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화물파업 또 개입 의혹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사태가 보름째로 접어든 가운데 화물연대 10개 전국 지회가 4일 일제히 ‘선복귀 후협상’을 위한 총회를 가졌다.그러나 이 과정에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이 개입했다는 화물연대측의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정부는 화물연대 운송거부는 차주와 운송업체간에 해결할 문제라며 간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청와대 개입 의혹
화물연대 경인지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총회 개최의 배경을 설명하던 중 “3일 문 수석이 화물연대 지도부에 전화를 걸어와 ‘파업에 따른 물류 수송 피해가 엄청난 만큼 파업을 철회한다면 화물연대의 노조 인정,파업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 철회 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알려왔다.”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이어 “이에 따라 4일 서울,대전,청주 등 6개 지역의 조합원 총회를 통해 파업을 정리하는 수순을 갖기로 3일 지도부에서 잠정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노사정위원회 김금수 위원장도 ‘화물연대가 복귀하면 업계의 계약해지 완화,손배소 철회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민주노총 측을 통해 전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화물연대측은 이날 밤 ‘문재인 수석의 전화’ 발언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문재인 수석도 “화물연대측과 통화한 적이 없다.”면서 “손배소 등은 업계에서 한 것으로 정부가 나설 입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밤새 격론
서울,부산,대전,청주,영동,대산 등 6개 지역에서 열린 총회에서는 업무에 복귀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400여명의 조합원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대 학생회관에서 열린 경인지부 총회에서는 ‘파업을 계속해야 한다.’는 주장과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화물연대는 이에 따라 지부별 총회 결과를 수렴,지도부 회의를 거쳐 5일 중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또 화물연대측과 업계측은 같은 날 막후협상을 갖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문 이두걸기자 douzi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