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중국 진출 ‘성큼 성큼’
중국 앞으로!
중국 본토를 향한 시중 은행들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우리은행이 오는 2012년까지 중국 내 점포를 53개로 늘리고, 모두 현지 법인 아래로 흡수시키는 ‘승부수’를 띄운다. 신한·하나은행 등도 중국 현지법인 설립을 눈앞에 두고 있는 등 과거 소규모의 사무소·지점 영업에서 탈피, 현지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자산 70억弗·영업수익 2억弗 목표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현재 3개 수준인 중국 내 점포를 2010년까지 30개,2012년까지 53개로 늘릴 예정이다. 우리은행 국제부 황록 부장은 “중국 현지법인인 우리은행중국유한공사를 연말까지 자본금 3억달러 규모로 설립한 뒤, 지점들을 현지법인 아래 두고 현지화 영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은행의 중국 내 점포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지점과 상하이 출장소 등 4개.7월 쑤저우 지점을 열고 내년 7개,2009년 9개,2010년 10개를 신설하는 등 점포수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대도시 위주로 점포를 집중 설립할 예정이다. 상하이 7곳, 베이징 6곳을 비롯해 ▲쑤저우 4곳 ▲선전, 톈진, 칭다오, 선양, 광저우 3곳 ▲난징 2곳 등이다. 지점장은 모두 현지인으로 채용하는 등 현지화 작업도 가속화한다.
●국내 기업·조선족·中 상류층 주 타깃
현지법인이 타깃으로 삼고 있는 수익원은 먼저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금융 수요다. 조선족 역시 주요 고객이다. 또한 중국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PB 금융과 우량기업 영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12년 현지법인이 자산 70억달러, 영업수익 2억 1000만달러 정도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북한이 개방되면 동북 3성을 중심으로 금융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라면서 “현지 은행의 추가적인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유수의 글로벌 은행 못지않게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하나 등도 현지법인 설립 박차
다른 은행들 역시 중국 현지화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상하이, 칭다오, 톈진 등에 지점을 두고 있는 신한은행은 올해 안에 베이징에 지사와 현지 법인인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를 세운 뒤, 주요 지역으로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2003년 중국 현지 은행인 칭다오국제은행을 인수한 하나은행은 베이징에 현지법인 하나은행중국유한공사를 세우고 2014년까지 톈진, 광저우, 난징, 웨이하이, 창춘 등에 모두 12개의 지점을 열 계획이다. 동북 3성의 현지은행 인수도 계속 추진한다.
국민은행도 지난 1월 시가총액 기준 세계 2위인 중국공상은행과 전략적 제휴를 맺은 데 이어 2월에는 한국에서 달러로 송금하면 중국에서 위안화로 출금하는 ‘위안화 바로송금 서비스’를 선보인 상태. 외환은행도 난징과 다롄 등에 추가로 지점과 출장소를 설치한다는 복안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인 중국의 금융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진출 대상”이라면서 “중국은 성장 한계에 부딪힌 국내 은행들에 수익 기반 다변화의 훌륭한 해답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