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220만대 이상 판매된 인기 모델이다. BMW그룹코리아가 지난 1일 진행한 ‘BMW X 패밀리와 함께하는 캠핑 나잇’ 행사에서 ‘더 올 뉴 BMW X4 xDrive 20d M 스포츠패키지’와 ‘더 올 뉴 BMW X5 M50d’를 시승했다. 서울 용산구에서 출발해 경기 용인 백련사를 경유하는 코스를 주행했다.●뉴 X4 20d ‘뉴 X4 20d’의 외관은 일반적인 SUV의 뒷부분을 쿠페형 세단처럼 날렵하게 다듬은 모습이었다. ‘섹시하다’라는 표현이 떠올랐고, 뉴 X4 20d의 외관 디자인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단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국산 SUV 중에서는 유사한 모델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뉴 X4 20d의 디자인은 독창적이었다. 뉴 X4 20d는 4기통 트윈파워 터보 디젤 엔진이 장착됐는데도 디젤 특유의 소음은 전혀 나지 않았다. 가솔린 모델로 착각할 정도였다. 최고출력은 190마력, 최대토크는 40.8㎏·m였지만, 실제 주행 능력은 제원상 수치를 훌쩍 웃도는 것 같았다. 200마력, 50㎏·m 이상이라고 해도 고개가 끄덕여질 만한 강한 힘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경량화를 통해 이전 모델보다 50㎏ 더 가벼워진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BMW 관계자는 “뉴 X4 20d는 스포츠액티비티쿠페의 특성에 맞춰 체계적으로 향상된 섀시 기술과 BMW X3보다 낮은 무게중심을 통해 민첩성이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뉴 X4 20d에는 8단 스텝트로닉 자동 변속기와 지능형 사륜구동 시스템이 기본으로 탑재됐다. 복합연비는 11.5㎞/ℓ다. 차급은 중형으로 분류된다. 전장 4752㎜, 전폭 1918㎜, 전고 1621㎜, 축간거리(휠베이스) 2864㎜다. 판매 가격은 7220만원이다.●뉴 X5 M50d ‘뉴 X5 M50d’는 외모만 보면 워낙 덩치가 커 둔해 보였다. 차급은 준대형급으로 전장 4920㎜, 전폭 2005㎜, 전고 1745㎜, 휠베이스 2975㎜가 주는 위압감은 상당했다. 가속페달을 밟는 순간 뉴 X5 M50d의 진가가 발휘됐다. X4보다 덩치가 큰데도 움직임은 더 민첩하고 날렵했다. 마치 ‘날쌘 곰 한 마리’가 도로 위를 누비는 것 같았다. 가속 시 뿜어내는 힘은 국내 도로에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했다. 뉴 X5 M50d에 장착된 6기통 M 트윈파워 터보 디젤 엔진은 최고출력 400마력, 최대토크 77.5㎏·m라는 강한 힘을 발휘한다. 변속기는 8단 스텝트로닉 스포츠 자동 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됐다. 복합연비는 9.7㎞/ℓ다. BMW 관계자는 “4세대 뉴 X5는 강력한 엔진과 파워트레인을 기반으로 이전 세대보다 향상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고 소개했다.뉴 X5 M50d가 안정적인 주행감을 선사할 수 있는 것은 최적의 섀시와 에어 서스펜션 덕분이었다. 차체 높이를 최대 80㎜까지 위아래로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주행의 역동성을 보장하는 요소였다. 아울러 첨단 기능이 대거 탑재돼 주행의 안전성도 높아졌다.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기능’, ‘충돌 방지 알람 기능’ 등이다. 좁고 막다른 골목에 진입했을 때 자동으로 최대 50m까지 왔던 길을 되돌아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돕는 ‘리버싱 어시스턴트’도 탑재됐다. 판매 가격은 1억 3860만원이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BMW ‘뉴 X1’ 가솔린 모델 국내 출시

    BMW ‘뉴 X1’ 가솔린 모델 국내 출시

    ‘가솔린 SUV’에 대한 국내 높은 수요 반영최고출력 192마력, 최대토크 28.55㎏·m 2가지 트림 출시, 가격 4900만~5270만원 BMW의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X1’이 새롭게 돌아왔다. 2015년 출시된 2세대 X1의 부분변경 모델로, 가솔린 모델이 국내 출시 라인업에 포함됐다. BMW그룹코리아는 7일 “가솔린 SUV에 대한 국내 소비자 수요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뉴 X1 xDrive20i’는 디자인과 장비 옵션에 따라 ‘어드밴티지’와 ‘M 스포츠 패키지’ 2가지 트림으로 제공된다. ‘xDrive’는 BMW만의 인텔리전트 사륜구동 시스템을 뜻한다.뉴 X1의 전·후면 디자인은 이전 모델보다 더욱 날렵하고 세련된 모습으로 개선됐다. 전면 키드니 그릴의 크기는 더욱 커졌다. 안개등은 원형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바뀌었다. 인테리어 디자인은 더욱 고급스러워졌다. 앞좌석에는 요추 지지대가 포함된 전동식 컴포트 시트가 장착됐다. 뉴 X1 xDrive20i에는 4기통 트윈파워 터보 가솔린 엔진과 정밀한 8단 스텝트로닉 스포츠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 최고출력은 192마력, 최대토크는 28.55㎏·m다. 복합연비는 9.8㎞/ℓ다.첨단 안전 사양으로는 ‘크루즈 컨트롤’, ‘주차거리 알림 시스템’, ‘파킹 어시스턴트’ 등이 기본 탑재됐다. ‘M 스포츠 패키지’ 모델에는 손을 대지 않고 발동작만으로 트렁크를 열 수 있는 ‘컴포트 엑세스’ 기능이 적용됐다. 뉴 X1 xDrive20i 가격은 ‘어드밴티지’ 4900만원, ‘M 스포츠 패키지’가 5270만원이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아시아나항공 오늘 본입찰… 누가 품을까

    매각가 2조원 안팎… 제3의 기업 관심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본입찰이 7일 진행된다. 매각 주체는 금호산업, 매각 주관사는 크레디트스위스(CS) 증권이다. 매각가는 2조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속내를 감추고 예비인수 후보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제3의 기업이 인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유력 후보로는 HDC현대산업개발과 애경그룹이 꼽힌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미래에셋대우와, 애경그룹은 스톤브릿지캐피탈과 컨소시엄을 꾸리고 도전장을 냈다. 강성부 펀드 KCGI도 예비인수 후보에 이름을 올렸지만 대형 전략적 투자자를 구하지 못해 경쟁에서 멀어졌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가장 많은 실탄(자금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현금성 자산만 1조 70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부채가 7조원이 넘기 때문에 자금력은 이번 인수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항공사를 운영해 본 경험이 전혀 없다는 점은 감점 요인으로 꼽힌다. 애경그룹은 저비용항공사(LCC) 1위인 제주항공의 모회사라는 점에서 인수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제주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합쳐지면 보유 비행기가 160대에 이르고, 점유율도 국제선 45%, 국내선 48%로 확대된다. 그러면 애경그룹은 국내 1위 항공사를 보유한 거대 항공그룹으로 거듭나게 된다. 다만 제주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규모 면에서 차이가 나 일각에선 ‘새우가 고래를 삼키는 격’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내부에서도 제주항공에 인수되는 것에 대해 “자존심 상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찰될 가능성도 있다. 그럴 경우 채권단이 재매각을 추진하게 된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연말 뜨거운 준대형 SUV 대전… “주인공 나야 나”

    연말 뜨거운 준대형 SUV 대전… “주인공 나야 나”

    수입 SUV 판매 1위… 올해 3연패 노려 제네시스 ‘GV80’ 하반기 최대 기대작 트래버스, 전장·축간거리 길어 실내 넓어 9월 출시 모하비, 월 2000대 안팎 팔려 현재 판매 1위 팰리세이드, 가격 큰 매력 연말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와 기아자동차 ‘모하비 더 마스터’, 한국지엠 쉐보레 ‘트래버스’가 일찌감치 링 위에 오른 가운데 포드 ‘올 뉴 익스플로러’가 도전장을 냈다. 제네시스 ‘GV80’도 출격 채비를 마치고 출시일만 기다리고 있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는 지난 5일 서울 서초구 한강 세빛섬에서 미디어 쇼케이스를 열고 9년 만에 완전 변경된 6세대 모델 ‘올 뉴 익스플로러’를 아시아 최초로 공개했다. 익스플로러는 2017~2018년 2년 연속 수입 SUV 판매 1위에 오른 모델로, 올해 3년 연속 1위를 노리고 있다. 올 뉴 익스플로러에는 2.3ℓ GTDI(가솔린)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 사륜구동 모델로 최고출력은 304마력, 최대토크는 42.9㎏·m다. 복합연비는 8.9㎞/ℓ로 기존 모델보다 1㎞/ℓ 향상됐다. 다만 판매 가격이 경쟁 차종 중에 가장 비싼 5990만원이라는 점은 약점으로 꼽힌다. 익스플로러와 가장 많이 비교되는 모델은 함께 미국에서 건너온 쉐보레 ‘트래버스’다. 트래버스에 장착된 3.6ℓ 6기통 직분사 가솔린 엔진은 익스플로러보다 용량이 더 크다. 이 때문에 복합연비는 8.3㎞/ℓ로 조금 낮지만, 최고출력은 314마력으로 10마력 더 강하다. 순간 가속력을 좌우하는 최대토크는 36.8㎏·m로 익스플로러보다 다소 약한 편이다. 트래버스는 전장과 축간거리가 경쟁 차종 중에 가장 길다. 따라서 실내가 가장 넓은 모델을 찾는 고객에게는 트래버스가 좋은 선택지일 수 있다. 가격은 4520만~5522만원으로 익스플로러보다 500만~1200만원가량 저렴하다. 기아차 모하비는 지난 9월 부분변경 모델 출시 이후 월 판매량이 100~200대 수준에서 2000대 안팎으로 껑충 뛰었다. 모하비 더 마스터는 차체 하부를 단단한 프레임이 지지하는 ‘프레임 보디’를 채택하고 있다. 차체와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된 ‘모노코크’ 방식으로 제작된 다른 모델보다 더 무겁고 튼튼하다. 이 때문에 가솔린 엔진보다 연비가 뛰어난 3.0ℓ 6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가격은 4700만~5253만원으로 트래버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대차 ‘팰리세이드’는 현재 준대형 SUV 시장에서 단연 판매 1위 모델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월 5000~6000대씩 팔렸고, 하반기에는 월 3000대 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판매 가격을 3000만원대까지 내리면서 준대형 SUV의 대중화를 이끈 모델이다. 가솔린·디젤 두 가지 엔진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하반기 최대 기대작으로 꼽히는 제네시스 ‘GV80’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12월 초에는 출시된다. 프리미엄 SUV를 표방하는 만큼 최대 관심사는 가격대다. 6000만원대 후반에서 8000만원대 초반 사이에 형성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엔진은 2.5ℓ 가솔린 터보, 3.0ℓ 디젤, 3.5ℓ 가솔린 터보 등 고출력 엔진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현대오일뱅크, 베트남에 석유제품 수출 터미널 구축

    현대오일뱅크, 베트남에 석유제품 수출 터미널 구축

    현대오일뱅크가 베트남 호찌민 인근 바리어붕따우성에 20만 배럴 규모의 석유제품 터미널을 구축하고 동남아 지역 수출 확대에 나섰다. 국내 정유사가 베트남에 석유제품 저장 기지를 구축한 것은 처음이다. 이 석유제품 터미널은 베트남 최초의 민간 터미널로 외국인 사업자가 수입한 제품을 자유롭게 반입·반출할 수 있다. 특히 베트남의 경제 중심지인 호찌민과 80㎞ 거리에 있고 대형 유조선 접안이 자유로워 석유제품을 실어나르는 데 최적지로 꼽힌다. 현재 베트남의 석유제품 시장은 연평균 5% 이상 고속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정제시설이 충분하지 않아 전체 수요의 30%를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는 실정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앞으로 트레이딩사를 통한 간접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베트남 국영 및 민간 유통회사 등과의 적극적인 직거래를 통해 수출을 늘리고 수익 구조를 개선한다는 전략이다. 또 지리적인 이점을 활용해 정제시설이 부족하고 대형 항만시설이 없는 캄보디아와 라오스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베트남 석유제품 터미널을 통해 현재 300만 배럴 수준인 수출 물량을 내년에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더 뉴 그랜저’ 사전계약 첫날 대박… 1만 7294대로 역대 신기록

    ‘더 뉴 그랜저’ 사전계약 첫날 대박… 1만 7294대로 역대 신기록

    현대자동차 대표 준대형 세단 그랜저의 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그랜저’가 사전계약 첫날 역대 신기록을 수립하며 ‘대박’을 터트렸다. 5일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 4일 하루 동안 전국 영업점에서 더 뉴 그랜저 1만 7294대가 계약됐다. 2016년 11월 6세대 완전변경 그랜저가 출시될 때 기록한 첫날 사전계약 대수(1만 5973대)를 훌쩍 뛰어넘었다. 현대차 측은 “완전변경 모델이 아닌 부분변경 모델이 이런 기록을 세웠다는 것은 자동차산업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자평했다. 더 뉴 그랜저는 기존 모델보다 전장이 60㎜, 축간거리가 40㎜ 더 늘어나 내부 공간이 넓어졌다. 12.3인치 계기판과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됐다. 또 교차로에서 좌회전할 때 마주 오는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해 주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교차로 대향차’(FCA-JT) 기술이 최초로 적용됐다. 엔진은 ‘2.5 가솔린’, ‘3.3 가솔린’, ‘2.4 하이브리드’, ‘3.0 LPi’ 등 네 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판매 가격은 3294만~4539만원 범위에서 정해진다. 기존 모델의 가격 범위가 3086만~4270만원대였음을 고려하면 인상폭은 평균 300만원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일본차 10월 판매량 ‘부끄러운 회복세’

    일본차 10월 판매량 ‘부끄러운 회복세’

    일본 경제보복의 영향으로 바닥을 찍었던 일본차 판매량이 점차 늘고 있다. 일본차 불매운동의 동력이 떨어진 결과라는 관측과 함께 일본차 브랜드의 ‘폭탄세일’ 덕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10월 일본차 브랜드별 판매량이 9월과 비교해 대부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다는 9월 166대에서 10월 806대로 한 달 사이 385.5% 급상승했다. 인피니티는 48대에서 168대로 250.0% 치솟았다. 가장 적은 46대를 기록했던 닛산도 202.2% 늘어난 139대가 판매됐다. 도요타는 374대에서 408대로 9.1% 상승했다. 불매운동 속에서 가장 선전했던 렉서스는 판매량이 469대에서 456대로 2.8% 줄긴 했지만, 일본차 모델 가운데선 가장 높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 브랜드가 1000만원이 넘는 할인 이벤트에 나서자 고객들도 ‘이 기회에 일본차를 싸게 장만해 보자’는 생각으로 하나둘씩 구매 계약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혼다의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파일럿’은 최대 1500만원 할인 판매에 힘입어 10월 한 달 665대가 팔리면서 아우디 ‘Q7’과 메르세데스벤츠 ‘E 300’, ‘E 220d’에 이어 4위에 올랐다. 물론 1년 전 판매량과 비교하면 아직은 미미한 상황이다. 렉서스는 지난해 10월보다 77.0%, 도요타는 69.6%, 닛산은 65.7%, 혼다는 8.4% 줄었다. 인피니티는 12.0% 늘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돌아온 탐험가’… 포드 ‘올 뉴 익스플로러‘ 출시

    ‘돌아온 탐험가’… 포드 ‘올 뉴 익스플로러‘ 출시

    2.3ℓ GTDI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 조합최고출력 304마력, 최대토크 42.9㎏·m판매가격은 리미티트 모델 기준 5990만원 미국 포드의 준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익스플로러가 9년 만에 완전변경 6세대 모델 ‘올 뉴 익스플로러’로 돌아왔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는 5일 서울 서초구 한강 세빛섬에서 미디어 쇼케이스를 열고 올 뉴 익스플로러를 공식 출시했다. 북미 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공개됐으며, 아시아 시장에선 최초다. 올 뉴 익스플로러에는 2.3ℓ GTDI(가솔린)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 최고출력은 304마력, 최대토크는 42.9㎏·m다. 구동은 차세대 후륜구동을 기반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사륜구동’ 방식이 적용됐다. 온·오프로드 지형에 따라 주행 모드를 7개로 바꿔가며 달릴 수 있는 ‘지형 관리 시스템’(TMS)도 갖췄다. ‘보통’(Normal), ‘스포츠’(Sport), ‘산길’(Trail), ‘미끄러운 길’(Slippery), ‘친환경’(Eco), ‘깊은 눈·모래’(Deep Snow·Sand), ‘견인·끌기’(Tow·Haul) 등이다. 복합연비는 8.9㎞/ℓ로 기존 모델보다 1㎞/ℓ 향상됐다.전면과 앞좌석 측면에 어쿠스틱 글래스가 적용됐고, 엔진룸과 실내 공간을 나누는 벽이 ‘이중 대시보드’로 돼 있어 정숙성이 크게 개선됐다. 휠은 20인치 ‘핸드-폴리시드’ 알루미늄 휠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앞좌석을 제외한 총 적재 공간은 4324ℓ로 기존 모델보다 더 늘어났다. 8인치 터치스크린은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를 지원한다. 사운드 시스템은 ‘뱅앤드올룹슨’(B&O)의 고성능 프리미엄 스피커 12개가 장착됐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는 운전자가 발견하기 어려운 곳의 위험을 감지하는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BLIS), 운전자가 긴급상황에서 잠재적인 추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 ‘충돌 회피 조향 보조’(ESA), 그리고 자동 긴급 제동이 포함된 ‘충돌 방지 보조 시스템’(PCA)과 ‘차선 유지 시스템’(LKS) 등이 장착됐다. 이를 하나로 묶은 통합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바로 ‘코-파일럿 360 플러스’다. 새로 추가된 ‘레인 센터링’(LC)은 주행 시 차량이 차선 중앙에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으로, ‘인텔리전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IACC) 시스템이 활성화돼 있는 동안 작동한다.앞좌석 운전석 문 B필러에는 ‘시큐리코드 키패드’가 숨어 있다. 스마트키를 차 안에 두고도 5자리 비밀번호를 입력해 차 문을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는 장치다. 비밀번호를 알면 키가 없어도 문을 열 수 있다. 발로 차는 시늉만으로 트렁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도 갖췄다. 올 뉴 익스플로러 가격은 2.3ℓ 리미티트 모델 기준 5990만원이다. 2017~2018년 2년 연속 수입 SUV 판매 1위에 오른 익스플로러는 3년 연속 1위를 노리고 있다. 1990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전 세계에 약 800만대가 팔린 인기 모델로 국내에는 1996년에 처음 들어왔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현대로템, 국내 첫 동력분산식 열차 출고

    현대로템, 국내 첫 동력분산식 열차 출고

    가·감속 기능 월등… 더 많은 좌석 확보동력장치가 차량마다 배치된 고속열차가 국내 처음으로 나왔다. 현대로템은 4일 창원공장에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EMU-250’을 첫 출고했다고 밝혔다.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는 동력장치가 모든 차량의 아래쪽에 분산 배치된 차량이다. 열차의 맨 앞과 뒤쪽의 동력차에만 동력장치가 배치됐던 기존 ‘동력집중식’ 열차와는 차이가 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는 가속과 감속 성능이 뛰어나 곡선선로가 많고 역 간 거리가 짧은 국내 철도환경에 효율적”이라면서 “별도의 동력차 없이 모든 차량을 객실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도 더 많이 태울 수 있다”고 말했다. EMU-250은 최고속력 시속 260㎞에 6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좌석수는 편성당 381석이다. 10량 1편성인 KTX-산천보다 4량이 적지만 좌석은 18석 더 많다. 현대로템은 2016년 코레일로부터 EMU-250 114량을 수주했다. 납품은 내년에 완료된다. EMU-250은 경전선, 중앙선, 서해선, 중부내륙선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현대로템은 2012년 국책개발과제로 최고속력 시속 430㎞급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HEMU-430X’ 개발에 성공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 한화시스템, 방사청과 ‘천마’ 1300억대 PBL 사업 계약

    한화시스템은 지난 1일 방위사업청과 방공무기 ‘천마’의 탐지추적 장치에 대한 1300억원 규모의 ‘성과기반군수지원’(PBL)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PBL은 무기체계 개발 단계부터 생산 업체를 선정해 배치, 운영, 유지하는 업무를 해당 업체가 전담하는 제도다. 천마는 육군 장갑차에 탑재하는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2000년대 초반 탐지추적 장치의 국산화가 이뤄졌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최근 군은 PBL 도입을 확대하는 추세”라면서 “한화시스템은 방산 업계 최초의 운영 유지 전담 부서인 ‘MRO부’를 신설했다”고 소개했다. MRO부는 해군 함정전투체계에 대한 수명주기군수지원(LTS) 2차 사업, K계열 전차용 사격통제장비 PBL 사업 등 3000억원 규모의 MRO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