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이석우
    2025-10-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063
  • 北 조문사절단 4명 파견

    북한이 정주영(鄭周永)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서울 빈소에 조문사절단을 파견한다.북한의 조문단 방문은 분단이후 처음이다. 정부 당국자는 23일 “송호경(宋浩景)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을 대표로 하는 4명의 조문단이 24일 오전 특별기편으로 서해 직항로를 통해 입국,서울 청운동 빈소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문단은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조문 원본과 조화를 전달하고 이날 중으로 귀환한다.조문단 파견이 경색된남북관계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조문단은 송 단장과 강종훈 아·태평회위 서기장,리재상·리명일 아·태평화위 참사 등 4명이다.이들은 조문 외에남측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 등 다른 일정은 갖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은 조문단 파견 소식을 대한적십자사 판문점 연락관채널과 현대아산의 베이징(北京)사무소를 통해 각각 알려왔다. 앞서 김 국방위원장은 정 전 명예회장의 유가족에게 22일조전을 보냈다고 평양방송 등 북한 언론들이 23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정주영 선생의 유가족들에게’라고 시작한조전에서 “나는 북남 사이의 화해와 협력, 민족 대단결과통일 애국사업에 기여한 정주영 선생의 사망에 즈음하여현대그룹과 고인의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라고 밝혔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조전 발송에 이어 조문단 파견은 고인에 대한 애도를 표하기 위한 북측의 성의있는 조치”라면서 “남북 관계개선을 위해 몸소 노력을 다해온 고인의 숭고한 뜻에도 부합된다”고 말했다. 이날 평양 분향소에는 평양체육관을 현대와 공동으로 시공하고 있는 부흥총회사 김인식 총사장 등이 찾았으며,김용순 아·태평화위 위원장은 24일 조문하겠다고 전해왔다. 앞서 22일에는 아·태평화위 강종훈 서기장이 강광승 참사실장을 대동하고 금강산 분향소를 방문,분향하는 등 18명의 북한 인사가 조문을 했다. 중국 정부도 주한 중국대사 명의로 “리란칭(李嵐淸) 국무원 부총리는 정주영 전 명예회장의 별세 소식을 접하고무척 놀라고 슬퍼했습니다”는 내용의 애도문을 정몽구(鄭夢九) 현대·기아차 회장에게보냈다. 청운동 빈소에는 노태우(盧泰愚) 전 대통령과 손길승(孫吉丞)·최태원(崔泰源) SK회장,이건희(李健熙) 삼성회장과 이재용(李在鎔) 삼성전자 상무보,구상(具常) 시인이 다녀가는 등 조문행렬이이어졌다. 현대는 25일 오전 8시 청운동 자택에서 발인한 뒤 계동·광화문을 거쳐 중앙병원에 도착,병원 대운동장에서 영결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석우 주병철기자 swlee@
  • 北 조문사절단 파견/ 北조문단 일정·면면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에 대한 북한 조문단은 24일하루 6시간 가량 서울에 머문 뒤 돌아간다. 오전 10시 고려민항 전세기편으로 평양 순안공항을 출발,서해 직항로로 1시간 뒤인 11시 무렵 김포공항에 도착해일정을 시작한다. 북측이 오후 5시에 김포를 출발해 되돌아가겠다고 당국에알려온 것을 감안할 때 서울 체류시간은 대략 6시간이다. 빈소인 청운동 도착시간은 낮 12시에서 1시 사이.1시간 가량 빈소에 머무를 것으로 알려졌다.현대측은 이 때문에 이들이 빈소를 방문하는 낮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 다른 조문객은 일체 받지 않기로 했다. 현대측은 경호문제를 감안,조문단이 빈소방문을 마치면유족들과 이야기를 나눈뒤 점심을 먹고 서울의 한 호텔로이동,잠시 휴식을 취한 뒤 김포공항으로 이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빈소방문 외에 조문단의 다른 일정은 없다. 공항에서부터 조문단 영접은 아태평화위원회의 파트너로일해온 김윤규(金潤圭) 현대아산 사장이 맡는다.조문단은현대측이 마련한 VIP용 중형차량을 이용할 예정이다.북측이 23일 현대측에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보낸 조화 운반을위해 중형차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조문단 단장인 송호경 아태평화위 부위원장은 캄보디아대사,이탈리아 로마주재 유엔식량농업기구 대표,노동당국제부 부부장을 거친 외교관 출신의 대남전문가.오랫동안외무성 조국통일국에서 북·미회담,남북과 미국 등의 3자관계에 깊이 관여해온 것으로 알려져 왔다.현대의 대북 책임자격으로 정 전 명예회장이 지난 99년 9월 김 국방위원장을 면담할 때 배석했고,같은해 12월 현대와 아태위가 공동주최한 통일농구대회에 대표로 서울을 방문하기도 했다. 조문단으로 함께 서울에 올 강종훈 아태평화위 서기장은현대를 비롯한 대남기업들의 대북사업의 창구격인 인물.중국 베이징에 상주하다시피 드나들면서 대남사업을 조율해온 실무책임자다. 이석우기자
  • 정 명예회장 타계…북한 어떤 반응 보일까

    북한이 정주영(鄭周永)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타계에 어떤 반응을 보일까. 북한측은 ‘최고의 사업 동반자’였던 정 전 명예회장의사망에 5일장 기간 중 어떤 식으로든 조의를 표할 것으로보인다. 중국 베이징(北京)이나 금강산 현대사무소를 통한 아태평화위나 금강산총회사 명의의 조의문 또는 조화 전달 등이쉽게 예상된다. 북한은 그동안에도 병원·공장 건설 등 ‘고향사업’을해온 재외 대북 투자자들의 사망에 애도를 표해 왔다.문익환 목사,김양무 범민련 남측본부 상임부의장 등 남측 통일운동가들의 별세때에도 조의문을 전달하기도 했다. 현대아산 창립 기념식 등에 축전과 화환을 보내온 전례도 있다. 북한이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현대 대북사업에 보인 관심과 정 전 명예회장과의 세 차례 면담 등을 고려할때 김 위원장 명의의 조전 전달 가능성도 높지는 않지만가능성은 있다. 조문사절단 파견 여부도 주목된다. 5차 장관급회담 무산등 남북 당국간 대화가 사실상 기능 정지한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조문사절단이 내려오면 단장은 김용순 아태평화위 위원장이나 송호경 부위원장 등이 1순위다. 민간 협력을 강조하는 북측으로선 당국간 대화와는 별도행보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북측 모습을 선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크다. 북한 방송은 22일 현재까지 정 전 명예회장의 사망 사실을 보도하지 않았다.정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 방송이 보도한다해도 공과를 논하기 보다는 사실 보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석우기자 swlee@
  • 북한 IT산업 ‘인력은 첨단·인프라는 초보’

    북한의 정보산업은 ‘불균형 상태’다.인력은 뛰어난데 컴퓨터나 인터넷망 등 인프라는 초보 단계다.소프트웨어 개발면에서는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지만 하드웨어는 개발자체가 어렵다.하드웨어도 군사면에서는 뛰어나지만 민간부문에서는 초보단계다. 북한에서의 인터넷 사용은극히 제한돼 있다.정보의 공개·공유가 체제안정에 위협이되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인터넷을 쓸 수 있는 곳은 컴퓨터 산업의 중심지인 조선컴퓨터센터와 김일성종합대학 등에 국한된다.인터넷보급의 기본 전제인 통신망 부족도 심각하다. 컴퓨터 보급도 열악하다.지난 1월 방북했던 조현정(趙顯定) 비트컴퓨터 사장은 조선컴퓨터센터에서 펜티엄3급 컴퓨터는 전체 10%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북한에 있는 컴퓨터는 대략 10만대로 남한에서는 생산중단된 386·486 기종이 주종이다. 이는 컴퓨터의 북한반입이 수월치 않기 때문이다.현재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 북측의 요청으로 마련한 486급 컴퓨터 750여대가 지난 5월 이후 근 1년째 인천항 부두에 쌓여있다.486급 이상 컴퓨터의 대북반출은 금지돼 있기 때문이다.우리나라는 북한 이라크 등 분쟁우려국에 군사용으로 전용가능한 품목의 수출을 제한한 바세나르 협정에 가입돼 있다. 그나마 있는 고성능 컴퓨터는 군사분야에 우선적으로 사용된다.북한은 98년 ‘대포동1호’ 미사일을 개발했고 이어인공위성 ‘광명성 1호’의 발사에 성공했다.궤도를 조정하고 유도전파를 수집·해독하는 등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북한이 컴퓨터 장비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감안하면 기술자립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80년대 말부터 평양을비롯한 각 도·시·군에 세워진 특수학교인 제1고등중학교(중·고등학교)에서 4학년부터 컴퓨터를 가르치고 있다.남한의 과학고에 해당하는 이 학교 학생들은 90년부터 시작된‘전국 프로그램 경연 및 전시회’에서 각종 상을 휩쓸고있다. 김일성대학에는 98년부터 컴퓨터과학대학을 신설했다. 수학을 강조하는 교육 분위기로 북한 인력의 알고리듬(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가능케하는 기반 수학지식)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일반적으로 IT분야는 인력 유동성이 높지만북한은 체제 특성상 안정된 수급구조를 갖고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인력 외에도 소프트웨어의 우수성도 널리 알려졌다. 바둑프로그램인 ‘은별’이 세계 컴퓨터바둑대회에서 4년연속 우승하는 등 북한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각종 해외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입상경력을 갖고 있다.특히 무선 인터넷 게임과 3D 애니메이션에 뛰어난 기술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IT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더욱 점쳐지는 것은 김정일국방위원장의 특별한 관심 등 북한 내부의 ‘IT가 아니면안된다’는 강한 의지 때문이다.남북이 평양정보과학기술대학의 설립에 합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IT산업의 발전은 정보의 공유가 생명이다. 북한이 체제유지라는 틀 안에서 정보공유를 얼마만큼 허용할지가 앞으로 발전을 가늠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전경하기자 lark3@. *국내 소개된 북한SW. 정보산업 분야 중 북한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소프트웨어는 국내에서도 만날 수 있다. 국내에 들어온 소프트웨어로는 조선컴퓨터센터가 개발한바둑·장기게임 프로그램인 ‘류경바둑’과 ‘류경장기’,금강산·묘향산·평양 시내 등을 소개하는 ‘천하제일강산’,악보 편집 프로그램 ‘은방울’ 등이 있다.이달 중 들어오는 조선말 한의학자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기초로 한 한방 프로그램 ‘금빛 말(Golden Horse)’은 환자 체질에 따라 병을 진단하고 처방을 내릴 수 있다. 조선컴퓨터센터가 삼성전자와 소프트웨어 공동개발에 대한 협력 협정을 체결했고 북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도늘고 있어 추가 반입이 기대된다. 국내에 들어오지는 않았지만 북한에서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 중에는 워드프로세서 ‘창덕’,바둑프로그램 ‘은바둑’,윈도95 한글처리 프로그램 ‘단군’ 등을 꼽을 수 있다.특히 ‘은바둑’은 지난 98·99년 ‘세계바둑프로그램대회’에서 2연패하는 저력을 과시하기도 했다.‘창덕’이개발한 글씨체는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에서 쓰고 있는 옥류체로 남한의 궁서체와 비슷하다. 홍원상기자 wshong@. *남북 정보산업협력 어디까지. ‘소프트웨어 개발’은 남북 정보산업협력에서 선두주자로달음질하고 있다. 제3국에 공동개발센터를 설립하는가 하면소프트웨어 수입과 개발 수주 등도 이뤄지고 있다. 조현정 비트컴퓨터사장,문광승 하나비즈닷컴 사장 등 국내정보산업 벤처기업인들도 올들어 무더기 방북, 북한내 정보산업 특구설치와 합작사 설립 등을 타진하고 있다. 국내 기술진이 북한을 방문,정보인력을 교육시킨 뒤 일을맡기는 경우도 늘고 있다.개성공단 등에 50만평 규모의 전자복합단지를 추진중인 삼성전자는 지난해 3월 북한의 조선컴퓨터센터(KCC)와 베이징(北京)에 ‘소프트웨어 공동협력개발센터’를 연 상태.문서요약,문자 인식 분야 소프트웨어를 개발중이다. 삼성은 북한내에 소프트웨어 개발센터를 설치한다는 계획아래 베이징 공동협력 개발센터의 인력을 늘려나가겠다는입장.삼성은 워드프로세서 ‘훈민정음’을 토대로 남북 공용워드프로세서 개발을 추진중이다.올해초부터 ‘류경 바둑’,‘조선 료리’ 등 북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수입해 시판하고 있다. 사이버 경영전문벤처기업인 엔트랙은 올 7월까지 애니메이션 전문가 100명을,연말까지는 멀티게임 전문가 250명을 교육시키는 등 내년말까지 3,000명 규모의 북한 IT전문인력을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엔트랙은 앞서 지난해 10월 북한의 광명성총회사와 다차원 애니메이션과 소프트웨어 임가공 합의서를 체결한 상태다. 하나비즈닷컴도 지난달 중국 단둥에 프로그램 공동개발사업을 위한 북측과 합작회사 설립 계약을 마쳤다. 국내 소프트웨어 벤처회사의 한 임원은 21일 “북한의 소프트웨어 제작수준은 국내에 버금가며 시스템통합(SI),게임분야에선 전문인력의 수준에서 앞선 측면도 있다”면서 “앞으로 협력사업이 더욱 봇물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석우기자 swlee@.
  • [다가오는 시베리아](1)TSR 최남단 역 하산

    극동 러시아가 한반도를 향해 달려오고 있다.남북철도와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연결사업도 관심속에 진행되고있다.대한매일 특별취재팀은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성큼 다가서고 있는 극동 러시아의 전진기지인 블라디보스토크,하산,나홋카,하바로프스크 등의 변화하는 모습과 경제협력 가능성 등을 취재,시리즈로 싣는다. [하산(러시아) 이석우특파원] 서울의 3월은 봄기운이 완연하지만 극동 러시아 하산은 아직도 영하를 오르내린다. 두터운 외투와 털모자 ‘샤프카’를 벗지 못했지만 하산사람들도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경의선 연결,연해주 항만개발에 대한 기대로 생기가 넘쳐 있다. 하산역은 경원선 철도가 러시아에 닿는 첫 장소.북한 두만강역을 떠난 열차가 두만강 철교를 거쳐 이곳에 오는 데는 10분 남짓 걸린다.러시아 국경을 넘어서면 철로 오른편으로 ‘소·중 우호의 집’이 눈에 들어온다.1982년 김일성 주석이 쉬어간 곳을 기념관으로 보존,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태도를 읽게 한다. ‘우호의 집’ 동쪽 1㎞ 지점엔 북한접경에서 중국국경으로 갈리는 표지석이 보인다.세 나라 국경이 맞닿는 지점이다.하산은 북한과 17㎞,중국과 235㎞의 국경을 맞대고 있고 국경을 따라 2∼3m 높이의 이중 철조망이 늘어서 있다. 한때 중·러의 첨예한 대립의 현장이던 이곳은 교류활기속에 중국과 북한에서 러시아로 넘어오는 불법이주자를 막아내는 검문소 역할을 할 뿐이다. 경원선이 이어지면 서울을 떠난 열차는 이곳을 지나 우수리스크∼하바로프스크를 거쳐 시베리아와 모스크바로 통하게 된다.지금도 평양에서 출발한 모스크바행 열차는 열흘에 한차례씩 지나 다닌다.화·금요일 두차례씩 두만강역을오가는 열차도 운행된다.알렉세이 콤코프 하산역 부역장은 “블라디보스토크 등 연해주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을 수송한다”고 말하면서 “머지않아 서울발 열차들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웃었다. 평양발 객차는 하산역을 거쳐 우수리스크에서 TSR과 연결돼 모스크바로 향한다.북한에서 들어오는 차량은 바퀴의궤가 달라 하산역에서 기중기로 객차를 들어올려 바퀴를바꿔단다.이곳을 지나는 물량은 연간150만t.80년대말 500만t에 비해 북한 경제난으로 위축된 상태다.콤코프 부역장은 “트랙터 등 기계설비 원유 등이 북으로 수송되고 철재간장 등이 들어온다”고 말했다.멜리니첸코 A 이바노비치하산군 군수는 “하산과 블라디보스토크 간의 철도에 광케이블을 부설,한반도종단철도와 TSR 연결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빠르면 올해,늦어도 내년 중순까지 북한당국의구체적인 행동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두 나라 접경이란 이점을 이용,하산을 러시아·중국·북한과 한국·일본을 잇는 국경무역의 메카로 육성하겠다는게 러시아의 계획.한국·일본발 화물들은 하산지역의 자루비노,포시에트항구로 들어오고 있다.하산의 중심지 크라스키노시는 중·러 보따리 무역의 중심지다.훈춘까지 21㎞. 러시아 수산물,중국 농산물·소비재가 보따리상을 통해 교환된다.크라스키노 중국호텔에서 만난 조선족 이춘화씨(43·중국 옌지)는 “러시아 수산물을 중국에 파는데 많이 남는 장사라 조선족과 북한상인들도 많이 꼬인다”고 말했다. 속초를 떠난 동춘항운의 백두산 관광객들이 자루비노항에도착한 뒤 훈춘으로 가기전에 지나는 곳도 크라스키노다. 훈춘까지 민간 자본이 투입된 철도도 완성단계고 크라스키노∼하산역간 도로의 3분의 1 가량인 25㎞도 포장돼 한반도와 일본 투자가들을 유혹한다. 블라디미르 스테그니 러시아 연해주 부지사는 “블라디보스토크가 금융·유통중심지,나홋카가 공업·물류기지라면하산은 레저·무역·교통의 중심지로 키워갈 것”이라며“중국의 동북 3성지역과 하나의 경제권으로 보고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하산 당국은 경원선이 TSR과 연결되면 지역발전의 전기가 될 것이라며 포시에트,자루비노 등주변 항구들의 정비작업을 벌이고 있다.그러나 이 지역이‘극동의 암스테르담’이 되기 위해선 도로포장,전화·전기시설 등 사회기반시설 확충이란 숙제를 안고 있다. swlee@
  • 최고인민회의 새달 5일 개막

    다음달 5일 평양에서 열리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0기 4차 회의는 북한이 그동안 천명해온 ‘신사고’와 개혁개방정책 등 변화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특히 개성공단 및 관광특구 지정을 위한 법령제정과 외국자본 유치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여부가 주목된다.지난 1998년 10기 1차 회의에서는 개인소유 허용범위 확대 등을 위한 헌법수정이 이뤄졌다. 개혁개방 추진을 위한 신진 경제관료의 등용과 세대교체 가능성 등 인사개편도 점쳐진다.연형묵(延亨默)자강도 당 책임비서의 총리 기용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투자보장·이중과세방지 등 경협제도화를 위한 남북합의에대한 비준과 4차경제개발 7개년계획의 채택 여부도 관심거리다.3차 경제개발계획은 96년 끝났지만 경제난으로 새로운 경제계획이 시행되지 못했다. 정부 당국자는 16일 “경제관리권이 당에서 내각으로 이동하고 있고 독립채산제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면서“경제개혁을 제도화하기 위한 시도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또 김정일 시대의 본격 진입을 위한 준비도 이뤄질 것으로전망했다. 98년 9월에 열린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는 주석제를 폐지하고 김정일을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했으며 정무원을내각으로 개편하는 등 ‘김정일체제’를 공식 선언한 바 있다.이번 회의에서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참석이 유력시된다. 국회격인 최고인민회의에서는 법령의 승인·채택,국가기구개편 및 주요인사 선출,예산 결산 및 승인 등을 다룬다. 이석우기자 swlee@
  • 분단사상 첫 남북 서신교환

    남북한은 15일 판문점에서 적십자 연락관 접촉을 갖고 분단사상 처음으로 이산가족들의 서신 300통씩 600통을 교환했다. 북측이 남으로 보낸 서신 300통 가운데는 국군포로 손윤모씨(68·함남)가 동생 손상모씨(65·경남 사천) 등 가족에게보낸 편지가 들어있다. 김민하(金玟河)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의 형 김성하씨(75·함남 단천시)가 김 부의장과 어머니박명란씨(100)에게 편지도 있다. 남측에서 서신을 보낸 이산가족중 최고령자는 1차 생사·주소 확인대상자였던 107세의 허언년 할머니(경기도 화성군)로 남포시에 사는 아들 윤창섭씨(70)에게 남측 가족의 소식과 사진을 보냈다.이후덕씨(77·서울 노원구 중계2동)는69년 피랍된 대한항공 여승무원인 딸 성경희씨(55)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날 일부 이산가족들은 대한적십자사에 나와 직접 편지를 받아갔으며, 나머지는 16일 남측 가족에게 우편으로 발송된다.문의 (02)3705-3705이석우 전경하기자 swlee@
  • 현대·北 금강산 협상 이르면 내주중 재개

    금강산 관광대가 지불유예를 둘러싼 현대와 북한간의 협상이 이르면 다음주 중에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 고위 관계자는 15일 “금강산관광대가 문제를 협의하자는 현대측의 제의에 북한측이 최근 ‘만나자’고 통보해왔다”면서 “시기를 놓고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아산 김윤규(金潤圭)사장과 김고중(金高中)부사장은이날 박재규(朴在圭) 통일부장관을 방문,금강산관광 사업에대한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그러나 박 장관은 정·경분리원칙을 내세워 난색을 표했다. 이석우 주병철기자 swlee@
  • 남북관계 해법 현재론 ‘시간이 藥’

    정부가 남북관계 해법을 놓고 고민 중이다.뾰족한 묘수가없기 때문이다.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15일 “시간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고심을 보여준다.북측 입장이확실히 드러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관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장관급회담이 무산된 지난 13일 북측에 바로 전달된 박재규(朴在圭) 통일부장관 명의의 ‘회담재개 촉구 서한’에대한 북측의 즉각적인 반응도 기대하지 않는다는 표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2주 정도는 걸리지 않겠느냐”며 조기 회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내다봤다.“회담이 4월 이후로 넘어가는 등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실정이다. 남북관계를 당국간 차원에서 총괄적으로 조율하는 장관급회담이 ‘기능정지 상태’에 빠졌지만 아직 처방을 내리기에는 ‘증상파악’이 미흡하다는 입장이다.게다가 국내외적인 ‘남북 화해분위기’의 악화로 북측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제적·인도적 지원 수단의 활용도 예전보다 수월치 않은 상황이다.금강산관광의 회생 당위성에도 불구,박재규 장관이 15일통일부를 찾아 금강산관광의 지원요청을 한 김윤규(金潤圭)사장 등 현대아산 관계자들에게 ‘정부 불개입원칙’을 표시한 것도 정부의 좁은 입지를 상징한다. 14일 북한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도장관급회담 불참 배경 등 북측 의도 파악에 도움될 만한 소식을 들고 오지 못해 당국자들의 답답함을 더했다는 후문이다.대부분의 합의 내용도 원칙적 수준에 그쳐 “부담만 안게 됐다”는 반응도 있다. 15일 안보관련 장관급 협의체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도 별다른 해법 없이 ‘당분간 관망’한다는처방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장관급 회담의 무산은 남북관계의 순조로운 진전에 일단 제동을 건 것이지만 재촉한다고 문제가 풀리는 것도 아닌 만큼 북측 입장과 사정을 파악할 때까지 서두르지 않고 지켜보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석우기자 swlee@
  • 남북 체육·문화사업 합의/ 남북 체육·문화사업 합의 배경

    남북한은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의 방북기간동안 세계 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구성 등 체육·문화 관광분야의 합의를 이뤄냄으로써 교류협력사업을 계속 진행시켜 나갈 것임을 확인했다.이같은 결정은 지난 13일 북한의 일방적인 불참통보로 5차 장관급회담이 무산,무기연기된 가운데 나온것으로 남북한의 교류협력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이어져 나갈것임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무게를 갖는다. 이는 군사·정치 분야의 대화가 중단상태에 있는 것과는대조적으로 북측의 선별적인 교류협력 확대 의지로 받아들여진다.민감한 사안은 뒤로 미루고 선전효과가 높고 체제안정에 비교적 영향이 적은 분야부터 추진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최근 북한 언론매체들이 ‘모기장이론’을 강조하면서 자본주의 물결의 유입을 경계,선별적인 교류의지를 보이는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북측이 장관급회담을무산시키면서도 생사확인 대상자 300명씩의 서신을 판문점을 통해 예정대로 15일 교환하자는 입장을 14일 밝힌 것도이와 맥을 같이 한다. 북한이 최대 현안인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의식,징검다리격인 대남관계의 판을 깨뜨리지 않으려고 비군사·비정치적인분야의 교류협력은 계속해 나갈 것이란 분석도 있다.대미관계 개선을 향한 신호로도 풀이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이날 귀국한 김 장관은 북한 체류기간동안 송호경 아태평화위원회 부위원장과 ‘남북 연계관광 활성화’와 체육문화분야의 교류확대 등을 합의함으로써 비정치적인 분야의 교류협력은 계속 진전시켜 나갈 것임을 확실히 했다. 그러나 이번 합의가 원칙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고 2차 남북 문화장관급회담의 일정도 확정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북측의 신중한 관망자세를 엿보게 한다.‘남북 연계관광 활성화’,문화장관급회담 정례화,문화협력에 관한 합의서 작성등에 대해서도 ‘적극 추진’ 또는 ‘2차 남북장관급 회담에서 협의’한다는 등의 원칙적인 합의에 만족해야 했다.대남정책의 총괄 책임자인 김용순 대남담당 비서겸 아태평화위원회 위원장을 만나지 못한 것도 이번 방문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같은 관망자세는 ‘남측 반응을 보아가며 협력에 응하겠다’는 북측 태도에서도 확인된다.송호경 아태평화위원회부위원장이 13일 김 장관에게 “금강산관광의 부족한 대가지불과 관련,정부가 나서주기를 바란다”는 요청을 한 것도이런 태도와 무관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북한측의 비군사·정치분야의 교류협력 진행의지를 확인했지만 아직 전체적인 남북관계는 전보다 더 미묘한 줄다리기 상태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이석우기자 swlee@
  • 이산서신 오늘 첫교환

    북측은 15일 첫 이산가족 서신교환을 예정대로 실시하자고전해왔다고 정부 당국자가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남북은 15일 판문점에서 분단사상 처음으로 각각300통씩의 이산가족 서신을 교환한다. 한적은 서신을 받은 뒤 16일까지 해당 이산가족들에게 등기우편으로 서신을 발송할 계획이며,개별적으로 대한적십자사를 찾은 이산가족들에게는 신분을 확인한 뒤 직접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14일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전날 북한의일방적 불참통고로 무산된 5차 남북 장관급회담의 개최 일정을 빠른 시일 안에 확정할 것을 북측에 다시 촉구했다. 정부 당국자는 “판문점 연락관 전화통화를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회담 일정을 통보해줄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이석우기자 swlee@
  • 北 장관급회담 돌연 연기 왜 했을까

    북한의 5차 장관급회담 불참 통보에 대해 청와대와 통일부등 정부 당국자들은 13일 “내부 사정이 있을 것”이라며 한결같이 신중하다. 정부 당국자들은 북측의 ‘불참 통보’ 배경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타난 미국측의 대북 강경기조에 대한 ‘반발’이라기보다는 북한내부 사정 때문이라며 회담 재개에 다소 낙관적인 태도다. “북측이 연기 통보를 하면서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란 표현을 사용한 것도 (북한 대표단에) 개인적인 사정이있거나 내부적으로 불가피한 상황이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북한을 방문중인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도 당초 일정대로활동을 하고 있다며 북한의 정책기조 변화를 예고하는 것은아니라고 강조했다. 북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 제기에도 정부 당국자들은 “속단하지 말고 1∼2일 지나면 밝혀질 것”이라며 신중함을 강조했다.통일부,외교부,국정원 등 외교안보 부처들은 이날 북한의 회담불참 배경 파악에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면서도 “현단계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북측이 ‘심각한 상황’이라면 당국의 성명 형태로입장을 밝혔을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것은 회담 결렬이나 무산이 아니라 단순 지연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일면 안도의 표정이다.개인적인 사정일 경우 평소 당뇨병,안면마비 등으로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전금진(全今振) 북측 단장의 건강 이상이 발생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이다. 일부에선 북한의 ‘불참 통보 원인’을 부시 미 행정부의대북 강경정책과 ‘기대치에 못미치는 남측의 태도’와 연관짓는다.한·미 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한 불만표시란 지적이다.지난해 남북정상회담이후 민족대단결과 외세배격을 특히 강조해온 북한측의 한·미공조강화에 대한 경고메시지로 보는시각도 있다. 금강산관광,전력지원 등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는 현안에 대한 남측 정부의 결단을 촉구한 ‘강수’란 해석도 있다.더이상 얻어갈 것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회담을 지연,남측을 압박해 앞으로의 협상에서 유리한 입지에 서보겠다는 시도로 보는 시각도 적지않다. 일부 당국자들도 북측이 전략적인 시간벌기의 경우에도남북관계의 총괄적인 조정창구인 장관급회담이 기능정지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남측 수석대표인 박재규(朴在圭) 통일부장관 명의로“일방적인 통보에 대단히 유감스럽다. 조속한 시일에 회담을 재개하자”고 강경어조로 즉각적인 전화통지문을 보낸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는 해석이다. 이석우기자 swlee@. *남북관계 스케줄에 큰 영향 없을듯. 북한의 남북 장관급회담에 대한 일방적인 연기로 남북관계의 진전이 불투명해 졌다.13일 북측의 회담 불참으로 남북관계가 뒷걸음질 치지는 않겠지만 관계진전이 속도를 낼 것이란 기대에는 일단 제동이 걸린 셈이다. 정부 당국자들의 표현대로 “북한이 남북관계의 판을 깨자는 태도라기 보다는 내부 사정이나 전략적 숨고르기”로 볼때 큰 흐름엔 차질이 없을 수도 있다.대외관계 정상화 등 실용주의 노선을 타고 있는 북한이 흐름을 되돌리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에서 볼때도 그렇다. 정부 당국자들은 이날 “남북관계에 악영향은 없고 화해협력의 전반적인 흐름속에서 회담 일자가조정된 것”이라고말했다.남북관계의 일정에 큰 변화는 우려되지 않는다는 전망이다. 당장 15일로 다가온 생사·주소확인자 300명에 대한 서신교환과 4월 3∼5일로 예정된 4차 적십자회담,6·15 8·15 공동기념행사 추진도 이점에서 예정대로 진행이 예상된다. 그러나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중인 국방장관급회담 개최등 군사적 신뢰구축 문제의 협의는 지연을 피할 수 없게 됐다.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답방 문제도 보다 ‘복잡한계산속’에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관계 진전이 더 힘들어질 것이란 관측도 이와 무관치 않다.북측이 대남관계를풀어나가는데 대미관계 등 변화된 한반도 사정을 더욱 감안하는 등 고려가 복잡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유야 어떻든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 등 올 남북관계 전반을 조율하는 자리가 회담 당일에 전격 연기된 것은 이같은북한당국의 고심을 엿보게 한다.부시 미 행정부 출범 이후변화된 대외환경에 대한 북한의 대남·대외입장을 확인할 수있는 첫 대면자리가 연기됐다는 것도 상징적이다. 부시 행정부의대북 강경입장 등 변화한 한반도주변 환경속에서 대남·대외전략 등 내부 입장조율을 위한 시간벌기작전의 측면이 다분하다는 분석도 복잡해진 남북관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남북관계에 보다 많은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가 왔음을 의미한다. 향후 남북관계의 진전도 보다 국제적·지역적 변수들과 얽혀 진행될 수 밖에 없고 외부여건에 보다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이석우기자
  • 北, 장관급회담 돌연 연기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5차 남북 장관급회담이 개최 당일인 13일 북측의 일방적인 불참 통보로 연기됐다. 장관급회담 남측 대변인인 김형기(金炯基) 통일부 정책실장은 이날오전 “북측이 오늘부터 열릴 예정이던 5차 회담에 나올 수없다고 판문점을 통해 전달해 왔다”고 밝혔다. 북측은 전금진(全今振) 단장 명의의 전화통지문에서 “여러가지를 고려해 오늘 하기로 된 제5차 북남 상급(장관급)회담에 나올 수 없게 됐다”고 통보했다.그러나 회담 불참 이유와 연기 시한에 대해선 밝히지 않아 5차 장관급회담이 언제열리게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남측 수석대표인 박재규(朴在圭) 통일부 장관은 북측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회담 당일 일방적인 불참 통보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일정을 조정해 5차 회담이조속히 열리도록 협력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정부 고위당국자는 “회담이 무기 연기된 상태지만 무산은 아니며 조속한 시일 안에 날짜를 잡아 회담을 열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당국은 연기 이유를 부시 미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및 한·미 정상회담 결과 등에 따른 북한 내부 정책조율로인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과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북한의 불만 표시라는 시각도 있다. 정부는 통일부 등 관계부처간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북측의진의 파악에 나서는 한편 곧바로 연락관 접촉 등을 통해 추후 회담 개최시기 재조정에 나섰다. 5차 남북 장관급회담은 13일부터 3박4일 동안 서울 장충동신라호텔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며 북측 대표단은 이날 오후중국 베이징(北京)을 거쳐 아시아나 항공편으로 입국할 예정이었다. 이석우 전경하기자 swlee@
  • 5차 남북 장관급회담/ 쟁점과 전망

    13일 열리는 5차 장관급회담은 미국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변화된 한반도 주변상황 속에서 북한의 태도를 공개적으로검증해 볼 수 있는 첫 자리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그 과정에서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밝힌 포괄적 상호주의,남북기본합의서 체제의 가동 등에대한 북측 입장도 윤곽을 드러낼 것이란 점에서 무게가 실린다. 정부는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북측에 설명,북·미 사이에거중조정 역할을 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정부 당국자도 12일“한·미 정상회담의 결과를 북측에 전달하는 방안을 적극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첫 남북간 현안을 총괄적으로 조율하는 자리란 점에서올 남북관계의 발전방향과 실천 과제의 도출도 주요 과제다. 최대 관심사는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답방 시기 협의.정부 당국자는 “정식 의제는 아니지만 수석대표 접촉·실무접촉을 통해 북한입장을 탐색하겠다”고 말했다.“북한이 어떤 보따리를 가져오느냐가 관건인 만큼 김위원장의답방에 서두르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겠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정상회담을 상반기 중에 추진한다는 정부 입장에는변함이 없지만 이번 회담에서 답방 시기와 의제를 다루지는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위원장 답방의사 타진이 남측 관심사라면,북측엔 전력지원 등 경제적 지원 확보가 최대 현안이다.“50만㎾의 지원을전제로 협의해 나가자”는 북측 입장과“공동 실무조사를 통해 적절한 협력방안을 찾자”는 남측 안이 평행선을 그리고있어 진통은 피할 길이 없는 상황이다.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을 위한 실천적 조치도 주 의제다.2차국방장관회담의 조속한 재개도 촉구할 방침이다.면회소 장소확정을 비롯,생사·서신교환의 확대 및 제도화, 이산가족 영상상봉도 협의 목록에 올라 있다.서울·평양축구대회 개최등 원칙 합의만 있고 후속조치 없는 합의사항들을 실천단계로 이끌어가는 것도 이번 회담의 과제다. 이석우기자 swlee@. * 준비 어떻게. 13일부터 시작되는 남북 5차 장관급회담을 앞두고 정부는 12일 막바지 준비에 바쁜 모습이었다. 수석대표인 박재규(朴在圭) 통일부 장관을 비롯,이정재(李晶載) 재정경제부 차관,김순규(金順珪) 문화관광부 차관 등회담대표 5명은 12일 서울 삼청동 남북대화사무국에서 모의회의를 열고 마지막으로 회담전략을 점검했다.실무진들은 공항 마중행사부터 신라호텔 숙박-회담-만찬-참관 일정 등 세부일정을 마련했다. 회담이 열릴 신라호텔측은 지난해 7월에 열린 1차 장관급회담에 앞서 90년 3차 남북고위급 회담 등 회담에 ‘경력’이 있는 곳.12일 오후 ‘북측 대표단을 환영합니다’라는 플래카드를 호텔 입구인 흥화문에 걸고 막바지 점검에 들어갔다. 특히 북측 일행들이 묵을 객실에는 15쪽 분량의 소책자를마련,TV시청·전화사용법 등 호텔이용법에 대한 세세한 설명서를 비치했다.이외에 호텔직원들에게 남북이 서로 틀린 용어나 해서는 안되는 용어 등에 대한 내부교육까지 마쳤다. 식사와 관련,신라호텔은 중식을 기본으로 하되 양식·일식·한식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는 방침이다.도착 첫날 만찬이열리는 메리어트호텔 측은 모듬생선회·전복죽·바닷가재등신선한 해산물 위주의 요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경하기자 lark3@
  • “北·美관계 조율 적극 참여”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11일 “이번 미국방문을 통해 저는 미국의 새정부와 충분히 의견을 나누었고 한·미간에 긴밀한 공조를 변함없이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며 “북·미관계에 대한 한·미 양국간의 의견조절은 이제부터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이날 오후 5박6일간의 미국방문을 마치고 서울공항에서 가진 귀국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의 동맹적 협력관계 재확인 등 5개항에합의했으나 부시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다소의 의구심을 표시한 것도 사실”이라며 “미국의 우려가 무엇인지 파악한만큼 정책수립에 참고할 것이며 북한에게도 이를 전달하고필요하다면 조언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여당은 이에 따라 13일 이한동(李漢東) 국무총리와 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자민련 김종호(金宗鎬) 총재권한대행,한광옥(韓光玉) 청와대 비서실장 등 고위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정협의회를 열어 방미 후속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제기된 미국의 우려를 5차남북 장관급회담 등 공식·비공식 통로를 통해 북측에 전달,북·미 사이의 중재역할을 활발히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남북장관급회담 때 한·미정상회담 결과를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남북정상회담이 조기에 성사되면 직접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에게도 전달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때는 ‘포괄적 상호주의’ ‘한·미 역할 분담론’ 등에 따른 한반도 긴장완화와 위협해소를 위한 ‘검증조치’가 실천되어야 한다고 보고 북한측과조율할 의제 등에 대한 본격 준비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오는 13일 서울 제5차 남북장관급 회담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의 의제가 될 남북기본합의서의 상호 불가침조항과 군사공동위원회 가동,군사 직통전화 설치 등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한 국방장관급회담 재개를 주 의제로 협의하기로했다. 또 다른 고위 당국자는 “5차 회담에서는 평화정착을 위한군사적 신뢰구축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문제와 함께 주의제로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정부는 이와 별도로 미 행정부의 대외정책팀이 구성되기에앞서 대북정책 고위실무협의회를 비롯,한·미 양국간에 설치된 각종 정책 실무협의회를 본격 가동,한·미간 각론에서의이견 해소를 위해 우리 정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시키기로했다. 한편 김 대통령은 금명간 3부요인을 청와대로 초청,방미결과를 설명한 뒤 14일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와 따로 만나 대북정책에 대한 정치권 차원의 공조방안을 논의한다. 오풍연 이석우기자 poongynn@
  • 5차 장관급회담 예상

    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5차 남북장관급회담의 주요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가 올초 평화정착 문제를 주요 목표로 추진해 온데다지난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이 북한의 약속에대한 실천의지와 검증 필요성,투명성 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5차 장관급회담의 양대 현안은 김정일(金正日) 북한국방위원장의 답방과 전력지원 등 경협추진 문제. 여기에다한·미 정상회담으로 상호주의가 더욱 강조되고 있어 군사적신뢰구축에 대한 가시적 성과가 주목된다. 정부 당국자는 11일 “군사공동위원회의 가동,군사직통전화개설, 2차 국방장관회담 개최 등을 제의하게 될 것”이라고밝혔다.한·미 정상회담 기간중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밝힌 ‘남북기본합의서 체제’의 복귀를 위해서도 군사공동위원회의 가동은 핵심적 의미가 있다. 정부는 이번 장관급회담에서 지난 9월 이후 지연되고 있는2차 국방장관회담의 구체적인 개최 일정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후 국방장관회담을 통해 구체적으로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다는 태도다.군사당국간 직통전화 설치,군사훈련 및 병력 이동에 앞선 상호통보,군관계자의 교류 등도 국방장관회담에서우선 의제로 협의해 나갈 생각이다. 군사적 신뢰구축은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과 대북 지원 등 경협의 진전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란 점에서 무게가 실린다. 정부는 이산가족 교류의 정례화를 위해 생사·주소확인 및서신교환을 연간 10만명 수준으로 늘리고 방문단 정례화,금강산·판문점에 면회소 우선 설치 등을 제의·협의할 방침이다. 이석우기자 swlee@
  • 北 정상회담에 무반응

    북한은 9일까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북한 지도부에 대한 회의”와 “투명성,합의에 대한 검증”등을 강조한 미국 태도에 북한이 기분좋을 리 없겠지만 이를싸잡아 비난하는 식의 ‘정면 대응’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지배적이다. 정부 당국자도 이날 “그동안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별반응을 보여오지 않았던 만큼 별다른 입장표시 없이 넘어갈것”으로 분석했다.북한이 반응을 보인다 하더라도 “한·미정상회담 전반에 대한 논평이라기보다 조지 부시 대통령의‘회의적’이나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 ‘독재자’ 표현 등을별개로 떼어내서 비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1주일 가량 지나야 반응을 보여왔던북한 관례로 볼 때 논평이 나오더라도 다음주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수(金英秀)서강대 교수는 “북한은 한·미 정상회담의결과에 대해 시끄럽게 대응하기보다는 한국의 후속조치와 미국의 태도를 가만히 지켜보면서 정책을 조율해 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김 교수는 북한이부시 행정부란 ‘변수’가 더 커진 것을 감안,미국과의 직접대화 비중을 더 높일 가능성도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종석(李鍾奭)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향후 북한의 외교적 언사가 어떤 것이든 간에 미국이 대화와 협상의 틀을 깨자는 것이 아닌 만큼 북한이 경제회복과 국제사회 복귀를 위한 기존의 정책과 태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위원은 부시 행정부의 외교팀과 외교정책이 형성단계에있다는 사실을 북한이 주목하고 있으며 미국이 북한을 시험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면서 면밀하게 계산하고 있을것이라고 말했다.북한이 미국에 대화를 어렵게 할 빌미를 주거나 미국을 자극하는 행동을 조심스럽게 피해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석우기자 swlee@
  • 이산가족 서신교환 답장까지 가능할까

    오는 15일 이산가족의 서신교환에 따른 후속 답장교환과 유품 등 간단한 소포 전달이 오는 4월3일 열리는 적십자회담의 주요 의제로 추진되고 있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6일 “첫 서신교환 이후의 후속 교환 방법 및 일정이 앞으로 이뤄져야 할 주요 과제”라면서 “첫교환 후 답장교환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또 가족 중 먼저 돌아가신 분의 유품이나 가족들의 추억이 어린 간단한 물건들은 교환할 수 있도록 하자는 입장이다.북으로 보내는 서신들에 대해선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밀봉된 상태로 보낸다. 남북은 첫 교환에서 각각 300통의 서신을 교환키로 했으나이산가족 상봉처럼 사전 명단 통보는 하지 않았다.북으로 보내는 서신 대상자들은 공개돼 알 수 있지만 북에서 보내는서신의 발신인이나 남측 수취인에 대해선 미리 알 수 없는상태다.남북적십자사가 각각 주관해서 뽑았기 때문에 남에서 북으로 가는 서신과 북에서 남으로 오는 편지의 당사자들이 현실적으로 일치하기 어렵다. 이석우기자 swlee@
  • 임시면회소 상반기내 추진

    정부와 대한적십자사는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를 앞당기고상봉단의 규모와 상봉 횟수를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28일 상반기 내 판문점과 금강산에 임시 이산가족면회소를 설치한다는 방침이며 오는 4월3일 열리는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이같은 입장 관철을 위해 협상력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3차 남북 이산가족방문단은 이날 2박3일간의 일정을마치고 아시아나항공 OZ-1007편으로 평양과 서울로 각각 귀환했다. 이산가족들은 귀환에 앞서 숙소인 서울 잠실 롯데월드호텔과 평양 고려호텔 현관 및 주차장에서 30여분간 마지막 작별상봉을 가졌다. 평양공동취재단·이석우·전경하기자 swlee@
  • 서영훈 대한적십자사 총재 인터뷰

    서영훈(徐英勳)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28일 3차 남북 이산가족 방문행사를 마친 뒤 서울 롯데월드호텔에서 대한매일과인터뷰를 갖고 “경의선이 완성되면 철원 등 주변지역에 면회소를 여러 곳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이 추진중인 경의선 남북 중간지점 면회소 설치는 언제 가능한가. 경의선 복원 전이라도 설치를 추진할 방침이다.오는 9·10월 경의선이 완성되면 북측도 경의선 지역의 면회소 설치를 거부하기 어려울 것이다.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상봉은 계속 가능한가. 넓은 의미의이산가족으로 간주해 교류를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다.면회소를 통해서도 만남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 적십자는 이들을 국군포로,납북자란 의미보다 이산가족이란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면회소 장소에 대해 남북한간 이견이 있는데. 북측이 판문점은 곤란하다며 완강한 거부의사를 보이고 있다.오는 9·10월 경의선 복원 이전에 임시 면회소란 점을 북측에 주지시키며 설득하고 있다.보다 많은 이산가족들을 만나게 하겠다는것이 우리의 목표다. ◆다음번 방문단 교환은 언제 있나. 시간상 5월 중순 이후나 6월쯤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오는 4월 3일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구체적인 날짜를 협의하겠지만 방문단 규모를 늘리고 횟수를 확대하자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규모는 최소 2배정도는 돼야 할 것이다. ◆방문단이 혈육의 가정을 방문하거나 함께 잘 수 있게 되나. 신변안전 문제와 시간 제약 때문에 당장 실현하기는 어렵다.점진적으론 그런 방향으로 나가도록 노력하고 있다. ◆오는 15일 시범적인 차원의 서신교환을 시작하는데. 새로 생사를 확인한 이산가족과 이미 상봉을 마친 가족들이 지속적으로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모든 이산가족들에 대한 생사주소확인과 서신교환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이석우기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