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이미지 통합작업 곧 결실
◎종교계 첫 시도… 로고·문장·전용색 개발/타종단·무속인 등 종단명칭 사용에 제동
대한불교 조계종은 21세기의 포교전략으로 종단의 문장(마크)과 서체(로고타입),전용색을 개발하는 등 CI(이미지통합)작업에 나섰다.
지금까지 특정 종교단체나 사찰,교회등에서 심볼,마크,로고타입 등을 만든적은 있지만 종단 전체를 대상으로한 본격적인 CI작업 추진은 종교계에서는 조계종이 처음이다.
조계종이 이같은 CI작업에 나선 것은 기업 및 사회단체 등에서 이 작업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다 3년전부터 초파일 ‘부처님오신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던 캐릭터 ‘아기부처님’과 ‘동자승’등이 불교계 안팎에서 호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불교계에선 지금까지 卍자나 연꽃,법륜 등을 불교의 상징으로 많이 사용해왔지만 불교계 다른 종단은 물론 무속이나 신흥종교까지 이용하고 있어 조계종단의 독특한 상징체계가 개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여기에는 상표등록을 통해 종단 미등록 사찰이 조계종 명칭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8월 발의된 CI계획안은 올해 예산안에 반영된 후 본격적으로 추진돼왔으며 이달 안으로 대상업체를 선정,10월초 시안을 만든 뒤 종단 내의 의견 수렴을 거쳐 11월에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 디자인 개발업체로 ‘부처님 오신 날’봉축행사 캐릭터를 개발했던 단이슬기획,동국대 100주년 기념사업과 BBS·btn 디자인 등을 맡았던 안그라픽스 등 4∼5개 업체가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장과 서체,전용색이 개발되면 사찰안내 표지와 현판,종단 깃발 등은 물론 각종 서식류와 포장지,신도카드,직원명찰,차량,배지 등에 다양하게 응용,사용할 방침이다.
CI작업 실무를 맡고있는 총무원 총무부 이상규 과장(부처님오신 날 봉축위원회 간사)은 “CI작업을 통해 ▲중앙 종무기관과 본·말사,승려와 신도간의 소속감 및 일체감 강화 ▲종무행정의 효율성과 종단의 지도력 강화 ▲타종단및 타종교와의 차별성 확보 ▲불교의 선진성 부각 등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내면서 “비불교인도 금방 불교를 떠올릴 수 있고 종단의 종지인 선(禪)불교적 성격과 미래상을 나타낼 수 있는 상징마크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