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이야기
    2025-09-23
    검색기록 지우기
  • 񡩾Ʊ׶ Ѿ -񡩾Ʊ׶ -pom5.kr-ʸ񡩾Ʊ׶󱸸 Visit our website:(xn--365-h98lu49at1jokm.com)
    2025-09-2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2,100
  • ‘이혼’ 홍진경 “다 맞춰주는 부부, 건강한 관계 아냐”

    ‘이혼’ 홍진경 “다 맞춰주는 부부, 건강한 관계 아냐”

    방송인 홍진경이 결혼 생활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이야기했다. 지난 4일 방송된 KBS2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에는 ‘조선의 4번 타자’로 불리는 전 야구선수 이대호와 개성 있는 목소리로 음원 순위를 점령한 ‘괴물 신인 가수’ 조째즈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대호는 이날 아내와의 결혼 생활을 언급하며 “우리는 둘 다 잔소리를 안 한다. 아내가 잔소리해도 ‘알겠어’라고 한다. 싸울 일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연애 때부터 그랬는데 결혼하고 더 심해졌다”며 “사실 (연애할 때) 예전에는 반기를 들기도 했다. 근데 결혼하고 나서 맞춰준다고 생각하니까 싸울 일이 없다”고 했다. 이에 홍진경은 진지한 표정으로 “마냥 맞춰주는 게 건강한 관계는 아니지 않느냐”고 물었고, 이대호는 “진짜 싫은 건 싫다고 한다. 그러면 아내도 두 번 세 번 말 안 한다”고 답했다. 한편 홍진경은 지난달 6일 결혼 22년 만에 이혼을 발표했다. 당시 홍진경은 “특별히 (남편과) 불화가 있던 건 아니다. 이혼 후 오히려 진정한 우정을 나누는 사이가 됐다”고 밝혔다.
  • “퍼펫 예술의 절정” ‘라이프 오브 파이’ 국내 초연…박정민·박강현 주연

    “퍼펫 예술의 절정” ‘라이프 오브 파이’ 국내 초연…박정민·박강현 주연

    캐나다 작가 얀 마텔의 소설 ‘파이 이야기’를 원작으로 한 공연 ‘라이프 오브 파이-라이브 온 스테이지’(Life of Pi-Live on Stage)가 12월 2일부터 서울 역삼동 GS아트센터에서 막을 올린다. 국내 초연의 파이 역에는 배우 박정민과 박강현이 낙점됐다. 2001년 출판된 ‘파이 이야기’는 화물선 사고로 구명보트로 태평양을 표류하게 된 소년 파이가 리처드 파커라는 이름의 뱅골호랑이와 227일간 벌인 생존기를 그렸다. 신학과 철학, 상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펼치는 이야기는 이듬해 맨부커상을 받았고 전 세계 40여개국에서 출판되며 1000만부 이상 판매됐다. 이안 감독의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2012)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감독상과 최우수 연출상 등 4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2021년에는 무대화해 영국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초연했다. 호랑이, 오랑우탄, 하이에나 등 다양한 동물을 본뜬 정교한 퍼펫과 실감 나는 망망대해를 표현한 무대 연출로 “숨이 멎을 만큼 아름답다”, “감탄만이 나오게 하는 경이로운 광경” 등 호평이 쏟아졌다. 2022년 영국 로렌스 올리비에 어워즈에서 우수 신작 연극상, 남우주연상 등 5개 부문에서 상을 거머쥐었다. 2023년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선보인 공연도 토니상 무대 디자인상 등 3관왕에 올랐다. 국내 초연은 오리지널 공연 무대를 그대로 제작하는 레플리카 방식이다. 영국 출신 배우 겸 각본가 로리타 차크라바티가 대본을, 미국 드라마데스크 어워즈를 수상한 연출가 맥스 웹스터가 연출을 맡았다. 지난해 8월부터 진행한 오디션 끝에 초연 캐스팅이 확정됐다. 에스앤코 측은 1500여명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오디션에서 최고의 역량을 지닌 27명의 주역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세상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는 호기심 많은 파이 역은 ‘변신의 귀재’ 박정민과 ‘뮤지컬 스타’ 박강현 배우가 열연한다. 이야기 속 등장 인물과 이야기 밖 청자로 흐름에 따라 변하는 조연 캐릭터는 30년 가까이 무대와 TV를 오가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배우들로 채워졌다. 동물원을 운영하며 가족의 안전을 위해 캐나다 이민을 결심하는 파이의 아버지는 서현철·황만익, 따뜻하면서도 강인함을 지닌 엄마와 간호사 등은 주아·송인성이 연기한다. 신동원 에스앤코 프로듀서는 “보석 같은 배우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 자체가 하나의 이야기가 될 가치가 있다”면서 “공연예술의 신선한 경험을 선사하고 한국에 새로운 장르가 탄생하는 역사적인 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노원구, 26일 불후의 명강에 “인생숙려캠프” 이호선 교수

    노원구, 26일 불후의 명강에 “인생숙려캠프” 이호선 교수

    서울 노원구가 소통전문가 이호선 교수를 초청해 올해 두 번째 불후의 명강을 연다고 5일 밝혔다. 불후의 명강은 인문, 건강, 과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명사를 초청해 시대적 문제와 개인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구의 대표적 평생교육 사업이다. 올해는 지난 6월 미술사학자 양정무 교수가 불후의 명강 첫 강연을 맡았다. 제2회 강연은 상담심리 전문가 이호선 교수가 이어간다. 이호선 교수는 숭실사이버대학교 기독교상담복지학과 교수이자 이혼숙려캠프 등 다양한 방송과 강연을 통해 대중과 활발히 소통해온 상담 전문가다. ‘이호선의 나이들수록: 관계편’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노년기 삶과 가족관계에 대한 인문적 통찰을 전해왔다. 오는 9월 26일 오후 7시, 노원구민의전당 대강당에서 진행되는 제2회 불후의 명강 주제는 ‘시대와 세대 속에 좋은 가족이 되는 기술’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과 오해, 단절을 넘어 공감과 회복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따뜻하고도 유쾌하게 풀어낼 예정이다. 강연에 참여를 원하는 구민은 오는 9월 8일부터 노원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접수하면 된다. 행사 당일 현장 접수도 가능하다. 온라인 접수는 500명, 현장 접수는 선착순 100명에 한해 입장할 수 있다. 좌석은 지정석 없이 자유좌석제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세대와 관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불후의 명강을 통해 구민이 공감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배움의 장을 계속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 용산구, 청렴 콘서트 ‘팬덤 오브 용산’ 열어

    용산구, 청렴 콘서트 ‘팬덤 오브 용산’ 열어

    서울 용산구가 지난 4일 용산아트홀에서 직원과 구민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민과 함께하는 2025년 용산구 청렴 콘서트 팬덤 오브 용산’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올해로 8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구민과 함께 소통하고 공감하며 청렴 문화를 일상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용산을 잘 알고 사랑하는 팬덤이 모여 청렴한 용산을 만들자’는 새로운 테마 아래 구청장이 들려주는 청렴 이야기, 음악 공연, 맞춤형 청렴 특강으로 구성됐다. 특히 뮤지컬 ‘팬텀 오브 오페라’의 강렬한 오프닝과 ‘노트르담 드 파리’의 대표곡 ‘대성당의 시대’를 ‘용산의 시대’로 개사한 공연이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청렴은 작은 행동에서 시작되기에 민원 한 건을 처리하더라도 공정하고 투명하게, 구민 한 분을 만나더라도 존중과 배려로 다가가겠다”며 “앞으로도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청렴 행정을 통해 신뢰받는 구정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서울 강서구의회, ‘2025년 청렴교육’ 실시… 투명·공정 의정활동 의지 다져

    서울 강서구의회, ‘2025년 청렴교육’ 실시… 투명·공정 의정활동 의지 다져

    사례 중심의 맞춤형 교육 통한 신뢰받는 의회 구현 다짐 서울 강서구의회는 지난 4일 의회 다목적실에서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구의원과 의회사무국장을 대상으로 청렴교육을 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강의는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청렴교육 전문강사이자 청렴공정연구센터 대표인 주양순 강사가 맡았다. ‘영상 속 청렴 이야기’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교육에서는 ▲청탁금지법 ▲지방의회 의원 행동강령 ▲갑질·직장 내 괴롭힘 방지 ▲이해충돌방지법 등 공직자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주요 규범과 사례가 다뤄졌으며, 지방의회 현실을 반영해 의원들의 눈높이에 맞춘 생생한 사례 중심으로 진행됐다. 특히 의원들은 의정활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 청탁, 금품 수수, 이해충돌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대응 방법을 학습하며, 갑질 행위 근절 및 투명하고 공정한 의정활동 실천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인사말에서 박성호 강서구의회 의장은 “청렴은 구민의 신뢰를 얻는 의회의 기본이자 출발점”이라며 “오늘 교육을 계기로 모든 의원이 청렴을 생활화하고 상호 존중하는 문화를 확산해 구민에게 떳떳한 의정활동을 이어가자”고 강조했다. 강서구의회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청렴교육을 통해 의원들의 공직윤리를 강화하고, 존중과 협력의 자세로 구민과의 신뢰를 더욱 굳건히 다져 나간다는 계획이다.
  • 동작 대표 빵집 16곳 모이는 ‘빵도동 축제’ 오는 19일 열린다

    동작 대표 빵집 16곳 모이는 ‘빵도동 축제’ 오는 19일 열린다

    서울 동작구가 오는 19일 구청 신청사 1층 일대에서 ‘2025 빵도동 축제’를 연다고 5일 밝혔다. 지역 청년들의 제안으로 기획된 이번 축제에는 상도동을 비롯한 관내 유명 베이커리 16곳이 참여해 대표 메뉴를 선보인다. 이날 축제는 오전 10시 숭실대학교 응원단 ‘위니’와 스트릿댄스팀 ‘발할라’의 식전 공연으로 막을 올린다. 이어지는 1부 기념식은 ▲청년 유공자 표창 ▲‘오늘을 즐기고 내일을 꿈꾸는 청년 희망도시 동작’ 비전 선포식 ▲참여 빵집 대표 메뉴로 만든 빵탑 커팅식 ▲창업기업 성공 사례 발표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2부 빵축제에서는 ▲동작구 16개 베이커리의 대표 메뉴 판매 ▲쿠키·풍선·키링 만들기 등 체험 부스 ▲마술·댄스·버스킹 등 공연 무대가 펼쳐진다. 현장 참여 프로그램인 ‘빵도동 골든벨’ 등과 인생네컷 부스 등 포토존도 마련된다. 구는 이번 축제가 빵을 매개로 한 전시·판매·체험·공연이 함께 어우러지는 주민 화합의 장으로, 청년과 지역 상권 모두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구는 오는 10일 노량진청년일자리센터 ‘청취력(청년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컨설턴트 특강’을 비롯해 16일 지역 교회 3개소(상도중앙·사당중앙·대천)와 함께하는 ‘청년 나눔 캠페인, 응원 도시락’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15일부터 21일까지 ‘청년정책 챌린지’ 이벤트도 연다. 구 공식 SNS를 통해 ‘내가 경험한 동작구 청년정책 이야기’를 공유한 참여자 중 100명에게 모바일 기프티콘을 제공한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청년들이 직접 제안하고 준비한 빵도동 축제가 주민 모두가 즐기는 우리 구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청년 희망도시 동작’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청년정책을 지속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3년간 국립심포니 이끈 지휘자의 마지막 인사

    3년간 국립심포니 이끈 지휘자의 마지막 인사

    열정이 깃든 침묵. 3년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국심)를 이끌었던 지휘자 다비드 라일란트(46)가 5일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한국을 떠난다. 국심의 예술감독으로서 라일란트는 한국 클래식 팬들의 열정과 침묵에 감동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연 라일란트는 “한국 관객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끊임없이 공연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하고, 지지하고 소통한다”며 “이런 열정은 유럽의 관객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소통 방식”이라고 했다. 또한 “한국 관객의 가장 인상적인 반응은 침묵이었다”면서 “한 악장이 끝나고 박수도, 아무것도 필요 없는 침묵만이 다가올 때 가장 강력한 영감을 경험했다”고 전했다. 6일 출국하는 라일란트는 2018년부터 맡고 있는 프랑스 메스 국립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스위스 로잔 신포니에타의 수석 객원지휘자로 음악인 생활을 이어간다. 라일란트는 벨기에 출신의 세계적인 지휘자다. “클래식 음악의 과거는 유럽에 있었지만, 미래는 여러분에게 있어요.” 유럽이 클래식 음악의 본산이라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 미래를 이끌어갈 힘은 한국에 있다고, 그는 내다봤다. 그는 “한국의 젊은 음악가들이 자기의 음악적 재능과 문화에 대한 존중, 호기심을 합쳐 ‘문화의 문화’를 만들어 낸다면 영원히 기억되는 음악적 성취를 세상에 남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음악가들에 대한 칭찬도 덧붙였다. 그는 “한국의 음악가들은 프랑스 등 유럽과 달리 자기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마음의 준비가 항상 돼 있다”며 “유럽의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공연 시작과 끝의 집중력이 현저히 다른데, 한국 단원들은 마지막까지 집중력을 유지한다”고 했다. 이어 “‘어떻게 해야 내가 더 빛날까’를 고민하는 개인적인 유럽의 단원들과는 달리 한국의 단원들은 ‘내 재능을 어떻게 전체 오케스트라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연습한다”고도 덧댔다. 5일 공연에서 라일란트와 국심은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무소륵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연주한다. ‘전람회의 그림’은 프랑스적이면서도 독일적인, 이중적인 감수성을 지닌 라일란트와 어울리는 곡이다. 그는 이런 말도 했다. “우리 모두 음악가이고, 각자의 영역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며 전체를 이뤄내는 협력자입니다. 그래서 모든 음악가는 평등하죠. 겸허히 살아야 하고요.”
  • “놀랐겠네”…도움 찾아 편의점 들어온 10살 아이 챙긴 알바생

    “놀랐겠네”…도움 찾아 편의점 들어온 10살 아이 챙긴 알바생

    대전에서 길을 잃은 한 아이가 편의점에 들어가 도움을 요청해 아르바이트생이 이 아이를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낸 사연이 뒤늦게 전해졌다. 지난 4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7월 12일 오후 7시쯤 대전 서구의 한 편의점에 A(10)군이 찾아왔다. A군은 당시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 근무를 하던 20대 B씨에게 “할머니, 누나랑 같이 가고 있었는데 길을 잃어버렸다. 도와달라”고 도움을 요청했다. B씨는 불안해하는 A군에게 가족 연락처를 물었고, 누나 번호를 기억하는 A군의 이야기를 듣고 A군 누나에게 연락했지만 받지 않았다. 이에 B씨는 A군 누나에게 문자로 상황을 설명하고, 경찰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A군을 안심시키기 위해 “먹고 싶은 거 있느냐”라고 물었고 이에 A군은 바나나우유를 골랐다. B씨는 A군에게 바나나우유를 사줬고, 경찰이 도착할 때까지 A군을 보호했다. 도착한 경찰이 심리적으로 위축된 A군을 달랬고, 이후 할머니와 연락이 닿아 A군을 무사히 인계했다. 해당 편의점은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된 점포였다. A씨는 평소 점주로부터 “편의점 근처에 학교도 있으니 평상시 아이들에게 잘해주고 위험에 처하거나 도움을 청하면 잘 달래주고 도와라”라는 지도받았다고 한다. 해당 편의점 점주는 “아르바이트생이 생각보다 침착하게 대응해줬다. 경찰의 아동안전지킴이집 지침대로 한 것 같다”고 했다. 경찰 관계자는 “아이의 학교와 학원 주변에 아동안전지킴이집 위치를 확인하고 숙지시킨다면 아이들이 위험에 처한 경우 즉각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이러한 사실을 꼭 기억해 달라”고 했다.
  • 이민정, ‘예수상’ 앞 명품가방 인증샷 논란…“충격과 상처”

    이민정, ‘예수상’ 앞 명품가방 인증샷 논란…“충격과 상처”

    배우 이민정이 남편 이병헌의 베니스 국제영화제 참석에 동행했다가 의도치 않은 논란에 휘말렸다. 이민정은 이병헌 주연의 영화 ‘어쩔수가없다’가 제82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자 남편을 따라 이탈리아 베니스로 향했다. 현지에서 이병헌과 함께 있는 모습이 포착됐고, 배우 손예진과도 시내를 함께 둘러보는 장면이 목격됐다. 논란은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에서 비롯됐다. 지난 1일 이민정은 성당 제단 앞 십자가 예수상을 배경으로 명품 가방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에 “신성한 공간에서 마치 화보처럼 사진을 찍은 것은 경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제단 위에 올라 포즈를 취한 점에서 “무례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네티즌들은 “천주교 신자들에게 이 사진은 큰 충격이고 상처다”, “신성한 장소에서 가방 간접 홍보용으로 포즈 잡는 건 좀 아닌 것 같다”, “제대에 올라 사진을 찍는 무례를 범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네티즌들은 “신자가 아니라서 그랬을 거라 본다”,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이민정은 게시물에 추가 글을 올리고 “이곳은 성당이 아니라 몇백년 전 성당이었던 벽을 다 살려서 호텔에서 사용하고 있는 행사장 겸 레스토랑”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전 기독교 신자이고 천주교 신자는 아니지만, 제단에 올라가서 사진을 찍은 게 불편함을 드렸다면 죄송하다. 앞으로 더 주의해서 살피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박찬욱 감독의 영화 ‘어쩔수가없다’는 제82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돼 지난달 29일 처음 공개됐다. 해외 주요 매체의 호평이 쏟아지면서 수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아울러 영화는 2026년 미국 아카데미영화상 국제장편부문 한국 대표작으로도 선정됐다. ‘어쩔수가없다’는 25년간 다닌 제지회사에서 하루 아침에 해고된 만수(이병헌 분)가 재취업을 하기 위해 경쟁자를 잇따라 살해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소설가 도널드 웨스트레이크의 1997년 동명 소설이 원작으로 이병헌, 손예진, 염혜란, 이성민, 차승원 등이 출연한다. 내달 17일 개막하는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국내에서도 처음 관객을 만난다. 국내 개봉은 내달 24일이다.
  • [길섶에서] ‘엄마폰’ 먼저 끄기

    [길섶에서] ‘엄마폰’ 먼저 끄기

    ‘옛날 어린이들은 호환·마마가 재앙, 요즘 어린이들은 불량·불법 비디오가 재앙.’ 1990년대 대여 비디오의 시작을 알리는 경고문이었다. 지금이라면 스마트폰이 아이들의 재앙이라고 걱정할 만하다. 아니나 다를까,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이 법으로 금지된다. 문득 한 선생님이 해 준 이야기가 떠올랐다. “폰이 문제냐고요? 그런 아이들도 있고, 스마트폰 덕에 친구들과 어울리는 아이들도….” 그러고 보니 아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인강도 듣고 수행평가 PPT도 만든다. 스마트폰을 가진 아이들이 없는 아이들보다 우울·불안이 적다는 해외 연구도 많다. “그런데 이건 예외 없이 맞아요.” 선생님의 다음 말에 깜짝 놀랐다. “엄마가 스마트폰만 보고 있으면 아이 정서는 망가져요.” 폰에 중독된 부모는 무표정하며 자녀와 대화하지 않고 반응하지도 않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넘쳐난다. 상반된 결과의 연구는 찾기 어렵다. 폰 중독 부모의 아이는 언어·정서 발달이나 행동에 문제를 보이기 쉽다. 어른들 마음속 호환·마마는 그대로 둔 채 아이들만 문제인 양 호들갑을 떠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홍희경 논설위원
  • 오해와 편견에 꿰맞춘 가면, 그 속에 살아가야 하는 이들

    오해와 편견에 꿰맞춘 가면, 그 속에 살아가야 하는 이들

    이민 2세대의 정체성 혼란 담아내다문화에 차별적인 현실 생생 묘사 서울 외곽의 한 해장국집. ‘진상’ 손님 하나가 이른 아침부터 가게를 뒤집어 놓고 있다. 소주 두 병에 국밥 한 뚝배기를 잘 먹고 나서는 공연히 생트집이다. 고기의 양이 적다느니, 가게 주인이 돈밖에 모른다느니 하면서 말이다. 어쩔 줄 몰라 하는 종업원은 이주민 여성이다. 어눌한 말투로 납득시키려 하지만 그럴수록 ‘진상’은 더 기세등등해진다. 주방에서 성격 괄괄한 한국인 여자 점주가 나오고, 종업원의 아들로 보이는 건장한 청년이 유창한 한국말로 대거리를 하자 ‘진상’은 추레한 몰골을 한 채 가게 밖으로 사라진다. “동남아 년 애새끼가 키만 커 가지고….” ‘뒤끝 작렬’도 잊지 않는다. 이런 손님이 드물지 않은 모양이다. 종업원과 여사장은 밥값 2만원 안 내려는 속내가 훤히 보이는 한국인 손님을 고수레하듯 서둘러 쫓아낸다. 사실 이주민 여성도 20여년을 한국에서 산 터라 한국말이 어눌하지 않다. 미국 주식에 투자할 여유도 있다. 하지만 이런 걸 드러내지는 않는다. 서민들이 주 고객인 식당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어서다. 청소년 소설 ‘캐리커처’의 도입부 장면이다. 도시에 사는 이들은 종종 잊지만 변두리와 지방은 이미 다문화 사회다. “히잡을 쓴 말레이시아 여자와 전공 책을 끼고 다니는 베트남 남자, ‘블럇 블럇’(러시아어 욕설)을 외치는 초등학생들”이 한국인과 함께 한국인으로 살아간다. 책은 이들 이민 2세대 청소년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차별, 소외 등의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 낸다. 저자 단요는 여태 펴낸 책 외에는 드러난 게 거의 없는 작가다. 그가 책에 자신을 설명한 글을 보면 작품과 비슷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건 분명한 듯하다. 도입부의 사달도 어쩌면 그가 직접 겪은 일일 수 있다. ‘동남아 년 애새끼’의 이름은 주현, 소설의 주인공이다. 어머니는 스리랑카 출신이지만 주현은 한국에서 태어난 한국인이다. 책은 고교생 주현이 다양한 인간관계를 경험하며 정체성을 고민하는 얼개로 이뤄졌다. 한국 사회에서 주현이 있을 자리는 어디일까, 앞으로 그는 어떤 가면을 쓰고 살아가게 될까.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설명하며 산다. 캐리커처처럼 어딘가를 과장하거나 축소해야 하고, 때로는 오해와 편견에 꿰맞춘 모습을 보여야 인정받는 이들도 있다. 이런 과정에 숙달된 이들이 ‘TCK’(Third Culture Kids, 1~18세 사이 성장기에 2개국 이상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자란 제3문화 아이들)다. 한국에서 줄곧 TCK로 살아온 작가는 편견을 깨부수자는 등의 도식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그저 우리 사회에 캐리커처를 갈아 끼우며 살아야 하는 이들이 있다는 이야기를 전할 뿐이다.
  • [훔치고 싶은 문장]

    [훔치고 싶은 문장]

    내가 없던 어느 밤에(이꽃님 지음, 우리학교) “불안함은 전염되는 감정이었다. 누군가를 향한 마음이 클수록 불안함도 더 커졌다. 가을은 표정만으로도 분위기를 편안하게 만들고, 묻지 않아도 먼저 말을 꺼내고 싶게 할 만큼 귀를 기울이는 아이였다. 하지만 어느 날부터 과하다 싶을 만큼 말이 많아졌고 과도하게 웃어 댔다. 어쩐지 자꾸만 겉도는 것처럼 보였다.” 청소년 문학의 결정적 이름이 된 밀리언셀러 이꽃님의 신작 장편소설. 문 닫은 한겨울의 놀이공원에서 일어난 기묘하고 아스라한 사건은 주인공인 세 아이가 각자 감춰 온 슬픔과 죄책감을 나누는 밤으로 이어진다. ‘내가 없던 어느 밤에’ 일어난 일을 비로소 마주한 이들은 마침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새로운 삶의 출발선 앞에 선다. 228쪽, 1만 4000원. 종말까지 다섯 걸음(장강명 지음, 문학동네) “어떤 질문에 대한 답은 너무 늦게 찾아와서 차라리 답을 끝내 모르는 것보다 못하다.” 소설가 장강명의 첫 짧은 소설집. 작가는 생각만으로도 아득해지는 세상의 끝과 그 이후를 상상하며 다채로운 이야기 스무 편을 써 내려간다. 사이언스픽션(SF)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드러내 왔던 그는 앞서 SF 소설집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을 펴낸 것에 이어 상상력의 알맹이들을 보다 압축적으로 보여 준다. 종말이 확정된 세계, 마지막 날을 기다리는 인류는 과연 어떤 모습으로 최후를 맞이할까.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돼 공포에 질린 채 살아가는 인류는 어떤 선택을 할까. 그의 짧은 소설은 즉각적인 재미를 선사한다. 212쪽, 1만 6000원. 천천히 다정하게(박웅현 지음, 인티앤) “살아가는 동안 자기 내면은 단단하게 다져 나가야 하겠지만 살아가면서 사람과 자연, 세상에 대해서는 ‘다정함’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 후에 생각해 보니 시를 읽는 데 필요한 태도와 살아가는 데 필요한 태도가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책은 도끼다’, ‘여덟 단어’ 등으로 독서의 새로운 길을 제시했던 박웅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이번에는 ‘시’로 돌아왔다. 독자들과 함께한 시 강독회의 기록을 엮은 것으로, 시를 분석하거나 설명하는 대신 ‘시 앞에 천천히 멈춰 서서 다정하게 다가가는 태도’를 담았다. 280쪽, 1만 9000원.
  • 포르노·폭력의 폭탄 세례…그 파괴적인 통쾌함

    포르노·폭력의 폭탄 세례…그 파괴적인 통쾌함

    반인반로봇과 해적의 사랑·혁명애커 특유의 파격적 문체로 풀어주류 백인 남성 이성애자 등 겨냥당대 美사회 의미심장하게 비판 표지에 빤히 ‘19세 미만 구독 불가’라고 적혀 있다. 하지만 만 19세를 넘긴 어른이라고 해도 이 책을 편하게 읽을 순 없을 것이다. 그로테스크와 포르노그래피, 조금 쉬운 말로는 폭력과 성행위를 향한 병적인 집착이 엿보인다. 읽는 내내 인상이 찌푸려졌지만 그렇다고 책을 덮을 순 없었다. 도착(倒錯)을 통한 전복(顚覆)이랄까. 규범적 질서를 파괴하는 통쾌함이 소설 곳곳에 깃들었다. ‘드디어’ 한국어로 옮겨진 캐시 애커(1947~1997)의 장편 ‘무의미의 제국’ 이야기다. “전쟁은 전쟁 그 자체로 만물이 탄생하는 게 아니라면 모든 탄생과 쾌락을 향한 희망이다. 부자에게 그리고 특히 빈자에게도. 전쟁이여, 우리의 섹슈얼리티를 비추는 거울이여.”(51쪽) 줄거리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다. 애커의 독특한 문체 탓이다. 역자 장한길에 따르면 애커는 이 소설에서 가독성이나 명료함, 생동감 등 ‘문학적인 언어’라고 생각되는 모든 걸 무너뜨린다. 그 자리를 욕설이나 그림, 동어반복, 헛소리로 채운다. 역사적 사건이나 다른 작가의 문장을 마구잡이로 짜깁기한다. 이야기가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는다. 대신 불순하고 더럽고 퇴폐적인 것이 떠오른다. 쾌적한 삶을 위해 우리가 저 멀리 치워 버린 것이 소설을 통해 귀환한다. 그리고 이런 질문으로 이어진다. ‘누구를 위한 쾌적함이었나.’ 애커의 글쓰기는 정상성을 독차지한 ‘백인 남성 이성애자’를 겨냥한다. 정치적인 반란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그의 소설은 주류에 저항하는 ‘펑크’(Punk) 문화의 정신과도 맞닿는다. “매번 너희 둘 중 한 명하고 얘기할 때마다 내 피부 표피층을 벗겨 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아직 생생해서 피가 도는, 까만색 갈색 빨간색 흉터 조직이 있는 피부층 말이야. 하나하나 벗겨 내서 너희 얼굴에 점점 많은 피가 튀게 말이야. 이게 여자인 내게 글쓰기가 가진 의미야.”(365쪽) 소설은 총 3부(‘아버지들의 세계를 위한 비가’·‘나 홀로’·‘해적의 밤’)로 구성됐다. 반은 로봇이고 반은 흑인인 사이보그 여성 업호르 그리고 해적 티바이가 사랑과 혁명을 도모하는 이야기다. 알제리인들이 프랑스 파리를 점령하는데, 그 혼란한 틈을 타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매음굴의 창녀들을 통해 인간의 기억을 조작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업호르는 상징적인 인물이다. ‘백인 남성’의 대척점에 있는 ‘흑인 여성’, 거기에 로봇과 결합한 경계의 존재다. 알제리인들이 파리를 장악하는 일은 또 어떤가. 서구 사상의 중심지인 파리가 아프리카 흑인들에게 지배당하다니. 현실과는 정반대의 세계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미국과 CIA는 곳곳에서 암약한다. 당대 미국 사회를 비판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데 지금도 의미심장하게 읽힌다. “미국은 죽은 국가다. 미국엔 꿈이 없다. 미국은 우리가 인간의 삶이라고 부르는 것을 모두 파괴하고 종교까지 대체해 버렸다. … 미국인의 삶의 모든 부분은 이제 죽음에 걸맞다.”(289쪽) 뉴욕에서 태어난 애커는 50세의 나이에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생전 파격적인 묘사로 논란을 일으켰으나 현재 그의 작품들은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정전으로 평가된다. 애커의 소설이 한국어로 번역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번역본 없이 영어 원문으로 알음알음 읽는 독자들이 많았다고 한다. 번역본 출간 즉시 입소문을 탄 책은 소셜미디어(SNS)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갈증에 메말랐던 독자들의 가슴속을 빠르게 파고드는 모양새다. “그리고 나는, 언젠가, 아마, 이 세상에는 아름다운 사회가, 역겨움만은 아닌 사회가 도래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395~396쪽) 소설의 마지막 문장이다. 유토피아를 기대하고 있지만 그의 파격적인 문장을 따라가던 독자로서는 살짝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거침없음’과 ‘횡설수설’이 교묘히 맞물린, 애커와 아주 잘 어울리는 문장을 인용한다. “죽은 나를, 아니면 나의 시체를, 바다에 던져 버려라. 그러면 모든 물고기가 누군가를 먹으러 외식할 수 있게 될 거다. 왜냐하면 날 먹어 치울 수 있으니까.”(386쪽)
  • “주민들과 직접 호흡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했죠”

    “주민들과 직접 호흡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했죠”

    지난달 28일 중앙대 100주년기념관에서 만난 서울시의 ‘대학생 동아리 사회기여 활동 지원 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은 하나같이 “동아리 활동의 의미가 달라졌다”고 입을 모았다. 단순한 자기 계발이나 재미로 하는 동아리 활동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성장을 체감했다는 것이다. 이날 연합 동아리인 ‘시그널’에서 활동 중인 홍상훈(24)씨는 “평소 영화와 예능을 만드는 데 집중한 동아리지만 이번엔 달랐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환자와 의료진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면서 병원 관계자에게 수많은 격려와 인사를 받았다”며 “작은 영상도 누군가에게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꼈다”고 말했다. 중앙대 ‘광고홍보전람회’는 지역과 상생하는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응답하라 동작’을 주제로 동작구의 과거와 미래를 인공지능(AI)으로 연결해 지역 주민과 공유하고 상권을 알리는 프로젝트다. 김준명(22)씨는 “주민과 직접 호흡하는 전시를 준비하면서 광고 홍보의 본질이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됐다”며 “이를 통해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다. 사회에 조금 더 기여할 수 있는 공기업에서 일하고 싶다는 마음까지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립대 사회복지학과 농구 동아리 ‘스윕’(SWEEP)은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경로당 어르신을 대상으로 농구 교실과 건강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세대를 잇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임래원(20)씨는  “이번 활동은 전공으로 배운 복지 내용을 직접 실천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말하며 활짝 웃었다. 같은 동아리의 강경빈(24)씨도 “매주 프로그램을 기다리는 아이들과 어르신들을 볼 때면 우리가 더욱더 큰 기쁨을 얻는다”며 “함께 살아가는 ‘상생’에 대해 배운 의미 있고 소중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 재능에 더한 ‘사회기여’… 114개 동아리, 캠퍼스 넘어 서울 밝혔다

    재능에 더한 ‘사회기여’… 114개 동아리, 캠퍼스 넘어 서울 밝혔다

    월남전 참전 유공자 사진 전시회AI 활용한 지역상권 홍보 등 활동市 “우수사례 공유 등 지속 추진” 캠퍼스를 벗어난 대학생들이 지역 주민 곁으로 한발 다가섰다. 서울시가 올해 처음으로 ‘대학생 동아리 사회기여 활동 지원 사업’에 나서면서 취미와 친목 중심이던 동아리 활동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으로 바뀌고 있다. 청년들은 지역 곳곳에서 전공과 재능을 살린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면서 조금씩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있다. 시는 서울 소재 대학교 소속 동아리 114개가 대학생 동아리 사회기여 활동 지원 사업에 참여해 활동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이 사업은 동아리 지원에 사회기여 활동을 더한 새로운 모델이다. 기존의 단순한 활동비 지원을 넘어 청년들이 지역사회를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난 3~4월 진행한 참여 동아리 모집 공모에 총 228개가 신청했고 심사를 거쳐 175개 동아리를 선정했다. 이들 동아리엔 최대 200만원(연합 동아리는 최대 50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한다. 시 관계자는 “아직 활동비 지원 절차 등을 밟는 곳이 있어 이달 기준 활동하는 곳은 175개 중 114개 동아리”라고 설명했다. 선정된 동아리들은 문화와 복지, 체육과 건강 등 여러 분야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분야별로는 문화 예술 동아리가 6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지 42개, 체육 15개, 건강 10개 등 순이다. 학술과 창업, 마케팅 등 기타 분야는 24개다. 지난 6월부터 시작된 이들 동아리의 활동은 오는 11월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참여한 청년들은 스스로도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 이화여대 동아리 ‘포토트레이스’는 월남전 참전 국가유공자와 주기적으로 만나 사진을 찍고 인생 이야기를 듣는 ‘민들레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사진 전시회를 열고 어르신을 초대해 주위를 훈훈하게 하기도 했다. 한양대 동아리 ‘고전음악회’는 지난 7월 청계천과 지난달 마로니에 공원에서 버스킹 공연을 열고 문화 예술을 알리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다음달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딩동딩동 실로폰 음악교실’ 등의 활동도 준비 중이다. 배화여대 동아리 ‘다울’과 ‘더푸드랩’은 각각 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으나 협업을 해 공동으로 사회기여 활동을 하기로 했다. 이들은 지난달 15일 디저트 세트를 만든 후 지역 아동복지시설인 ‘명진들꽃사랑마을’에 전달해 활동의 의미를 더했다. 시는 이번 사업이 단발성 지원에 그치지 않도록 활동 보고서와 중간 및 최종 점검을 거쳐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우수사례를 발굴해 다른 동아리와 공유하고 활동 인증서와 시장 표창 등 인센티브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학생 동아리 지원은 단순히 지원금을 주는 사업이 아니다. 청년들이 사회와 만나는 첫걸음이자 스스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기회의 장”이라며 “청년의 재능이 시민의 삶에 닿을 때 도시 전체가 더 따뜻해진다는 믿음으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책꽂이]

    [책꽂이]

    경성풍경(김상엽 지음, 혜화1117) 전통과 근대 문명이 한데 섞여 독특한 풍경을 만들어 내던 100년 전 경성에서 현재 서울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찾아볼 수 있을까. 미술사학자인 김상엽이 1930년대에 제작된 ‘경성정밀지도’(1933)와 ‘대경성부대관’(1936)이라는 2장의 대형 지도를 이용해 100년 전 경성 골목으로 이끈다. 기존 비슷한 책들은 전체 지도를 한두 장의 이미지로 보여 주는 데 그쳤지만, 이 책은 두 개의 지도를 해부하듯 구획별로 쪼개고 동네별로 나눈 뒤 최대한 확대해 보여 줌으로써 경성 시가지 골목길 구석구석까지 실감 나게 만날 수 있게 한다. 1080쪽, 10만원. 붉은 굶주림(앤 애플바움 지음, 함규진 옮김, 글항아리) 국토의 95%가 평지이고 85%는 경작할 수 있는 땅인 우크라이나는 그야말로 ‘유럽의 곡창 지대’다. 그런 곳에서 1932~ 1933년 유럽 역사상 최악의 기아 사태가 벌어졌다. ‘우크라이나 대기근’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민족 해방을 외치는 우크라이나를 굴복시키기 위해 소련의 악명 높은 독재자 스탈린이 인위적으로 일으킨 것이다. 저자는 우크라이나 대기근이 통치자가 자국민에게 식량을 무기로 휘두른 전쟁이었다고 단언한다. 스탈린과 측근들의 서신, 비밀경찰 보고서 등을 통해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보다 더 끔찍했던 인종 청소의 실체를 가감 없이 드러낸다. 816쪽, 4만 8000원.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최준영 지음, 교보문고) 국제 정세가 복잡하게 돌아가는 요즘 같은 때 사안의 이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지리’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저자는 경제·주택·에너지·인구·기후라는 다섯 개의 키워드로 전 세계 15개 지역을 ‘지리의 눈’으로 분석한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다는 오스트리아가 어떻게 주택 가격을 안정시켰는지, 동남아 최고 부국이었던 미얀마가 어떻게 몰락했는지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304쪽, 1만 8800원. 광합성 인간(린 피플스 지음, 김초원 옮김, 흐름출판) 도심의 밤 풍경을 화려하게 만드는 인공 조명은 인간은 물론 동식물들에게도 최악의 공해다. 도시에 사는 많은 사람은 밤마다 쉽게 잠들지 못하고, 아침마다 알람 소리에 겨우 일어나며, 피로를 떨쳐 내기 위해 하루 종일 커피에 의존한다. 저자는 기후변화로 인해 줄어드는 일조량과 인공 조명이 만드는 빛 공해가 인간의 생체 시계에 혼란을 줘 각종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개인적 해법을 제시한다. 496쪽, 2만 9000원.
  • 李 “노동 편향적? 전혀 아니다”

    李 “노동 편향적? 전혀 아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노동 편향적’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전혀 그렇게 생각 안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양대 노총 위원장과 만나 ‘노사 간 대화’를 강조하며 중립을 지키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적극 참여해 달라는 이 대통령의 요청에 위원장들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과 오찬을 함께했다. 대통령이 양대 노총 위원장을 만난 건 문재인 전 대통령 이후 약 5년 6개월 만이다. 이 대통령은 “요즘 제가 산업재해, 체불임금 등 이야기를 많이 했더니 저더러 너무 노동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데가 있는데 전혀 그렇게 생각 안 한다”며 “이 문제들은 목숨과 삶에 대한 것이지 친기업, 친노동으로 바라볼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히려 요새는 기업인들 접촉이나 간담회를 너무 많이 하면서 노동자 조직은 한 번도 안 봤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경사노위가 노총 입장에서 함께 앉는 것 자체가 불편할 정도로 무리하게 운영됐다는 것 아니냐”며 “그럼에도 대화는 해야 한다. 일단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도약하려면 사회 안전망 문제, 기업의 부담 문제,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 문제에 대해 터놓고 한 번쯤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중립적으로 객관적으로 잘해야 된다. 한쪽이 이용해 먹으려 하고 자꾸 누군가 뒤통수 때렸다는 느낌을 받게 하면 안 해 버린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노조법(노란봉투법) 개정으로 사용자 측이 너무 불리해진 것 아니냐는 걱정을 하던데 제가 보기에는 그럴 일 없다”며 “법원이 인정하는 것을 입법화한 것뿐이라고 (기업에) 열심히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과감한 주 4.5일제 시범사업 도입이 필요하다”며 “병원·은행 등에서 노사 간 자율 협약을 통해 즉시 시행하도록 정부가 독려해 달라”고 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정년 연장에 대해선 “주요한 국정과제이지만 한국노총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 유연하게 협의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위원장은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들도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도 예외 없이 노조할 권리가 튼튼히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재명 정부가 국민주권정부를 표방한 만큼 노동 주권도 보장됐으면 좋겠다”며 “기후위기와 불평등 노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면적인 노정 교섭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양대 노총에서 이날 내놓은 요구사항 등이 정부 차원에서 향후 검토될지 주목된다. 이 자리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동석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후 브리핑에서 “(경사노위 참여 요청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그저 노사가 만나고 정부가 만나 대화를 하자는 것이니 대화의 창구로 활용해 달라고 이야기했다”며 “그래서 긍정적 검토를 해 보겠다는 (위원장들의) 답을 어느 정도 들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후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통신사, 금융사의 해킹 사고를 언급하며 “보안 사고를 반복하는 기업들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을 포함한 강력한 대처가 이뤄지도록 관련 조치를 신속히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정체됐던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미일 순방 이후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이날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62%로 집계됐다. 직전인 2주 전 조사보다 5% 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류덕현 대통령실 재정기획보좌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국가 채무가 지나치게 늘어난다는 지적과 관련해 “1년에 감당하는 이자 지출이 어떻게 되느냐는 건데 충분히 우리가 감당할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또 세입 확충 방법에 대해 “제일 손쉬운 방법은 세율을 올리는 것이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지출 구조조정’을 언급했다.
  • 기후위기시대, 도심 속 가로수 공익적 가치를 재조명하다

    기후위기시대, 도심 속 가로수 공익적 가치를 재조명하다

    나무는 안식이고 숲은 치유다. 도심 속 쉼표같은 나무와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숲을 조명하는 자리가 제주에서 마련된다. 제주도가 기후위기 시대 가로수의 중요성을 논의하는 ‘제2회 나무포럼’을 오는 5일부터 6일까지 2일간 제주썬호텔, 한라생태숲에서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도시의 나무, 미래의 숲’ 주제로 도시 공간 속 가로수의 공익적 가치와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도심지 녹지 조성·관리방안을 도민, 전문가와 함께 논의하는 자리다. 제주도와 국민일보, 뉴시스 제주본부가 공동 주최하고,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제주)가 주관하며 산림청과 한국산지보전협회가 후원한다. 행사 첫날인 5일 오전 10시 개회식을 시작으로 제주썬호텔 대회의장에서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의 ‘도시 나무 이야기’ 기조강연과 4개 세션 전문가 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세션별 주제는 ▲가로수, 환경과 문화를 품다 ▲기후위기 시대, 가로수 관리 전략 ▲도시계획과 가로수 ▲시민과 함께 가꾸는 제주 가로수의 미래다. 또한 1부 행사장 로비에서는 애월고교 학생들이 가로수를 주제로 해서 그린 그림과 해외 도시 가로수 사진 등의 전시회도 함께 열린다. 둘째 날인 6일에는 한라생태숲 광장에서 가족 단위 등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운영한다. 참가자를 위해 제주국제대에서 셔틀차량을 운행한다. ‘식물치유 프로그램’에서는 허브 스머지스틱 만들기, 허브삽목 체험을 통해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곤충교실’에서는 제주지역에 서식하는 곤충을 관찰하고 생태적 특징을 배울 수 있으며, ‘가로수 보드게임’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알려준다. 도는 지난해 10월 ‘도시와 숲, 그리고 사람’을 주제로 생태·정원 전문가 및 도민 730명이 참여한 가운데 도시숲의 이해와 중요성, 정원 조성사례 및 주민참여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가로수가 도시 환경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후위기 시대에 지속가능한 도시녹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MC몽, 이다인 저격에 반격 “너처럼 가족 버리는 짓 하겠니”

    MC몽, 이다인 저격에 반격 “너처럼 가족 버리는 짓 하겠니”

    가수 겸 음악 프로듀서 MC몽이 배우 이다인의 공개 저격에 맞대응했다. MC몽은 4일 소셜미디어(SNS)에 “낄 데 껴. 일 년 전 사진을 올리든 내가 좋았던 사진을 올리든 너희가 더 미워지기 전에”라며 “너처럼 가족 버리는 짓을 하겠니?”라고 적었다. 앞서 MC몽은 가수 겸 배우 이승기·이다인 부부, 이다인의 언니인 배우 이유비, 차가원 피아크그룹 회장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다. 사진 공개 후 MC몽과 이승기·이다인 부부의 친분을 조명한 기사가 보도되자 이다인은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이다인은 SNS에 해당 기사를 캡처한 사진을 올리며 “1년도 넘은 사진을 굳이 지금 올리면서 시끄럽게 만드는 이유가 뭐지?”, “진짜 이해할 수 없다”고 적었다. 그는 사진 촬영 정보가 담긴 이미지도 함께 공개하며 사진이 지난해 7월 18일 찍힌 것임을 강조했다. MC몽은 과거 이승기와 KBS 2TV ‘1박2일’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지난달 MC몽은 차가원 피아크그룹 회장과 함께 설립한 기획사 원헌드레드를 떠나 유학을 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극도로 심한 우울증 그리고 한 번의 수술과 건강 악화로 음악을 하는 것이 힘들 정도였다”며 “뜬 소문처럼 떠도는 이야기는 집중할 필요 없다. 저는 제가 더 오래 음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려 한다”고 했다. 한편 배우 견미리의 딸이기도 한 이다인은 2023년 이승기와 결혼했다. 최근 이승기는 장인이 주가 조작 혐의로 재차 기소되자 “연을 끊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 K-Pop Demon Hunters, 奈飞历史上观看次数最多的作品

    K-Pop Demon Hunters, 奈飞历史上观看次数最多的作品

    奈飞电影《K-POP:猎魔女团》(以下简称《猎魔女团》)成为网飞平台上电影和剧集类别中观看次数最多的作品。 据3日奈飞官方网站Tudum报道,《猎魔女团》的累计观看次数已达2.66亿次,超过了之前所有电影和剧集,成为奈飞有史以来观看次数最多的内容。 在上周(8月25日至31日)期间,《猎魔女团》的观看次数持续增长,最终超越了《鱿鱼游戏 第一季》和《星期三 第一季》,登上了奈飞历史观看次数第一的宝座。 《猎魔女团》打破了奈飞及其他在线视频服务(OTT)在新冠疫情期间发布的作品的观看记录。 在电影类别中,《猎魔女团》也位居榜首。排名第二的是由道恩·强森和瑞安·雷诺兹主演的动作惊悚片《红色通缉令》(2021年,2.309亿次观看)。 奈飞通过比较作品发布后91天内的累计观看次数,来统计用户观看最多的电影和剧集。 由于《猎魔女团》的上映日期是6月20日,因此还有两周的时间来继续累积观看次数。除非在接下来的两周内出现超越《鱿鱼游戏》的现象级作品,否则《猎魔女团看》可能会在相当长一段时间内保持第一的位置。 在当地时间8月23日至24日,《猎魔女团》在美国的电影院进行了特别放映,观众们一起唱歌观影,奈飞也单独发布了《猎魔女团》的“sing-along”版本。 《猎魔女团》讲述了一个韩国流行音乐偶像组合“亨特里克丝”通过音乐和驱魔来保护世界的故事。该作品巧妙地融合了韩国流行音乐偶像和无宗教信仰等韩国元素,受到了广泛的好评。由于作品的人气高涨,其原声带《Golden》在美国公告牌百强单曲榜(Billboard Hot 100)上连续三周蝉联冠军。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케데헌’,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본 콘텐츠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모든 영화와 시리즈를 통틀어 역대 최다 시청 작품으로 등극했다. 지난 3일(현지 시간) 넷플릭스 공식 웹사이트 투둠(Tudum)에 따르면, ‘케데헌’의 누적 시청 시간은 2억 6600만 시간을 기록하며 기존의 모든 영화와 시리즈를 제치고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콘텐츠가 되었다. 지난주(8월 25일~31일)에도 꾸준히 시청 시간이 늘어난 ‘케데헌’은 ‘오징어 게임 시즌1’과 ‘웬즈데이 시즌1’을 최종적으로 뛰어넘으며 넷플릭스 역대 시청 순위 1위에 올랐다. ‘케데헌’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공개된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 작품들의 시청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다. 영화 부문에서도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다. 2위는 드웨인 존슨과 라이언 레이놀즈 주연의 액션 스릴러 영화 《레드 노티스》(2021년·2억 3090만 시간)다. 넷플릭스는 작품 공개 후 91일간의 누적 시청 시간을 비교해 가장 많이 본 영화와 시리즈 순위를 집계한다. ‘케데헌’은 지난 6월 20일 개봉해 아직 2주 정도의 집계 기간이 남아있다. 앞으로 2주 안에 ‘오징어 게임’을 능가하는 센세이셔널한 작품이 나오지 않는 한, ‘케데헌’은 한동안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킬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23일과 24일에는 미국 영화관에서 ‘헌터릭스’ 특별 상영이 진행되었으며, 관객들은 함께 노래를 부르며 영화를 관람했다. 넷플릭스 역시 ‘싱어롱(sing-along)’ 버전을 따로 출시했다. ‘케데헌’은 케이팝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가 음악으로 악령을 물리치고 세상을 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케이팝 아이돌과 무속 신앙 등 한국적인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해 큰 호평을 받았다. 작품의 높은 인기에 힘입어 OST ‘골든(Golden)’은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100’에서 3주 연속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