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피니언 리더] 웹진 ‘퍼슨웹’ 전·현 편집장 조성진·김성환씨
“인터뷰를 통해 모순으로 가득찬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고 있습니다.”
그곳에는 해설 기사나 시사 만화 하나 없다.‘온라인 잡지’라는 뜻의 ‘웹진’이라는 이름이 어색할 정도다.그러나 생생한 사람의 목소리를,그것도 진보적이면서 소수자를 옹호하는 목소리를 접하고 싶다면 인터넷 전문 웹진 퍼슨웹(www.personweb.com)이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22일 퍼슨웹을 ‘짊어지고’ 있는 조성진(사진 왼쪽·34),김성환(32) 전·현직 편집장을 만났다.
퍼슨웹의 시작은 2000년 4월.서울대 문과대,사회과학대 출신들이 주축이 됐다.활동 인원은 15명 정도.30대 교수,변호사로부터 톡톡 튀는 대학 새내기까지 다양하다.
퍼슨웹은 ‘마이크를 잡고 뛰어라.’를 표방하고 있다.기존 언론을 바라보는 불신 섞인 시선이 물씬 풍긴다.조 전 편집장은 “인터뷰는 상대가 있는 대화임에도 불구하고 기성 언론은 자신을 드러내는데 바쁘다.”라고 꼬집었다.회원들은 현장감 있는 상대의 목소리를 하나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 펜이나 컴퓨터 대신 녹음기를 이용한다.
퍼슨웹이 이제까지 인터뷰한 사람은 140여명.알렉스 캘리니코스,강만길,하워드 진 등 국내외의 진보적 석학으로부터 위구르족 처녀,포르노 웹진 운영자,키르기스스탄 유학생 등 그 면면도 다양하다.대중음악인 신중현·강산에,소설가 이인성 등 문화예술인도 퍼슨웹의 마이크 앞에 섰다.
퍼슨웹은 지난해 말 ‘외도’도 했다.성공회대 NGO학과 김동춘 교수,종교문화연구소 장석만 연구위원,수유연구실 고미숙 연구원,서울대 국사학과 윤해동 강사 등 진보적 소장학자 4명의 인터뷰를 모은 ‘인텔리겐차’를 펴낸 것.지난 4월에는 서울대와 광화문 아트큐브에서 독립영화 ‘먼지,사북을 묻다’를 상영했다.
김 편집장은 “모순된 현실을 뒤집어 엎는 힘을 가진 마이너리티와 진보에 대한 관심이 회원들에게 마이크를 잡게 만들었다.”면서 “1만명을 채울 때까지 인터뷰를 계속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이두걸 기자 douzi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