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印·러, 국제현안 ‘3각협력’ 시동
인도, 중국, 러시아가 한 곳에 모여 한 목소리를 냈다. 유엔의 역할 강화에서부터 에너지, 지역협력, 테러리즘 방지에 이르는 전방위에서 3자 협력강화도 약속했다. 세 나라 외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3자회담을 열고 지역·국제 현안에 대해 입을 맞췄다.“유엔을 더욱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공동성명에서는 이라크, 이란 등 중동문제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염두에 두고 “국제 현안을 대결보다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엔의 효율성 강화’ 목소리에는 미국의 일방주의에 대한 견제와 ‘국제관계의 민주화’, 다극화를 향한 3국의 새로운 국제질서 구축에 대한 의지가 담겨 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인도의 입장도 반영했다. 미국을 겨냥한 ‘반미(反美) 3각 협력’까지는 아니더라도 ‘빅3’의 응집력을 모아 교섭력을 높이겠다는 시도가 엿보인다. 또 인도 외교부 당국자의 지적처럼 ‘에너지 분야 3자간 협력방안’도 주요 의제로 협의됐다. 에너지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에너지 소비대국’ 인도, 중국이 막대한 원유·천연가스의 자원대국 러시아와의 에너지 협력의 제도화를 모색했다는 것이다. 당장 손에 잡히는 협력 결과를 비록 도출하지는 못했지만,3자 협력체제를 제도화하고 한 차원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무게를 갖는다. 3개국은 2002년부터 정기적으로 외무장관 회담을 열어 협력증진 방안을 논의하고 있고 2005년 6월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지역안보·유엔개혁 협력을 합의한 바 있다. 지난해 7월에는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사상 첫 3개국 정상회담을 열어 미국을 긴장시키기도 했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인도에서 러시아, 인도, 중국 등 3개국간의 ‘3각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는 등 ‘빅3’를 국제무대에서 주요 카드로 이용하려 하고 있다.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